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립준비청년들이 지각하는 진로탐색 과정에서의 어려움에 대한 개념도 연구 : A Concept Study on Youths Career-related Difficulties after Discharging from Foster Ca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서정

Advisor
신윤정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립준비청년보호종료아동진로탐색의 어려움진로 제약진로개념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 2023. 8. 신윤정.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심리정서적 그리고 사회적지지 체계가 취약한 자립준비청년들이 겪는 진로탐색에서의 어려움을 확인 하고자 하였다. 이전 자립준비청년 관련 연구들은 전반적으로 정책의 단기적인 효과성에 집중했다면, 본 연구는, 장기적인 효과성이 있는 정책이 제정될 수 있도록 자립준비청년들의 실제 경험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립준비청년들이 경험하고 있는 진로탐색 어려움의 특수성을 분석하기 위해 자립지원 대상인 보호 종료 후 5년 이내의 자립준비청년 9명을 대상으로 초점질문 인터뷰를 진행한 뒤 도출된 총 43개의 대표 진술문을 연구참여자들이 직접 유사성 분류 및 중요도를 평정하도록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차원분석과 군집 분석을 시행해 개념도를 도출하였으며, 이는 43개의 진술문에서 2개의 차원에서 5개 군집들을 도출하였다.
해당 연구결과를 통해 자립준비청년들이 보호기간~퇴소임박기간인 시간적 축과 사람과의 관계~객관적 정보인 필요 자원 축을 중심으로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5개의 군집으로 인식되었는데, 군집 A는 다양한 진로 탐색 및 경험이 박탈된 진로 환경 (11문항), 군집 B는 진로정보 획득 기회의 결핍 (11문항), 군집 C은 물질적 독립이 최우선시 되는 진로 선택 (9문항), 군집 D는 정서적 지지와 유대감 상실 관련 진로 불안 (4문항), 마지막으로 군집 E는 자기이해 및 내적 탐색 기회의 결핍 (8문항)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진로탐색에서 자립준비청년들이 지각하는 어려움을 탐색하고, 이들이 보호 종료 후 어떠한 고민과 경험을 하는 지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보다 나은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추후 자립준비청년들의 정책을 위해 자립준비청년들이 퇴소 후 어떤 경험을 구체적으로 하고 있으며, 어떤 이유로 진로를 선택하는 지 확인하여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할 때 정부나 지자체에서 참고할 수 있으며 실효성 있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또한 체계적인 진로 상담과 심리지원의 개선 방향성을 제공하는 근거 자료로서 자립준비청년들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Youths who had been raised in foster care should prepare for discharge protection when they reach 18 years old in Korea. Every year, about 56% of 2,600 children have their protection expired and start to live independently. Since these young people stand on ones own feet with a poor protection system and lack of psychological support, they struggle with difficulties in a settlement after discharge. However, previous studies generally focused on the short-term effectiveness of macroscopic policies and system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observe a microscopic perspective on youths experience searching for their career to maintain healthy settlements and to reach out to their own decent work. A concept mapping mixed research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ose who recognize the potential structure of difficulties in the career exploration of young people after discharge from the residential care institu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cus questions on 9 young adults within 5 years after the end of protection. A total of 43 final statements were made by synthesizing and editing the derived statements and used for secondary data collection. The conceptual diagram was derived by conduct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hich derived five clusters in two dimen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in career exploration for those who are discharged from foster care are summarized by the "During protection period ~ After discharge period", and the Need of relationship ~ Lack of objective information" dimensions. The recognized five clusters were; cluster 1 'Rigid career environment in diversity' (11 statements), cluster 2 'Lack of career information acquisition opportunities' (11 statements), cluster 3 'Economic security prioritized in career choice' (9 statements), cluster 4 'Fear of loss of bond' (4 statements), and 'Lack of opportunities for self-understanding and inner exploration' (8 statemen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82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02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