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코로나19 이후 가정배경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Academic Achievement after COVID-19: Focusing on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부산교육종단연구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다현

Advisor
정동욱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코로나19학업성취도학업성취도 격차가정배경삼중차분법돌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행정전공), 2023. 8. 정동욱.
Abstract
The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academic achievement after COVID-19. This study assumes that the impact of the family background has increased after COVID-19. As non-face-to-face classes appeared after COVID-19, th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would have increased.

The research problem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did the distribution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gap in academic achievement change before and after COVID-19?
Second, has the family background on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after COVID-19?

The study used the Elementary school cohort(the fourth to the sixth wave) and middle school cohort(the first to the third wave) of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BELS). The academic achievement distribution map and the Gini coefficient were used for the first research problem. The Triple Differences Model was applied to the Ordinary Least Squares method, Student Fixed Model, and Two-way Fixed Model for the second research proble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reatment group that experienced COVID-19 experienced a more significant academic achievement gap in all subjects (Korean, math, and English)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COVID-19, the change in the middle to the upper range was noticeable. The middle level is generally decreasing, and the upper level is increasing. Shadow education might explain the differences. The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triggered parents' anxiety about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 pressure increased the demand for shadow education after COVID-19.

Second, after COVID-19, the effect of the family background increased in the first year of COVID-19, but the effect decreased in the second year. During the first year of COVID-19, the parents' educational experience(college graduates or higher), household income(third quintile and above), and living with both parents have increased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n the second year, the effect of family background decreased except for math. Face-to-face classes in the second year can explain the results. Unlike the first year of COVID-19, organized by non-face-to-face courses, Busan primarily implemented face-to-face classes in the second year.

The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study are: first, care must precede learning. As double-income households increase, the demand for child care also increases. Therefore, 'Edu-care' should be prepared in schools. Schools should also consider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care.

Second,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also prepare a plan to solve the academic achievement gap in math. In math, the effect of the family background has been significant since COVID-19,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gap has been increasing. The Busan Office of Education should extend the basic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low range students, to the middle range students.

Subsequent research suggestion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study's limitations, an academic achievement gap analysis should focus on the metropolitan area. Due to the population, the metro area mainly conducted non-face-to-face classes. Also, the study suggests an in-depth analysis of how shadow education affects the middle range or higher after COVID-19.
코로나19라는 전세계적인 감염병으로 2020년 4월 최초로 온라인 개학이 이루어졌다. 코로나19 이후 온라인으로 학습을 하면서 돌봄의 부재와 그로 인한 학습 격차의 문제가 제기되었다(김경애, 2020). 이러한 상황에서 덴마크는 가정에서 스스로 학습하기 어려운 유치원이나 초등 저학년부터 순차 등교를 실시하였다(김은정 외, 2021). 반면 우리나라는 입시에 지장이 있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우선등교 조치를 취했다.

비대면 수업 하에서는 가정배경에 따라 부모의 학습 지원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박미희, 2020; 이정연 2020).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수업이 진행되면서 학생들이 가정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고, 가정배경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을 것이라는 가정하에 시작되었다. 가정배경의 영향이 커졌다면, 코로나19 상황은 부모의 지원을 받기 어려운 저소득 가정, 취약계층의 학생들에게 훨씬 더 불리하였을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분포와 학업성취도 격차는 코로나19 전후로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둘째, 코로나19 이후 가정배경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졌는가?

이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교육종단연구(BELS)의 초4 패널과 중1 패널의 중1-3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학업성취도 분포도와 지니계수를 활용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삼중차분모형을 적용한 합동최소자승회귀모형, 학생고정효과모형, 이원고정효과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를 경험한 처치집단은 모든 과목에서 학업성취도 격차가 통제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코로나19 이후에는 중위권 이상에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에는 중위권이 줄어들고, 상위권은 늘어났다. 상위권의 증가는 사교육을 통한 결과로 보인다. 코로나19 이후 학부모는 비대면 수업의 질에 대한 우려가 표했고, 이는 곧 사교육에 대한 수요로 이어졌다.

둘째, 코로나19 이후 가정배경의 영향은 코로나19 1년 차에는 커졌으나, 2년 차에는 그 영향이 감소하였다. 코로나19 1년 차에는 특히 부모학력이 대졸 이상인 경우, 가구소득이 3분위 이상인 경우, 부모와 함께 거주할 경우 학업성취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2년 차에는 가정배경의 영향이 수학을 제외한 나머지 과목에서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비대면 수업을 주로 실시했던 1년 차와는 달리 2년 차에는 대면 수업을 주로 실시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돌봄은 배움에 선행되어야 한다. 코로나19가 아니더라도 앞으로는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면서 돌봄의 수요가 더 커질 것이다. 가정에서 돌봄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경우에는 학교에서 돌봄을 확대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 단순히 학생들을 학교에서 관리하는 방식으로 돌봄을 확대하는 것뿐만 아니라 질적으로 나은 돌봄을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수학 교과의 학업성취도 격차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수학 교과의 경우 코로나19 이후 지속적으로 가정배경의 영향이 컸고, 학업성취도 격차도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학 기초학력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술적인 제언으로 본 연구는 대면수업이 어려웠던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밝혔다. 수도권에서 학업성취도 격차와 분포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사교육이 중위권 이상에 영향을 미친 것이 맞는지, 그 양상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보다 심층적인 분석과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83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0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