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제2형 당뇨병으로 가정간호를 이용하는 노인의 복약순응도와 관련 요인 - 2017-2021년 건강보험 청구자료 분석 - : Medication adherence and related factors among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who use home health ca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도연

Advisor
우경미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복약순응도의료기관 가정간호제2형 당뇨병앤더슨 행동모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간호대학 간호학과, 2023. 8. 우경미.
Abstract
We examined medication adherence among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who use home health care using Andersons behavioral model.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various factors affecting medication adherence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home health care, and also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intervention measures related to the medication status check conducted by home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s.
This is a retrospective and correlational study using secondary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It was conducted on 8,651 older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had experienced home health care for the primary diagnosis of type 2 diabetes at least once in the past five years. Medication adherence was examined according to prescription history, and the level of medication adherence was determined based on the Medication Possession Ratio (MPR) threshold of 90%.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edication adherence, measured by MPR, among older adults who use home health care for type 2 diabetes was 88.5%. This rate is higher than those reported in prev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with 64.6% of all participants classified in the medication adherence group (MPR≥90%).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medication adherence (MPR≥90%) based on Anderson's behavioral model. In Predisposing Factors, being female (aOR=1.14, p=0.016) and being aged 85 or older (aOR=1.17, p=0.034) were associ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In Enabling Factors, participants residence was correlated with medication adherence: living in small-and medium-sized cities (aOR=0.85, p=0.001) and rural areas (aOR=0.38, p<0.001) was associated with lower medication adherence. Moreover, the number of home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s per residence (17 or more) affected medication adherence (aOR=1.21, p=0.048). In Need Factors, dementia and cognitive impairment (aOR=0.8, p=0.000), a Charlson Comorbidity Index of 3 or higher (aOR=0.81, p=0.018), higher out-of-pocket medication costs (≥ 77,000 KRW) (aOR=1.63, p=<0.001), and a greater number of concomitant medications with diabetes medication (10 or more) (aOR=1.31, p=0.000) influenced medication adherence.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medication adherence and the number of home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s. Moreover, participants medication adherence was higher than diabetic patients both domestically and abroa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ome health care for medication management could be an alternative approach to prevent diabetes complications among older adults with diabetes in the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hold potential for informing and promoting policies aimed at enhancing the utilization of home health care services.
In addition, to fully understand how home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s manage medication status and provide medication education, it is essential to conduct surveys or analyze nursing records to identify all nursing interventions being implemented.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and education provided by home health care nurse practitioners in promoting medication adherence and enabling effective disease management for diabetic patients who use home health care. Furthermore, conducting research that compares medication adherence before and after receiving home health care services contributes to improving home health care personnel development and related nursing costs.
본 연구는 앤더슨의 행동모형을 적용하여 제2형 당뇨병으로 가정간호를 이용하는 노인 대상자들의 복약순응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파악하여 가정간호 활성화, 가정전문간호사의 복약상태 확인 업무 관련 간호 중재 마련 시 근거자료로 활용되고자 시행되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자료인 이차 자료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이자 상관관계연구로 2017년-2021년 5년간 주상병명 제2형 당뇨병으로 가정간호를 1회 이상 시행한 만 65세 이상 대상자 총 8,651명의 조제내역에 따른 복약순응도를 약물소지비율(Medication Possession Ratio, 이하 MPR)로 측정하고 임계값 90%를 기준으로 복약순응 여부를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제2형 당뇨병으로 가정간호를 받는 노인 대상자들의 MPR은 평균 88.5%였으며, 전체 대상자의 64.6%가 복약순응군(MPR≥90%)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존의 국내외에서 측정된 복약순응도와 전체 대상자의 복약순응군 비율이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앤더슨 행동모형에 기반하여 복약순응(MPR≥90%)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행요인에서는 여성(aOR=1.14, p=0.016), 85세 이상 고연령(aOR=1.17, p=0.034)이 복약순응 여부에 영향을 미쳤다. 가능요인으로는 대상자의 거주지가 대도시, 중소도시(aOR=0.85, p=0.001) 또는 농·어촌(aOR=0.38, p<0.001)에 따라 복약순응 여부와 관련이 있었으며 거주지 기준 가정전문간호사 수(17명 이상) 또한 복약순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aOR=1.21, p=0.048). 욕구요인에서는 치매 및 인지장애(aOR=0.8, p=0.000), 3 이상의 Charlson 동반질환지수(aOR=0.81, p=0.018), 높은 약제 본인부담비용(77,000원 이상)(aOR=1.63, p=<0.001), 당뇨약과 병용하는 많은 약 품목 수(10개 이상)(aOR=1.31, p=0.000)가 복약순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거주지 기준 가정전문간호사 수가 대상자의 복약순응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점과 본 연구 대상자들의 복약순응도가 국내외의 당뇨병 환자들에 비해 높았다는 점은 의료기관 가정간호 시행이 지역사회 내 당뇨병 노인 환자들의 당뇨 관련 합병증 발병 예방을 위한 복약관리 중 하나의 대안으로 충분히 검토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의료기관 가정간호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가정전문간호사의 복약상태 확인 및 복약교육 관련 간호중재가 어떻게 시행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나 간호일지 분석을 통한 다각적이고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가정전문간호사의 상담·교육 등의 중요성을 부각하며, 의료기관 가정간호를 통한 당뇨병 환자들의 질환 관리 가능성을 논증할 수 있겠다. 또한, 가정간호 시행 전·후 복약순응도 차이를 비교하는 추가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언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가정간호 전문인력 양성과 수가 개선을 기대해 본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20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7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