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연구기획 방식이 과학기술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 Study on the Effect of Research Planning Approaches on the Research Outcom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Outcome Comparison of Top-down and Bottom-up R&D Approaches
상향식·하향식 연구개발 방식의 성과 비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용준

Advisor
권일웅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과학기술 정부출연연구기관연구개발 성과연구기획방식하향식상향식연구개발단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23. 2. 권일웅.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esearch planning approaches on the research outcome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refer to research institutes that provide R&D functions for core and strategic technology that is difficult for the government to carry out by itself and perform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government funded grants. Twenty-five (25) research institutes under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and Technology were the subject of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is the research planning approaches for government-funded R&D projects, which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argeted application, Specified application, and open application. Targeted application, for which the research topic and the goal of technology development is pre-determined by the government or research institutes, is classified as top-down planning and specified application and open application, which allows the researcher to propose a research topic or methodology are classified as bottom-up planning. For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the main output of the R&D projects, research papers and patents, are analyzed based on quantitative indicators, efficiency indicators, and qualitative indicators. Quantitative indicators include the total number of research papers, the number of SCI papers,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and the number of patent registration whereas efficiency indicators consist of variables per research fund, which is calculated by quantitative indicator divided by the research expenses.
Lastly, the qualitative indicators were set as the ratio of SCI papers to overall papers, demonstrating academic value, and the ratio of registered patents to patent applications, recognizing its practicality. In addition, the R&D stage (fundamental research, development research, applied research) was set as a variable and an interaction term that controls the effect of the R&D planning approaches on research outcome to analyze how the effect is different between fundamental research and development/applied research. Moreover, research expenses (direct cost, indirect cost, labor cost), the number of researchers participated, the research period, and institution type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for th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f the research planning approach on the performance of the research institutes and regulatory effects of the R&D stag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effect of the research planning approach on the paper performance was as follows. Bottom-up research planning approach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aper performance, showing increased number of papers per research fund though the absolute number of papers in the project decreased.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qualitative indicator of the paper and the research planning approach.
Secondly, the effect of the research planning approach on the patent performance was as follows. Top-down research planning approach had positive effect on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and patent registrations, and the number of applications and registrations per research fund.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derived between the qualitative index of the patent and the research planning approach.
Thirdly, the effect of the research planning approach on paper performance was different as follows when comparing fundamental research and applied/development research.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absolute number of papers in the bottom-up R&D approaches decreased in applied/development research compared to fundamental research, and it showed the opposite effect of increasing the number of papers in the bottom-up R&D approach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solute number of papers and SCI papers per research fund, it showed the opposite effect of decreasing as it was applied/development research.
Finally, the effect of the research planning approaches on patent performan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for most 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The result of the analysis has proven that for the R&D projects of the research institutes, bottom-up research planning approach is advantageous for researches intended for performance related to research papers with high academic value, such as fundamental research areas, and conversely, top-down research planning approach is advantageous for researches intended for performance related to patents with high practical value, such as applied and development research areas by empirical analysis.
