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수요응답교통(DRT) 통행수요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 Analysis on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Demand Responsive Transport Trips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hucle Service in Sejong
세종시 셔클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태형-
dc.contributor.advisor송재민-
dc.contributor.advisor박소현-
dc.contributor.author김수영-
dc.date.accessioned2023-06-29T02:41:54Z-
dc.date.available2023-06-29T02:41:54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6726-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4566-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726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3. 2. 김태형-
dc.description송재민-
dc.description박소현.-
dc.description.abstract정보통신기술과 접목한 수요응답교통(Demand Responsive Transport, DRT) 서비스가 도시의 새로운 교통체계로 주목 받고 있다. 이용자 요청에 따라 운행하는 DRT의 유연한 속성에 스마트 기술을 접목하여 운영 효율성과 이용 편의성이 크게 개선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대중교통 중심도시로 계획된 세종행정복합도시의 DRT 서비스, 셔클(Shucle)에서 수집된 통행수요를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였다. 2022년 5월 발생한 20,793건의 평일 완료통행 데이터는 통행의 전 과정에서 발생한 시간과 위치정보(GPS)를 포함하며, 통행의 공간적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토지이용 현황과 결합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대중교통 체계로서 도시 DRT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구글 Directions API와 지선버스 승차데이터(201, 202 노선)를 활용하여, 대중교통 통행시간과 노선버스 통행수요를 DRT 통행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세종시 DRT 통행은 청소년의 통학과 중장년층의 통근에 주로 활용되며 대중교통과 유사한 첨두시간대를 형성하고, 생활권 전역에 걸쳐 산발적인 수요로 나타났다. 특히, (1)중고밀 주거지역; (2)BRT정류장; (3)상업지역, 학교, 직장, 종합병원; (4)대중교통 접근 취약지역에서 빈번한 통행이 발생하였고, 대중교통 대비 통행시간이 35.6% 단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보시간(56.8%)과 대기시간(55.9%) 감소와 승차공유로 인한 탑승시간 증가(20.4%)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세종시 DRT는 생활권 내 다양한 일상통행에 대응하고 BRT와 연계하는 대중교통 보완수단으로써, 근린중심 도시계획과 대중교통 체계와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 교통체계 관점에서 DRT의 통행수요와 정체성을 규명한 본 연구는, 새로운 대중교통 체계로서 도시 DRT를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Demand Responsive Transport (DRT) service incorporated wit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s emerging as a new urban transportation system. DRTs flexibility in answering to individual users calls coupled with smart technology provides enhanced operation efficiency and user convenience. This research analyses the transit demand for Demand Responsive Transit (DRT) service Shucle in Sejong Administrative City, a planned city with a neighborhood-centered formation, based on the travel time and GPS data collected by the DRT service from a spatiotemporal perspective. The study first presents descriptive analysis of the 20,793 concluded travels on weekdays in May 2022 broken into 1-hour time periods from 06:00 to 24:00 from a temporal perspective, followed by a spatial analysis combining land use and fixed-route bus stops data in the Living Sphere 1 on QGIS. Lastly, to investigate the role of urban DRT in the public transportation (PT) system in Sejong, this research presents a comparative analysis of travel time and user demand of DRT and PT using Google Maps Directions API and boarding data by stops on fixed-route buses 201 and 202 respectively.

DRT service in Sejong is mainly utilized for commute to school by the teenagers and to workplaces by the middle-age population group with peak hours similar to those of PT, and the demand occurs sporadically from all over the service coverage area. DRT demand frequently occurred in (1) medium- to high-density residential areas; (2) BRT stops; (3) commercial areas; schools, workplaces, general hospital; and (4) areas with limited PT accessibility. Travel time was shorter in DRT by 35.6% with notably reduced walking and waiting time, 56.8% and 55.9% less in comparison to PT respectively, but the ride itself taking 20.4% longer due to detouring shared routes. DRT acts as a complementary mode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PT system based on fixed-route buses and the neighborhood-centered urban planning, responding to various daily traffic demand, and connecting the area to the BRT system. Understanding the travel demand of urban DRT and the identification of DRT as a part of the PT system through this empirical analysis can provide a meaningful insight to introducing DRT as a sustainable urban transportation system.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제 2 장 선행연구 고찰 6
제 1 절 수요응답교통의 개념 6
1. 유연한 대중교통 수단 7
2. 운행방식과 역할 8
3. 잠재시장과 가능성 10
제 2 절 DRT 통행수요 분석 12
1. 도시 DRT 도입과 데이터 기반 통행분석 12
2. 통행수요의 시공간적 특성 15
3. 대중교통 체계와 DRT의 역할 17
제 3 절 선행연구와의 차별점 20

제 3 장 연구 대상과 방법 21
제 1 절 연구 대상 21
1.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21
2. 셔클 서비스 25
제 2 절 데이터 27
1. 셔클 통행 데이터 27
2. 토지이용 데이터 28
3. 노선버스 승차 데이터 28
제 3 절 연구 방법 29
1. 통행수요 분석 29
2. 시간적 특성 분석 30
3. 공간적 특성 분석 31
4. 대중교통 통행과 비교 32

제 4 장 분석 결과 34
제 1 절 세종시 DRT 통행수요와 시공간적 특성 34
1. 통행수요의 시간적 특성 34
2. 승하차 정류장의 공간적 특성 38
3. 통행패턴의 시공간적 특성 42
제 2 절 DRT와 대중교통 간 통행수요 비교 44
1. 통행시간 44
2. 승차정류장 46
제 3 절 토 의 49

제 5장 결론 56

참고문헌 58

Abstract 62
-
dc.format.extent6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시 수요응답교통(도시 DRT)-
dc.subject온디맨드 대중교통-
dc.subject유연한 대중교통-
dc.subject지속가능한 도시교통-
dc.subject세종시-
dc.subject셔클(Shucle)-
dc.subject.ddc711-
dc.title수요응답교통(DRT) 통행수요의 시공간적 특성 분석-
dc.title.alternativeAnalysis on the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Demand Responsive Transport Trips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hucle Service in Sejong-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OOYOUNG KIM-
dc.contributor.department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3-02-
dc.title.subtitle세종시 셔클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dc.contributor.major도시및지역계획학-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6726-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9▲000000000056▲000000176726▲-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