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도농복합시 공간구조의 시공간 역동성 연구 : A Study on the Spatiotemporal Dynamics of the Urban Spatial Structure in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South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아수

Advisor
신정엽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도시공간구조도시내부구조도농복합시시공간 역동성시공간 변화도시 스프롤urban spatial structureurban internal structureurban-rural consolidated cityspatiotemporal dynamicsspatiotemporal changeurban sprawl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지리전공), 2023. 8. 신정엽.
Abstract
The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was established in 1995 with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South Korea to enhance the convenience of residents' lives and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of urban and rural areas. Until now almost 30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urban-rural consolidated city in South Korea in 1995,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targeting only a few cities among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However, there has yet to be a study on the urban spatial(internal) structure in which spati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geography for all 54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54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South Korea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not just individual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or a few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and the dynamics of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ntire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were explored according to the spatiotemporal changes in 2000, 2010, and 2020. In particular, a comprehensive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regarding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spatial morphology and urban sprawl. Accordingly, a classification analysis of the types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in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terms of spatial morphology, it was confirmed that urbanized areas gradually expanded through urban growth in most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terms of spatial morphology. In addition, urbanized areas in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tended to alleviate morphological irregularities gradually, and a continuous spatial arrangement pattern appeared as discontinuous and fragmented spatiality was alleviated.
Second,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spatial structure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terms of urban sprawl, it was confirmed that it actively progressed in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from 2000 to 2020. Specifically, in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population sprawl progressed more over time, and employment sprawl decreased further. In addition, it was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 population and employment sprawl in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were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population size.
Third, based on cluster analysis and classifying types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4 clusters were derived from 54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t shows that the entire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regional differences. Moreover,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according to population size,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with large population sizes increased over tim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geography, which had not been conducted before,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entire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was empirically analyzed. Seco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in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census output area, eup-myeon-dong, and city-level units were determined as spatial units,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the c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variable representing the spatial structure of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Third, the final results of this study laid the foundation for follow-up studies such as spatial and geography studies related to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policy proposal studies with reality and feasibility reflecting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ity, and research to identify realistic regional differences within urban-rural consolidated cities.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fundamental research of urban planning, urban development planning, land use analysis, and land management plans.
도농복합시는 1995년 우리나라에서 지방자치가 시행되며 주민생활의 편의를 증진하고,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1995년에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도농복합시가 설치된 이후 거의 30년이라는 시간이 다 되어가는 현재의 시점까지 도농복합시 중 일부의 도시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다수 진행되었지만, 전체 54개 도농복합시를 대상으로 도시지리학 관점에서 공간 분석을 진행한 도시공간구조 연구는 아직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별 도농복합시 혹은 몇 개의 도농복합시만을 대상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닌, 우리나라 전체 54개 도농복합시를 연구 대상 지역으로 설정하여 2000년, 2010년, 2020년의 시공간․시계열 변화에 따른 전체 도농복합시 공간구조의 역동성 탐색을 실시하였다. 특히 도농복합시의 공간 형태 및 도시 스프롤 측면에서 종합적이며 실증적인 분석을 진행하며 이에 따른 도농복합시의 유형 분류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형태 측면의 도농복합시 공간구조의 특성을 탐색한 결과, 공간 형태 측면에서 대부분의 도농복합시는 도시 성장을 통해 도시화된 지역이 점차 확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도농복합시의 도시화지역은 형태적 불규칙성이 점차 완화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비지적, 파편화된 공간성이 완화되면서 연속적인 공간 배열 형태가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도시 스프롤의 측면에서 도농복합시의 공간구조를 탐색한 결과, 2000년~2020년 동안 도농복합시에서는 도시 스프롤이 활발히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농복합시에서 인구 스프롤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진행되는 경향이 나타났고, 고용 스프롤은 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도농복합시에서 인구 스프롤과 고용 스프롤은 인구 규모와 관련하여 반비례하는 경향이 나타남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도농복합시의 군집 및 유형 분석의 결과, 전체 54개 도농복합시는 총 4개 유형의 군집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전체 도농복합시가 각기 다른 특징을 지니고 지역별 공간 차이를 보이는 4개의 그룹으로 유형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인구 규모에 따른 도농복합시의 공간 특성의 탐색 결과, 시간이 흐름에 따라 인구 규모가 큰 도농복합시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기존에 진행되지 않았던 도시지리학 관점에서 현재까지 설치된 전체 도농복합시의 공간구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도농복합시의 도시공간구조 특성에 맞게 집계구, 읍면동, 시급 도시 단위를 공간 단위로 정하고 분석을 진행하여, 도농복합시 공간구조를 나타내는 변수별 특성에 따른 도시 현황의 파악이 가능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셋째, 최종적으로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도농복합시 관련 공간 및 지리학 연구, 도시의 발전 관련 정책 제안 연구, 도농복합시 내에서의 지역 차 분석 연구 등의 후속 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향후 도시계획, 도시개발계획, 토지이용현황 분석, 토지 관리 방안 등의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85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6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