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ree essays on accumulated technological knowledge of the firms : 기업의 축적된 기술 지식에 관한 세편의 소론: 축적된 기술 지식의 다면적 본질, 측정 그리고 전략
Multifaceted nature, measure and strategy about accumulated technological knowledg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승환

Advisor
이정동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Technological knowledge accumulationTechnology accumulation patternTechnology accumulation measurementTechnology accumulation strategyPatent disambiguationEmpirical analysis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 2023. 8. 이정동.
Abstract
Firms that do not innovate cannot survive. This is because the innovation not only increases the firm's survival rate, but is also a necessary condition for adapting to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due to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 firm's innovation is achieved through co-evolution between product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which compose it. In particular, technological innovation precedes product innovation and forms the basis for product innovation. Firms can develop new innovative products based on accumulated technology and grow financially by selling these innovative products to the market.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echnology, which is conceptually located at the very bottom lay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growth of a firm.
However, technological knowledge is not easily acquired and needs a long time for its accumulation. This is because technological knowledge can only be accumulated within a firm through a sufficient accumulation period to experience trial and error. Therefore, various concepts have been creat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echnological accumulation, which requires considerable resources. These concep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methods of accumulation to explain how to accumulate technology, strategies of accumulation to carry out the methods of technology accumulation, and aspects of accumulation, which describe phenomena that appear as a result of technology accumulation strategies.
Yet, previous studies have room for improvement in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 since the concept of technological accumulation is three-dimensional, it cannot be explained with just one concept. Next, the method of accumulation of technology varies over time as it follows dynamic changes. Lastly, since the complexity of technology development varies for each technology, the heterogeneity of technology will also affect the strategy of technology accumul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discussions related to technological knowledge accumulation in firms from various aspects. In addition, a time-series analysis over time was confirmed to understand dynamic changes. To this e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n unbalanced panel data set that linked patents and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firm. Finally,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echnological knowledge accumulation should be understood in a more elaborate manner.
Specifically, in Chapter 3, the dynamic process of accumulating technological knowledge within a firm was examined from a multifaceted perspective. First, as the firm's tenure increased, the entire technological knowledge (including both the core and the periphery) of the firm gradually migrated. Next, as the firm's tenure increased, the boundary of the firm's technological knowledge expanded. Finally, the firm's technological knowledge was accumulated following a pattern of punctuated equilibrium. Integrating all three perspectives, it is found that the accumulation of technological knowledge within firms follows the process of 'gradual migration with punctuated equilibrial expansion'.
In Chapter 4, a new method of measuring technological capability through the aspect of accumulated technological knowledge was presented. A firm's technology capability was measured indirectly through the breadth, depth, and coherence of its technological portfolio. Through the devised technology capability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firms in Korea's 'Manufa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 Radio, Televis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pparatuses ' industries hav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deepening the depth of core technology.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a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ts long-term financial performance, and a U-shaped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a firm's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ts innovation performance. In the dilemma between innovation performance and long-term financial performance, firms have to decide whether to invest in technology capabilities for the future.
In Chapter 5, it was clarified how the strategy of technology accumulation (in terms of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and technological complexity) should differ depending on the size and the level of technology stock of the firm. First,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is the optimal technology accumulation strategy for financial performance of the firms with high technology stocks and large sizes. Next, for a small firm with a high technology stock, the optimal technology accumulation strategy is to increase financial stability rather than additional technology accumulation. Finally, for firms with low technology stocks, regardless of size, they need to either increase the complexity of their technologies or make efforts to increase their technology stocks.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technological diversification on financial performance should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firm.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essential to take a more sophisticated approach that considers the multifacetedness, dynamics, and heterogeneity of technological knowledge for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technological knowledge accumulation within a firm.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technological knowledge and its accumulation show i) unconverged results and ii)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our reality, which are caused by attempts to simplify and understand technological knowledge as much as possible, like drawing 'croquis'. This was an unavoidable choice despite the loss of information because it was prioritized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movement or form of technological knowledge. When we accept the three-dimensional, dynamic-changing, heterogeneous technological knowledge and firms as they are, we will be able to fully understand and explai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he growth of firms.
