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과제 변인에 따른 한국어 학습자 말하기 수행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Task Characteristics on the Oral Production of Learners of Kore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규민

Advisor
민병곤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과제 기반 교수과제 복잡성과제 제시 순서유창성정확성복잡성그림 기반 이야기 과제주의할당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3. 8. 민병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ask characteristics on the oral production of learners of Korean by utilizing two different kinds of tasks which differ from each other in task complexity. From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aims at acquiring pedagogical perspectives for task-based language teach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44 advanced learners of Korean who enrolled in a 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of the study. They completed the speech tasks via ZOOM and filled out the post-questionnaire, which inquired their own task performance and perception of materials. The tasks were two picture-based narratives which were extracted and revised from an ESL textbook. Task complexity was manipulated by way of increasing elements in the cartoons and imposing reasoning demands on the more complex task. Through the experiment, indices for complexity, accuracy, and fluency were acquired and coded.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Wilcoxon Rank Sign Test were implemented as the statistical methods for analyzing the difference of those CAF indices from two task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ore complex the task is, the less accurate, the less fluent, and the more complex the language becomes. In terms of accuracy and fluency, the difference was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wo tasks. However, in terms of syntactic complexity indices,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two tasks. From this findings, interpretations are made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s, related literature, and qualitative aspects of speech performance.
Firstly,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syntactic complexity between the two tasks can be related to the participants high proficiency in Korean. Compared to identical or similar indices from previous studies, the syntactic complexity indices from the present study show that syntactically complex languages were elicited from both of the tasks. Syntactically complex languages elicited even from the less complex tasks, which made the syntactic complexity difference between two task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eed, some cases of narratives from participants show that they produced speech by using connective ending or embedded clauses even when those kinds of syntactic features might not be necessary in organizing stories. Those cases are considered as the case of learners having utilized their own linguistic resources sufficiently. The interpretation is supported by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at learners with high proficiency are more likely to employ embedded clauses than low proficient learners. In sum, the participants holding a high proficiency in Korean and having an academic purpose for the language seem to function as a cause for syntactically complex languages having been produced regardless of the task complexity which were manipulated by the study.
Secondly, in terms of language accuracy, the more complex task elicited less accurate speeches from the participants. This finding supports Skehans the Limited Attentional Capacity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AC approach, the task complexity comprising of many elements and reasoning demands make L2 speakers allocate more attention to meanings rather than to forms, which result in being sacrificed at the expense of focusing on contents(meanings). This interpretation can be partially supported by the results of the post-questionnaire which show that the difference in the attention allocation during speech perform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eaning and organization.
Thirdly, emergence of dysfluency features like slow speech rates or frequent silent pauses in complex tasks was found in the study, and those phenomena are consistent with both Skehan and Robins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asks in the speech rate, the articulation rate, and the means of silent pauses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findings might be trivial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However, a careful look at the effect sizes of those three fluency indices helps to explain the task characteristics and their effects on learners. The effect sizes of fluent indices are the largest in the means of silent pauses, and the smallest in the articulation rat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silent pauses of L2 learners are commonly related to conceptual planning during performance. The large effect size of the means of silent pauses indicates that the task complexity of the experiment imposed a sufficient burden of meaning(content) on learners while they performed the complex tasks.
Based on these findings and interpretations, the present study expects pedagogical goals of TBL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be achie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sk complexity and dimensions of production (CAF) can be beneficial in determining what task to select and how to sequence tasks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material designs.
