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Discord surrounding Eurasian Economic Integration: Case-study on Belarus and Kazakhstan : 유라시아 경제통합에 관한 담론: 벨라루스와 카자흐스탄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혜

Advisor
송지연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EAEUEurasiaBelarusKazakhstanRegional IntegrationRussia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협력전공), 2023. 8. 송지연.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s national preferences of Belarus and Kazakhstan who are members of the Eurasian Economic Union. By using Moravcsik's rationalist framework, this research will identify two different states geo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within the membership of the EAEU. This framework will also reveal the behavior of two states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which is resulted from a reasonable process of selecting choices on national preferences and interests. By examining geo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of two states mentioned above, this paper will reveal clear national preferences of two former Soviet Union states.
To begin with, this paper introduces the background of Belarus and Kazakhstan on geopolitical factors and economic factors to join the EAEU. This analyzes intentions of two states. Secondly, national preferences of two states show ideas on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situations that the member states encounter before and after the time of membership in the EAEU. Thirdly, this paper shows various factors which effected Belarus and Kazakhstan's choices to join the Eurasian economic union. With three findings this research gives a comprehensive view on Belarus and Kazakhstan, and importantly, the EAEU.
Moreover, this research discovers meaningful results from the two status on economic and geopolitical interests. Belarus, with its geopolitical interests, show support for Russia, pro-Russian national preferences. In economic interests, Belaruss bilateral trade with Russia is important, pro-Russian monetary policy, and domestic economic factors affect heavily. With the comparison of two factors, this paper points out that for Belarus, economic interests are mor weighted than the geopolitical interests.
Furthermore, Kazakhstan shows different national preferences with Belarus. For Kazakhstan, the membership to the EAEU is more related to geopolitical concerns. Kazakhstan considers geopolitical interests seriously, with the multi-vectorism as their official diplomatic agenda and their devotion to increase its political voice in Eurasia region, under the name of the EAEU. Then, for economic interests, factors such as direct economic benefits impacted Kazakhstan to participate in the EAEU, particularly with foreign direct investments for their domestic growth.
Lastly, this paper will pave the roads for future analysis and studies on the EAEU and its member states. The regional cooperation between Eastern Europe and Central Asia could become a fruitful research areas. Thus, this research will show how states gains membership based on different national preferences. By this attempt, this paper will not only show how these preferences differ based on their national policy, identity, and perspectives towards the region but also how these national preferences are different in terms of geo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본 연구는 유라시아 경제연합 회원국들인 카자흐스탄과 벨라루스의 국가적 선호를 합리주의 틀에 기반하여 연구한다. 이러한 방식은 두 국가가 선택하는 국가적 선호인 지정학적 이익과 경제적 이익을 확인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특히 모라브칙의 이론적 틀은 선택의 과정에서 비롯된, 국제협력을 이뤄내는 국가들의 행동양식을 설명할 것이다. 본 연구는 앞에서 언급된 두 국가의 지정학적 이익과 경제적 이익을 파악함으로써 구 소비에트 연방 국가들이었던 이들의 국가적 선호를 명확하게 드려내고자 한다.
첫째로, 본 논문은 벨라루스와 카자흐스탄의 지정학적 이익과 경제학적 이익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배경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서 두 나라가 왜 유라시아 경제연합에 가입하였는지 그 의도를 밝히려고 한다. 두 번째로, 이러한 국가적 선호, 특히 두 국가가 유라시아 경제연합 가입 이전 및 이후 두 국가들이 겪었던 대내외적 상황들에 대한 논의할 것이다. 셋째로, 본 연구는 벨라루스와 카자흐스탄이 유라시아 경제연합을 가입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끼친 다양한 요인들을 보여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세가지의 중점적인 부분들을 파악해여 벨라루스와 카자흐스탄, 그리고 유라시아 경제연합에 대한 포괄적인 시각을 구축한다.
또한, 본 연구는 두 국가들의 경제적 이익과 지정학적 이익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발견한다. 벨라루스부터 시작하자면, 지정학적 이익 이익 측면에서는 러시아에 대한 지지, 친 러시아적 국가적 선호를 보여준다. 또한 경제적 이익 측면에서는, 러시아와 양자무역의 중요성, 친 러시아 통화정책, 그리고 국내 경제적 요인이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점이 보여진다. 이러한 두 가지 요인의 비교를 통해 벨라루스는 경제적 요인이 지정학적 요인보다 더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경제적 이익과 지정학적 이익에서 벨라루스와는 달리, 카자흐스탄은 다른 국가적 선호를 나타내고 있다. 카자흐스탄이 중요시하는 공식 외교정책인 전방위외교와 유라시아 지역 내 정치적 목소리를 높이려는 노력은 유라시아 경제연합을 지정학적 이익에 기반하여 전략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경제적 이익 측면에서는 유라시아경제연합 소속으로 얻는 경제적 이득과, 국내 성장에 필요한 외국인직접투자 등이 발견된다. 카자흐스탄에 있어서 지정학적 이익이 경제적 이익보다 더 큰 중요성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향후 유라시아 경제연합과 회원국들에 대한 관련 연구의 초석과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이는 큰 중요성을 갖는데, 바로 유라시아 경제연합이 유라시아의 유럽연합처럼 점진적으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동부 유럽과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지역경제통합 또한 새로운 분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하여, 본 논문을 통해서 어떻게 국가들이 서로 다른 국가적 선호에 기반하여 지역경제통합에 가입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려고 한다. 이러한 접근방식을 통해서, 언급된 국가적 선호가 소속된 지역을 향한 국가의 정책. 정체성 그리고 관점에 의해서 상이성을 띄고, 이 국가적 선호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해답을 구할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65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13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