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형상을 감추며 드러내는 무늬그림 연구 : A Study on the Pattern-Painting that Conceals and Reveals Shapes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유정

Advisor
임자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형상과 배경무늬그림위장평면성위계 없는 화면화면의 확장시지각 원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서양화과, 2023. 8. 임자혁.
Abstract
I create painting by filling shapes with units that compose the background, or by filling the background with shapes without leaving any blank space, resulting in a flat, two-dimensional image with a minimal sense of depth. As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hape and background becomes obscure, the shape becomes concealed. Therefore, my paintings usually contain hidden images. I then explicitly specify the hidden subject of depiction in the titles of my paintings, inviting the viewers to discover the concealed images.
The paintings portrayed in this way has no hierarchy between the shape and the background, rather, it places equal emphasis on both elements. This is because the solid distinctions between opposing elements, such as shapes and backgrounds, or major shapes and minor shapes, are blurred and indistinguishable from each other. The way I paint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the dominant and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shapes and backgrounds,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depicted objects, and relationship between three-dimensional space and the objects that exist within it, emphasizing the value of flatness and equality. And I refer to such paintings as pattern-paintings.
I experiment with two main way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e and background. The first method is to make the shapes similar to the background and repeat the shapes throughout the painting to create a cohesively clustered image. These two ways have in common that they highlight shapes and draw inspirations from by optical illusions and patterns found in animals and nature.
The second method is to combine transparent circular patterns with shapes and evoke shapes from marbled pattern backgrounds. Both methods have in common that the background is painted first, and then the shape is overlapped on the top of the patterned background. Although the background was painted first, it is difficult to easily distinguish which layer was put first, the background or the shape.
In addition, I try to create large-scale landscapes in prints to delay the perception of grasping the whole and make the deviation larger whe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hape and the background, the whole and the part. From a distance, the landscape has a slight sense of depth, but up close, the surface looks flat with noticeable elements such as patterns. Additionally, I create two-dimensional landscapes without depth, by using materials that have transparent and distorting qualities, such as water surface, to disperse the focus.
This study has been a process of finding answers to the questions of why something should be hidden, why it must be found, and why I enjoy these artistic practices. Ultimately, I have realized that hiding objects by revealing while hiding is not intended to show a certain existence clearly, but to experience a certain existence that is perceptually revealed. The purpose of blurring distinction between opposing elements, such as shape and background, and figurative and abstract expression, is to make viewers interested in how they see rather than what they see. Additionally, I hope that through my paintings, viewers can escape from the situations where they are forced to accept something in a stereotyped way not based on their own opinion.
나는 그림을 형상을 배경을 이루는 단위로 하여 채워 그리거나, 배경을 여백 없이 형상으로 가득 차게 하여 공간감이 거의 없는 평면적인 화면을 만든다. 형상과 배경의 관계에 있어 둘 사이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면 형상은 결과적으로 숨겨지게 된다. 나는 그림의 제목에 숨어있는 대상을 명시하여 감상자가 찾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그려진 화면의 특징은 형상과 배경의 관계가 위계적이지 않고 평등하다. 왜냐하면, 형상과 배경, 주연과 조연처럼 서로 반대항에 있는 것들의 견고한 구분이 모호하게 되어 서로 구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나는 형상과 배경의 우열관계, 그려진 대상 간에 서열 관계, 삼차원 공간과 그 안에 실재하는 사물의 관계의 경계를 유동적이고 서로 침범하게끔 만들며 평평함과 평등함의 가치에 주목하는 그림을 그린다. 그리고 이러한 그림을 무늬그림이라 일컫는다.
나는 형상과 배경의 관계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실험했는데 형상을 이용하거나 배경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첫째로, 형상을 이용하는 방법에는 '형상을 배경과 비슷하게 만들기'와 '형상을 화면 전체에 반복해 응집된 무리를 만들기'가 있다. 이 두 방법은 형상을 중점적으로 그린다는 점과 자연계에서 발생하는 착시현상과 동물이 가진 무늬에 착안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둘째로, 배경을 이용하는 방법에는 '투명한 원형 무늬 배경과 형상을 결합하기'와 마블링 무늬 배경에서 형상을 연상하기'가 있다. 이 두 방법의 공통점은 무늬 배경을 만든 후 형상을 겹치는 방식으로, 형상보다 배경이 먼저 그려졌으나 결과적으로 형상과 배경이 그려진 층의 순서와 그 구분을 쉽게 할 수 없다.
이에 더해, 거대한 크기의 풍경을 판화로 제작해 전체를 파악하려는 인식을 지연시키며 형상과 배경의 관계, 전체와 부분을 감상할 때의 편차가 더 커지도록 한다. 멀리서 전체를 보면 약간의 공간감이 있는 풍경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무늬와 같은 조형 요소가 두드러지는 평면적인 화면이 된다. 또한, 수면과 같이 투명하고 대상을 왜곡시키는 특성이 있는 소재를 이용해 초점을 분산시킴으로써 깊이가 아닌 평면적인 풍경을 그린다.
이 연구는 그림에 무언가를 숨기며 드러내고, 찾게 만드는 과정을 즐기면서 왜 숨겨야 하는지, 왜 찾아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얻는 과정이었다. 이것은 결국 대상을 숨기는 감추며 드러내는 그리기 방식이 어떤 존재를 명확히 고정하여 보여주기 위함이 아니라 어떤 존재가 지각적으로 드러나기를 경험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되었음을 알았다. 형상과 배경, 구상과 추상처럼 대립항에 있는 것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여 보는 이가 스스로 선택하도록 하는 것은 관람객 자신이 무엇을 보는지보다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도록 만들기 위함이다. 이에 더해, 내 그림을 통해 사람들이 이분법적 태도나 자신의 의견 없이 주어진 대로 무언가를 받아들이며 보는 경직된 상황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날 수 있는 상태가 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74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44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