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of African Femal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 아프리카 여성 유학생들의 신체활동 경험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브리짓

Advisor
이옥선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African female international studentsCritical race feminismAfrican feminismIdentity constructioninternational studentsKorea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체육교육과,글로벌스포츠매니지먼트전공, 2023. 8. 이옥선.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of African femal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It focuses on how their identities influence
their engagement in physical activity. The study utilizes a critical race
feminism and African feminism framework to examine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identity construction, societal context, and physical
activity behaviors.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of African femal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o investigate
the construction of African female international students identity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identity on their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i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African
female students enrolled in a graduate degree program at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nd those who have engaged in physical activities.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key finding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motivation, external influences, constraints, and the construction of
identity.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participants' physical activity
motivations include body image perceptions, prior exposure to physical
activity, stress management, and a desire to belong. External influences,
such as the availability of infrastructure, specialized programs, and safe
spaces, facilitate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However, they also
face constraints, including language barrier, lack of a support system,
financial considerations, time constraints, and unfavorable weather
conditions. The participants construct their identities through societal
perceptions, including the "so called" African traditional woman and the
notion of the African woman in Korea. They also develop an internalized
and self-understood identity, navigating their roles as modern-day African
women influenced by their experiences in Korea. The impact of these
constructed identities on their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is shaped by the
ii
iii
societal context, with identity playing a role in challenging stereotypes,
acting as a barrier to participation, or having a non-influential effect.
Drawing upon critical race feminism and African feminism,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mplex dynamics
between identity, societal context, and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The
findings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olicymakers, emphasizing the need for inclusive environments, culturally
sensitive programming, and support systems to promote the physical activity
engagement of African femal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Overall,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physical activity experiences of African female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providing insights into the role of identity
construction and societal context. By recognizing and addressing the unique
challenges faced by this group, we can work towards fostering inclusive
environments that promote their well-being and enhance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ies.
본 연구는 한국으로 대학원에 유학 온 아프리카 여학생들의
신체활동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들의 정체성이 신체활동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비판적 인종 이론(Critical Race Theory)와 아프리카 페미니즘(African
Feminism)을 적용하여 사회적 맥락, 정체성 구축, 그리고 신체활동을
선택하는 과정의 복잡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대학원과정에 재학 중이고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아프리카 여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체활동 동기, 외부의 영향, 제약요소, 정체성 형성으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대상자들의 신체활동 동기는 신체
이미지에 대한 인식, 이전의 신체활동 경험, 스트레스 관리, 그리고
소속감의 욕구가 포함되었다. 인프라의 가용성, 전문 프로그램, 안전한
공간과 같은 외부 영향은 그들의 신체활동 참여를 용이하게 했으나
언어의 장벽, 지원 체계의 부재, 재정적인 고려사항, 시간 제약,불리한
기후 조건과 같은 제약요소도 마주하게 되었다. 연구대상들은 아프리카
전통 여성과 한국에서의 아프리카 여성 개념과 같은 사회적 인식을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내재화된 자아
이해와 자기 이해된 정체성을 개발하며, 한국에서의 경험에 영향을 받은
현대 아프리카 여성으로서의 역할을 이해한다. 그들의 신체활동 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맥락에 의해 형성되며, 정체성은 고정관념에
도전하는 역할을 하거나 참여의 장애물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비판적 인종 이론과 아프리카 페미니즘을 적용한 본 연구는 정체성,
사회적 맥락, 그리고 신체활동 경험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깊이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이 연구 결과는 교육 기관과 정책 결정자들에게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아프리카 여성 국제학생들의 포용적인 환경,
문화적으로 민감한 프로그래밍, 그리고 지원 체계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전반적으로, 아프리카 여학생들은 한국에서의 신체활동 경험에 대한
논의가 되었으며, 정체성 구축과 사회적 맥락의 역할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연구대상자들이 직면하는 독특한 도전에 대해 인식하고
113
대응함으로써, 포용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그들의 삶을 촉진하며 신체활동
참여를 증진할 수 있도록 노력할 수 있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90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42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