As a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problem of endogeneity can be raised becaus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research planning apporoach suitable for improving paper or patent performance may have been selected depending on the R&D stage or the nature of the research task. Also,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during the empirical analysis, variables related to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researchers, or polic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within research institutes were not considered and qualitative performance were not taken into account, limiting the performance of the research institutes to primary outputs, research papers and patents.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duces implications that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for recent policy directives that expand on the goal-oriented and top-down research planning approaches for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s. As Koreas science and technology is comparable to that of advanced countries, the R&D conducted by research institutes gradually transform from applied and development researches that aim to rapidly catch up with the technology of advanced countries into fundamental researches that define new problems for which the answer is unknown.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policy significance in that it highlights the role of bottom-up research planning approach to emphasize creativity and autonomy of researchers and that to yield high performance, appropriate research planning approach should be appli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D projects performed by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본 연구는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획방식이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은 정부가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국가의 핵심 및 전략기술 연구개발 기능을 부여하고 출연금을 지원받아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기관을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25개 출연연구기관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독립변수인 연구기획방식은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있어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지정공모, 품목지정, 자유공모형으로 나뉘는데, 이 중 연구주제 및 기술개발 목표가 정부 또는 연구기관에 의해 미리 정해지는 지정공모를 하향식 연구기획으로, 나머지 품목지정, 자유공모형은 연구자가 연구주제나 방법론을 자유롭게 제안하는 측면에서 상향식 연구기획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연구의 종속변수는 연구개발 과제의 주요 산출물인 논문, 특허 성과를 각각 양적 지표, 효율성 지표, 질적 지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양적 지표로는 전체 논문 건수, SCI 논문 건수, 특허 출원 건수, 특허 등록 건수가 있고, 효율성 지표는 양적 지표를 연구비 변수로 나눈 연구비 당 변수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질적 지표로는 전체 논문 대비 학술적 가치가 높은 SCI 논문 비율과 특허 출원 건수 대비 실용성을 인정받아 등록된 특허의 비율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연구기획방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변수로는 연구개발단계를 설정하여 기초연구, 응용‧개발연구일 때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각각 어떻게 다른지를 상호작용항(interaction term)을 도입한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해보았다. 통제변수는 연구과제 수행에 투입되는 연구비(직접비, 간접비, 인건비), 연구기간, 연구원 수, 기관유형을 설정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연구기획방식이 출연연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연구개발단계에 따른 조절효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연구기획방식이 논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았다. 연구기획방식이 상향식일수록 과제에서 논문의 양적 지표는 감소하나, 연구비 당 논문 건수인 효율성 지표는 증가하여 논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만, 논문의 질적 지표와 연구기획방식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도출되지 않았다.
둘째, 연구기획방식이 특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았다. 연구기획방식이 하향식일수록 특허 출원 건수, 특허 등록 건수, 연구비 당 출원‧등록 건수 등 특허의 양적, 효율성 지표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다만, 특허의 질적 지표와 연구기획방식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도출되지 않았다.
셋째, 연구기획방식이 논문 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연구개발단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르게 나타났다. 우선 논문의 양적지표가 상향식일수록 감소하는 효과는 기초연구에서 응용‧개발연구로 갈수록 줄어들며, 오히려 상향식일수록 논문건수가 증가하는 반대방향의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논문의 효율성 지표는 상향식일수록 증가하는 효과가 기초연구보다 응용‧개발연구일 경우 줄어들어, 오히려 상향식일수록 감소하는 반대방향의 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기획방식이 특허 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특허 출원 건수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종속변수에 대해서 연구개발단계의 변화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판단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출연연의 연구개발에 있어서, 기초연구 분야와 학술적 가치가 높은 논문 성과를 산출하기 위한 연구 단계에서는 상향식 연구기획이 유리하고, 반대로 응용‧개발연구 분야와 실용적 가치가 높은 특허 성과를 산출하기 위한 연구 단계에서는 하향식 연구기획이 유리하다는 사실을 실증분석으로 증명해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연구개발단계나 과제의 성격에 따라 논문이나 특허 성과를 높이기에 적합한 연구기획방식이 선택되었을 가능성이 있어 내생성의 문제가 한계로 제기될 수 있다. 또한, 실증 분석 과정에서 연구자 개인의 특성, 기관의 제도‧환경과 관련된 변수를 고려하지 못하고, 출연연의 성과를 논문, 특허 성과라는 1차적 산출물로 한정하여 질적 성과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는 최근 과학기술 분야 출연연의 연구개발에 있어 목표 지향적이고 하향식 연구기획을 확대해나가는 정책방향에 대해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준다.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수준이 선진국 수준에 필적함에 따라, 출연연의 연구는 과거처럼 선진국의 기술을 빠르게 따라잡기 위한 응용‧개발 연구의 특성보다, 누구도 정답을 알지 못하여 새로운 문제를 정의해나가야 하는 기초연구 분야의 성격으로 점차 변모해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강조하는 상향식 기획연구의 역할 또한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야 하며, 출연연이 수행하는 연구의 성격에 따라 보다 높은 성과를 산출하는데 적합한 연구기획 방식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51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0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