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Three-essay Dissertation: Creating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Measuring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 사회적기업 창업의도 영향요인 및 성과평가에 관한 세 가지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지인

Advisor
이수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Social enterprisesocial entrepreneurshipsocial valuetheory of planned behaviororganizational performanceresource-based viewgrounded theory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23. 2. 이수영 .
Abstract
In using a mixed-method design, this disserta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essays. As social enterprises have emerged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as a potential policy tool in tackling social wicked problems, creating social value, and improving communities, social entrepreneurship has gained an increasing importance in Korea.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critical for policymakers and educators as they can encourage young people to engage in social venturing as well as to nurture potential social entrepreneurs. Thus, the purpose of the first essay is to examine the antecedents that affect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mation in Korean youths aged 15 to 26 years. In applying the extended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I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constructs – altruism, self-efficacy, and subjective norm – and the formation of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using the Korean Youth Panel ranging from 2009 to 2020.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planning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empirically tested.

With growing number of social enterprises, these organizations contribute to job creation of vulnerable groups and increase social service delivery to those in need; however, some are skeptical with the sustainability and the lack of performances shown by social enterprises. In order to ensure the self-sufficiency of social enterprises, the second essay identifies factors that affect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pplying resource-based view while considering the hybrid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within the contextual legal framework of Korea, I examine both intangible and tangible resources that influenc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s by social enterprises with CSES 2021 SPC data. The resources under study include firm size, subsidy, asset size, operational capability as well as two firm-level orientations which are social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and competitive orientation.

The third essa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uses grounded theory that acts as a linking bridge in connecting the two previous essays. In using the entrepreneurial behavior (establishment of social enterprise) as the central phenomena, this essay presents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question is who establishes a social enterprise. In other words, who becomes a social entrepreneur with a legal and operating social enterprise? And the second question is what are the paths that lead to success in social enterprise among those with established social enterprises? In other words, are the main paths that lead to superior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s? In answering these two questions, I conduct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4 active social entrepreneurs. I present three factors that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social enterprise and four paths that lead to success of these social enterprises. While each essay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three essays as a whole are aimed in providing policy implications to promote the growth of social enterprises and to create social value.
본 논문은 사회적기업 창업동인과 사업성과 결정요인을 실증적 통계분석과 면접조사방법을 활용한 세 개의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다. 지난 수십년간 사회적 기업은 사회문제(social wicked problems) 해결, 사회적 가치 창출, 지역사회를 개선하는 정책수단으로 부상함에 따라 한국에서 사회적기업 창업 및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사회적 기업의 성장이 촉진되려면 사회적 기업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사회적기업 창업의도 영향요인을 이해함으로 잠재적인 사회적 기업가를 육성할 뿐만 아니라 한국 청년들의 노동참여를 장려할 수 있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첫번째 에세이의 목적은 15-26세 한국 청년들의 사회적기업 의사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살펴본다. Ajzen의 계획적 행동이론을 확장하여 2009년부터 2020년까지 청년패널을 활용하여 이타주의, 자기효능감, 주관적 규범이라는 세 가지 요소와 사회적기업가적 의도형성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조사한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기업 창업의도 관계에 대한 진로계획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두번째 에세이는 자원기반이론에 근거하여 사회적 기업의 경제적 및 사회적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한국의 법적 맥락과 사회적기업의 하이브리드 특성을 고려하여, 사업성과 결정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본질적인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을 모색한다. 사회적가치연구원 2021년 SPC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적기업의 경제성과와 사회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무형의 자원과 유형의 자원을 조사하고자 한다. 자원기반이론에 따르는 요소 중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 규모, 보조금, 자산 규모, 운영 능력 뿐만 아닌 사회적정신지향성 및 경쟁지향성의 두 가지 기업 수준의 지향성에 초점을 맞춘다.

세 번째 에세이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에세이1과 에세이2를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는 질적연구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가적 행동, 즉 사회적 기업의 설립을 중심현상으로 활용하여 두 가지 연구질문을 제시한다. 첫번째 질문은 누가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의 경로가 무엇인지에 대해 탐색한다. 사회적 기업가 14명을 대상으로 심층적이고 반구조적인 인터뷰를 진행하여 사회적 기업의 설립을 이끄는 3가지 요소와 이러한 사회적 기업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4가지 경로를 제시한다. 본 논문은 세 가지 연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기업 성장 및 사회적 가치 창출을 확대할 수 있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52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6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