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동거리로 본 국토 불균형 : A study on the Regional Disparity in Migraion Distance Using the New Concept of Retaining Power Distance
인구유지력거리 개념을 활용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선영

Advisor
송재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인구이동누적분포함수인구유지력국토균형이동분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2023. 2. 송재민.
Abstract
Understanding the regional change in population is significant i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because population has huge impact on the prosperity or decline of cities. Recent changes in regional population are more affected by social migration than by natural population increase or decrease. Thus, an in-depth study on migration distance and patterns is necessary. Specifically in Korea, population is highly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hich makes regional disparity a serious issue.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understand the migration distance and patterns of people moving out of each region.
Traditionally, the law of gravity, which assume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people moving and their distance is widely used to analyze migration distance and patterns. The average moving distance was used as an indicator of distance. Averages are useful for statistical analysis as they can provide abstract information with a single number. However, it does not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Especially, considering the regional disparity, the law of gravity has limitations in explaining population movement.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proposed a new distance calculation method, the Population Retaining Power Distance. Using the Population Retaining Power Distance method, the migration patterns in Korean cities were analyzed using KOSIS migration data of 2019. This method advanced the Push and Pull Framework and the gravity model and was based on the methodology of the consumer spotting technique us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filed. This method can explain the power and influence range of a region to maintain its population, and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ities. Furthermore, it can be used to explain the sustainability of a city.
Second, using the Dynamic Time Warping method, the Population Retaining Power Distance was analyzed for each city across the country in 2019.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t movement patterns for each city. Based on this, five types of Population Retaining Power Distance in Korea are confirmed. Among five types, two types are with a strong ability to retain population and three types are with weak ability to retain population. Finally, dynamic changes in the type of Population Retaining Power Distance 2010 were analyzed based on that of 2019, and changes in migration patterns were analyzed in depth. The analysis confirmed that the imbalance in the power to retain the population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provincial metropolis was further exacerbated, and the imbalance i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was intensified. Howeve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Gyeongsangnam-do and Jeonlanam-do showed slightly higher population reten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poses a new method to understand the power of retaining the population of a city through movement distance. Also, the study confirms the movement distance pattern of the outflow population in each city. The Population Retaining Power Distance can be used as a tool to infer the sustainability of a city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ities.
인구는 도시의 번영과 쇠퇴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한 지역이 겪는 인구의 변동을 파악하는 것은 도시 및 지역계획 관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지역이 겪는 인구 수 및 구조의 변화는 자연적 인구증감으로 인한 것보다 사회적 인구이동의 영향을 더 받고 있다. 따라서 인구이동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는 수도권의 인구집중화 현상과 지역불균형의 문제가 심각한 상황으로 각 지역 전출자들의 이동거리 및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였을 때 전통적으로 인구이동 수와 이동거리는 선형관계를 가진다는 중력법칙은 인구이동을 설명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습적으로 이동거리를 대리하는 지표로 평균이동거리를 사용해 왔다. 평균은 하나의 숫자를 통해 응축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통계 분석 시 유용하게 쓰이고 있으나, 지역의 이동거리가 편향된 분포를 갖게 되었을 때 그 값이 가지는 의미가 왜곡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분석에는 편리성을 제공하나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한계를 가진다.
이에 이 연구는 첫째, 인구유지력거리라는 새로운 이동거리 계산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Push and Pull Framework와 기존의 중력모형을 발전시킨 것으로 경영학에서 쓰이는 소비자분포이론의 방법론을 바탕으로 하였다. 한 지역이 인구를 유지하는 힘과 영향 범위를 설명할 수 있고 도시 간 상호관계 파악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며 더 나아가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둘째, 시간동적왜곡 방법을 사용하여 2019년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지역마다 다른 이동 패턴이 존재함을 밝혔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에 다섯 개의 인구유지력거리 유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이 인구를 유지하는 힘이 강한 두 가지 유형과 인구를 유지하는 힘이 약한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마지막으로 2019년을 기반으로 2010년의 인구유지력거리 유형의 동태적 변화를 분석함에 따라 이동패턴의 변화를 심층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 간 인구를 유지하는 힘의 불균형이 더 악화되어 국토의 인구분포 불균형 현상이 대체로 심화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경상남도 및 전라남도의 중소도시의 인구 유지력은 조금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이동거리를 통해 지역이 인구를 유지하는 힘을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점과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전국 지역의 인구이동 패턴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지닌다. 더 나아가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는 도구이자, 도시 간 관계를 심층분석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457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29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