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세대 효과를 고려한 통행발생모형 연구 : Trip Generation Models Considering Cohort Effec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민규

Advisor
장수은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세대통행발생통행행태통행목적순서형 프로빗 모형APC analysisCohort effectHousehold surveyTrip generationTravel behaviorOrdered probit model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3. 2. 장수은.
Abstract
Generational cohort (hereafter: cohort) has been drawing attention all over the world. There is also growing interest in transportation studies in analyzing travel behavior of cohort. This is because the changes in travel behavior affect a significant impact on future transportation planning and infrastructure.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a limitation that mainly focused on mode choice behavior and vehicle kilometers traveled (VKT). Trip generation, which is the first stage of travel forecasting,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later steps in the traditional four-step model. Furthermore, a trip can be translated a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for individuals. In this regard, this study estimated trip generation models considering cohort effect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in travel behavior between cohort groups. This study utilized four national travel surveys in South Korea to construct panel data. APC (age-period-cohort) ordered probit models were fitted for all trips and trips by purposes: compulsory (work, school) and discretionary (recreational, shopping, social, other). For all trips, Babyboomers and Gen Xers tend to make more trips. Gen Y·Zers show higher compulsory trips than other cohorts. Discretionary trips have opposite trends to compulsory trips. Older generations are used to going outside to participate in social events and shopping, whereas younger cohorts, especially Gen Y·Zers, like both online and offline that represent reduction on discretionary trips. All estimated cohort variables in trip generation model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is implies cohort effects exist in forecasting transport demand. It is suggested to consider cohort effects when developing trip generation indicators such as trip generation rates and future travel demand.
세대는 동질적인 가치관 또는 선호를 지니는 유사 연령 집단을 일컫는다. 최근 국외 교통 학계를 중심으로 세대의 특징적 통행행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 세대가 공통으로 가지는 고유한 특성으로 집단 간 행태에 변화가 발생한다면, 이는 앞으로의 교통계획의 수립 및 인프라 투자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세대 효과를 고려한 통행발생모형을 추정하고 모형을 해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국가 단위의 교통조사인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패널 자료화했으며, 2002, 2006, 2010, 2016년 총 4개 연도를 분석대상으로 했다. 세대 효과를 유의미하게 식별하고자 연령과 시대, 개인 및 가구 특성 변수의 영향을 통제하는 APC (Age-period-cohort)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구축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통행 모형에서는 YZ세대를 제외한 X세대와 베이비붐세대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해당 두 세대에서 세대 효과가 존재하였다. 다만, 세대 변수의 계수가 다른 통제변수에 비해 크지 않았으므로 세대 요인이 전체 통행발생에 주요한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의무통행 모형 추정 결과, 모든 세대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특히 YZ세대가 타 세대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의무통행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량통행 모형에서는 앞선 의무통행 모형과는 세대 변수 부호가 반대로 도출되었으며, YZ세대의 재량통행이 기성세대인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보다 비교적 낮았다. 이는 젊은 세대는 기성세대보다 여가 및 사회활동에 대한 관심도가 작고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생활에 익숙하므로 외부 활동을 할 가능성이 기성세대보다 낮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행발생 행태에 존재하는 세대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연령 및 시대 요인을 비롯하여 개인 및 가구 특성 변수를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방법론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존재한다. 또한, 세대 요인과 통행발생 간의 영향 관계를 기존 사회적 현상과 연관 지어 해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의무통행과 재량통행 모형 추정 결과 기성세대와 크게 차이나는 행태를 보인 밀레니얼세대가 이후 X세대와 유사하게 변화할지 혹은 새로운 행태를 보일지에 대해 추후 후속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모형 추정 결과 전체 통행, 의무통행, 재량통행에서 모두 세대 효과가 유의미하게 도출되었다. 이는 향후 통행행태 분석과 수요 예측 시 세대 특성을 고려한 분석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교통유발원단위, 장래 OD 등 통행발생 관련 지표 개발 시 세대 요인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56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14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