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내국인 인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현실갈등 유발 요인을 중심으로 - : The Effect of Korean Perception on Multicultural Acceptance - Focusing on the Realistic Conflict Factors -
내국인 인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현실갈등 유발 요인을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경주

Advisor
최창용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다문화 수용성자민족중심주의세계화현실갈등인식이주민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23. 2. 최창용.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 실태를 고찰하고, 자민족중심주의와 세계화 의식이 외국인 노동자와 외국인 결혼이주여성의 증가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현실 갈등 유발 요인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고자 월평균 소득, 학력, 취업 여부와 같은 변인들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조절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전국의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18년 한국종합사회조사(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데이터를 활용했고, 다중회귀분석 및 기초통계를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자민족중심주의가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에는 낮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력과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높았지만, 취업 여부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월평균 가구소득이 세계화에 대한 인식과 자민족중심주의는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를 조절했지만, 학력과 월평균 가구소득은 다문화 수용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자민족중심주의는 다문화 수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세계화에 대한 인식은 다문화 수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다문화 수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경계해야 할 가치는 자민족중심주의 정체성이며 세계화에 발맞춘 그로 향한 인식은 오히려 더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한국 사회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측면에서 다층적이고 복합적으로 다가가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학력별, 소득별, 취업상태 및 직업별 집단에 따라 다양하고 적합한 방식으로 한국 사회 구성에 대한 신념과 인식의 전환 교육 및 법 제도가 함께하는 정책적 고려가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in Korean society. It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ethnocentrism and globalization consciousnes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due to the increase in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as moderating effect variables on multicultural acceptance. For this study, the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data in 2018 was used for the data, and it was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sic statistics. In conclusion, the variables of globalization and self-ethnicism had a positive (+) and negative (-)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variables(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education, and employment status) were partially affected multicultural acceptanc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50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4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