본 연구는 복잡성이 서로 다른 두 유형의 과제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 발화를 유도하고 그 수행을 분석하여 한국어 과제 기반 교수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 기반 교수는 제2언어 및 외국어 교수에서 주요한 접근법으로 간주된다. 이 접근법은 의사소통 중심의 접근법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으며 형태보다 의미를 지향하는 언어 사용을 강조한다. 제2언어 교육 과제의 유형 및 분류에 대해서는 지난 30여 년간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유형적으로 분류된 여러 과제들이 학습자 언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Robinson, Skehan 등 연구자들에 의해 경험적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제2언어 연구 분야에서 축적된 과제 기반 교수의 이론적·경험적 연구 성과를 수용하고 심리언어학적 관점에서 한국어 학습자 발화의 특성을 고찰하여, 과제의 선정 및 배열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종합대학에 유학 중인 고급 수준 한국어 학습자 44명을 대상으로 말하기 과제 실험을 시행하였으며, 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과제 수행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발화 실험에 사용된 과제는 제2언어 학습용 만화를 한국어 학습자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과제 기반 교수의 이론적 틀을 참조하여 구성 요소 및 추론 부담 측면에서 복잡성을 조작하였다. 과제 제시 순서에 따라 참여자를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제시 순서가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보았다. 실험을 통하여 도출된 발화는 복잡성, 정확성, 유창성 측면에서 분석하였으며, 과제에 따른 언어 수행의 차이를 반복측정 분산분석, 대응표본 Wilcoxon 부호순위 검정 등의 방법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과제 복잡성이 높은 말하기 수행에서 학습자 언어의 통사 복잡성이 높고, 정확성이 낮으며 유창성 또한 낮은 발화가 산출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분석한 결과, 복잡성 지표에서는 과제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확성 및 유창성 지표에 대해 과제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대해 본 연구는 산출의 국면 각각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과제의 복잡성 차이가 언어에서의 복잡성 차이로 나타나지 않은 것은 학문 목적의 고급 수준 학습자라는 참여자 특성에서 기인했을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과제를 통해 도출된 복잡성 지표를 유사 또는 동일 지표를 채택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할 때, 본 연구의 두 과제에서 모두 학습자 발화는 그 통사적 복잡성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상대적으로 덜 복잡한 과제에서도 높은 정도의 언어적 복잡성이 도출됨으로 인하여, 과제에 따른 통사적 복잡성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게 검출되었다. 학습자가 산출한 발화의 내용적 특성을 확인해볼 때, 복문의 산출 없이 의미를 구성할 수 있는 만화에 대해서도 내포문 등을 활용하여 그 내용을 기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습자가 지닌 언어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사례에 해당하며, 고급 수준의 학습자일수록 내포에 의한 문장 확장을 주로 사용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의해서도 뒷받침되는 부분이다. 연구 참여자들의 이러한 고급 학습자로서의 특성으로 인하여, 복잡성이 낮은 과제에서도 상대적으로 통사적 복잡성이 높은 언어가 산출된 것으로 파악된다.
둘째, 복잡성이 높은 과제의 수행에서 언어의 정확성이 감소한 결과는 Skehan의 한계주의력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즉, 추론 및 구성 요소 측면에서의 과제 복잡성은 제2언어 한국어 화자로 하여금 형태에 주의를 덜 기울이도록 하고, 수행 과정에서 언어의 의미(내용)에 초점을 두도록 유도했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이러한 해석은 학습자가 제출한 사후 설문조사에서 내용 및 구성 영역에 대한 주의할당이 과제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사실에 의해 부분적으로 뒷받침된다. 하지만, 복잡성 및 정확성 지표 간 상관관계를 도출하였을 때, 복잡성이 높은 과제에서 언어의 복잡성 지표와 정확성 지표 간에 실질적인 상관관계가 확인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정확성의 감소가 복잡성의 증가에 따른 상쇄 효과인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탐구가 필요하며, Skehan의 한계주의력 접근 역시 부분적으로 지지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복잡성이 높은 과제에서 느린 발화속도, 잦은 묵음휴지 등 비유창성 요소가 발생한다는 것은 Skehan과 Robinson의 이론에서 합의하고 있는 사항이며, 본 연구에서도 이에 부합하는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즉, 본 연구가 채택한 유창성 지표인 발화속도, 조음속도, 평균묵음휴지길이의 과제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과제 복잡성이 언어의 유창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할 때 특기할 만한 발견이 아닐 수 있다. 하지만 세 유창성 지표들이 지니는 효과크기의 차이를 고찰할 때, 본 연구에서 활용된 과제의 특성 및 학습자의 수행 양상을 보다 세밀히 파악할 수 있다. 과제 간 차이의 효과크기는 평균묵음휴지길이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제2언어 학습자의 묵음휴지가 개념적 계획과 연관된다는 선행연구를 참조할 때, 이러한 평균묵음휴지길이의 큰 효과크기는 복잡한 과제에서 의미(내용) 생성의 부담이 높았음을 시사한다. 이는 복잡한 과제에서 내용 및 구성에 대한 주의할당이 높게 나타난 사후 설문조사 결과와도 상통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과제 복잡성과 발화 지표 간에 도출된 연구 결과를 과제의 선정 및 배열에 참조함으로써 교육학적 목표들이 달성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본 연구가 조작한 구성 요소 및 추론의 복잡성 요소들을 활용함으로써 복잡성이 있는 과제를 선정하는 데에 준거로 삼을 수 있을 것으로 파악하였다. 아울러, 그러한 과제 복잡성이 학습자의 산출 국면( CAF)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참조함으로써 교수·학습적 목표를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8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19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