혁신하지 않는 기업은 생존할 수 없다. 기업의 혁신은 기업의 생존율을 높일뿐더러, 새로운 기술의 탄생으로 급변하는 환경 속 적응을 위한 필요조건이기 때문이다. 기업의 혁신은 이를 구성하고 있는 제품 혁신과 기술 혁신 간의 공진화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특히, 기술 혁신은 제품 혁신보다 더 선행하여 나타나, 제품 혁신의 토대를 형성하게 된다. 기업은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혁신 제품을 개발할 수 있으며, 혁신 제품을 시장에 판매함으로써 재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성장을 이해하기 위해 개념적으로 가장 기저에 위치한 기술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술 관련된 지식은 쉽게 획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닌, 오랜 축적이 필요하다. 오직 시행착오를 경험하기 위한 충분한 축적의 시간을 통해 기술 지식은 기업 내에 축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많은 자원이 요구되는 '기술 축적'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개념들이 만들어져 왔다. 다양한 개념들은 크게 기술 축적을 어떻게 할 것인지와 관련된 축적의 방법, 기술 축적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축적의 전략, 기술 축적의 전략에 따른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인 축적의 양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다음의 3가지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먼저 기술의 축적 양상은 입체적이기 때문에, 하나의 개념으로만 설명할 수 없다. 다음으로, 기술의 축적의 방법은 역동적인 변화를 따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진다. 마지막으로 기술 개발의 난이도는 기술마다 다르기에, 기술의 이질성은 기술 축적의 전략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업의 기술 축적과 관련된 논의들을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동태적인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시간에 따른 시계열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의 특허와 재무 정보를 연결한 불균형 패널 데이터 셋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술 축적에 관한 기존의 논의가 보다 더 정교하게 이해되어야 함을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3장에서는 기업 내 기술 지식이 축적되는 동태적인 과정을 다면적인(multifaceted)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먼저 기업의 업력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의 기술 지식 전체(중심과 주변부를 포함하는)는 점진적으로 이동(gradual migration) 하였다. 다음으로, 기업의 업력이 증가함에 따라, 기업의 기술 지식의 외연(boundary)은 확장(expansion) 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기술 지식은 단속 평형(punctuated equlibrium) 식으로 축적되었다. 세 가지 관점을 통합하여, 기업내 기술 지식의 축적이 '단속 평형식으로 확장하며 점진적으로 이동(gradual migration with punctuated equilibrial expansion)'의 과정을 따름을 밝혔다.
4장에서는 축적된 기술 지식의 양상(aspect)을 통해 기술 역량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업이 보유한 기술 포트폴리오의 너비(breadth), 깊이(depth) 그리고 정합성(coherence)을 통해 기업의 기술역량은 간접적으로 측정되었다. 고안된 기술 역량 지수를 통해, 대한민국의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 산업 내 기업들은 핵심기술의 깊이가 깊어지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기업의 기술 역량과 기업의 장기적 재무적 성과 사이에는 역-U자 형의 관계가 관찰되었고, 기업의 기술 역량과 기업의 혁신 성과 사이에는 U자 형의 관계가 관찰되었다. 혁신 성과와 장기적 재무적 성과 사이 딜레마 속에서, 기업은 미래를 위한 기술역량에 투자할 것인지 결정해야 할 것이다.
5장에서는, 기업의 규모 및 기술 재고의 수준에 따라 기술 축적의 전략(기술 다각화 및 기술 복잡성)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규명하였다. 먼저 기업의 기술 재고가 높고, 기업의 규모가 큰 기업은 기술 다각화가 재무적 성과를 위한 최적의 기술 축적 전략이다. 다음으로 기업의 기술 재고가 높지만 기업의 규모가 작은 기업의 경우, 추가적인 기술 축적의 전략보다는 재무적 건전성을 높이는 것이 최적의 기술 축적 전략이다. 마지막으로 기술 재고가 낮은 기업들의 경우, 규모와는 상관없이 보유한 기술의 복잡성을 높이거나 또는 기술 재고를 높이려는 노력을 해야만 한다. 이를 통해, 기술 다각화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이 처한 상황(즉,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기업 내 기술 지식의 축적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데 있어서 기술 지식의 다면성 (multifacetedness), 동태성 (dynamics) 그리고 기술 간 이질성 (heterogeneity)을 고려한, 보다 정교한 접근이 중요하다. 기술 지식의 축적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의 1) 수렴되지 않은 결과 및 2) 현실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발생하는 한계는, 기술 지식을 크로키(croquis)와 같이 최대한 단순화하여 이해하려는 시도에서 기인한 것이다. 이는 동세나 형태의 특징을 잡아내는 것이 우선시 되었기 때문에, 정보의 손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입체적인 모습의,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이질적인 기술 지식과 기업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때, 우리는 기술 혁신과 기업의 성장을 오롯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54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7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