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농촌다운 경관을 위한 축산업 혁신 및 농촌 공간 계획 제안 : Promoting Agricultural Innovation and Rural space Planning for Ruralism Landscapes : Focusing on Hoengseong County
횡성군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유미-
dc.contributor.advisor손용훈-
dc.contributor.advisor임 저스틴 희준-
dc.contributor.author고혁준-
dc.date.accessioned2023-11-20T04:13:54Z-
dc.date.available2023-11-20T04:13:54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923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618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230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2023. 8. 이유미-
dc.description손용훈-
dc.description임 저스틴 희준.-
dc.description.abstract국내 축산업의 성장은 농촌 경제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나 양적인 성장에 집중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육류 소비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사육두수 급증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 적정 사육밀도를 유지하지 못해 발생하는 동물복지의 문제, 사육 두수의 급증으로 인한 과잉 공급에 따른 가격 인플레이션 등 현재 국내 축사는 사육두수를 감축하고 오염 저감 및 민간 피해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축산업자에게 일방적인 사육 두수의 감축과 환경 관련 제재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문제에 효과적이며 동물복지 6차 산업 축산 모델인 방목생태축산 대두되었다. 사육두수 감축으로 인해 감소하는 수입을 관광, 체험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충당할 수 있도록 하는 방목생태축산은 국내 축산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로 여겨지며 이를 권고하는 다양한 사업이 실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우하면 떠오르는 횡성군을 대상으로 선진방목 ESG 모델인 방목생태축산을 제안하며, 기존의 축사에 가둬져 키우는 것이 아닌 한우를 활용한 방목 경관의 조성으로 횡성다운 경관의 조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New Ruralism에 따르면 최근 농촌지역에 대한 주요 이슈는 농촌 고유의 생산적 가치와 모습을 찾고자 하는 농촌성(Rurality)을 넘어서 농촌 가치에 기반한 농촌계획의 원칙으로서 농촌다움(New Ruralism)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Viviers et al., 2017; Carlow, 2017; OECD, 2018) 1). 그러나 횡성의 최대 가치로 뽑히는 한우는 축사에서 길러져 횡성군의 경관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우가 보이는 횡성군의 공간 계획을 위해 횡성군의 축사의 유형화를 진행하여 방목생태축산 적합 축사를 추출하고 축사별 관리 방안을 제시하며, 누적가시도분석을 통한 도로에서 보이는 축사들을 추출하여 경관적으로 활용 가능한 축사들을 선정한다. 이후 추출한 축사의 형태를 분석하고 대표적인 대상지를 선정하여 횡성군 방목생태축산 축사의 공간 계획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횡성 다운 경관, 관광 체험을 제안하고자 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6
1. 연구의 배경 6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8

2절. 연구의 범위 10
1. 공간적 범위 및 현황 10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공간 계획 참고 사례
1절. 이론적 배경 11
1. 방목생태축산 11
2. New Ruralism 13

2절. 선행연구 및 사례 검토 14
1. 목축경관의 실태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14
2. 군집분석을 이용한 공간 유형화 및 활용 방안 선행연구 14
3. 농촌다움 보전을 통한 농촌 활성화 계획 사례 15
4. 유럽 방목축산 6차산업 사례 17
5. 일본 타지마 방목생태축산 사례 19

3절. 인터뷰 20
1. 횡성군 영농인과의 인터뷰 20
2. 방목생태축산업자와의 인터뷰 20
3. 인터뷰 내용 정리 21


제3장 연구 방법
1절. 연구의 방법 22
1. 연구의 자료 22
2. Python & K-means 유형화 23
3. 대상지 선정 방법 25
4. 연구의 흐름 28

제4장 축사 유형화 분류 및 대상지 선정
1절. 축사 유형화 분류 29
1. K-means 분석을 통한 축사 유형화 분류 29

2절. 대상지 선정 31
1. 누적가시도분석을 통한 도로에서 보이는 경관 축사 추출 31
2. 답사를 통한 검증 및 축사별 특징 분석 31
3. 가시성 있는 축사의 유형 분류 32

제5장 대상지 설계
1절. 대상지 공간 계획 가이드 라인 33
1. 윤환방목 33
2. 사육두수에 따른 적정 방목 면적의 선정 33
3. 방목생태축산 방목지 수종 선정 33
4. 방목지 내부 수목 배치 37
5. 곡선 형태의 방목지 조성 37
6. 방목지와 사료작물 재배지의 배치 38
7. 기존 시설의 이용 39

2절. 가이드라인 설계안 적용 방안 40
1. 방목지 조성 가이드라인 적용 방안 40
2. 건축물 디자인 방안 42

3절. 방목 공원 사례 연구 43

4절. 대상지 설계 개념 및 계획 45
1. 공근면 매곡리 56-2 (경관형) 45
2. 횡성읍 옥동리 31 (소규모 관광/체험형) 50
3. 횡성읍 개전리 570 (방목 파크) 57

제6장 결론 및 논의
1절. 연구의 요약 65
2절. 연구의 의의 및 향후 과제 66

참고문헌 67
부록 71
1. 방목생태축산업자와의 인터뷰 전문 71
2. 4번 클러스터 중 경관적으로 활용 가능한 축사 현황 조사 74
2. 횡성군 전체 축사지 데이터 값 및 유형화 결과(파일 첨부) 83
-
dc.format.extent83-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방목생태축산-
dc.subject농촌 계획-
dc.subject유형화-
dc.subject축산업-
dc.subject조경 설계-
dc.subject공간 계획-
dc.subject.ddc712.3-
dc.title농촌다운 경관을 위한 축산업 혁신 및 농촌 공간 계획 제안-
dc.title.alternativePromoting Agricultural Innovation and Rural space Planning for Ruralism Landscapes : Focusing on Hoengseong County-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oh hyeok june-
dc.contributor.department환경대학원 환경설계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3-08-
dc.title.subtitle횡성군을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923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50▲000000000058▲00000017923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