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초등학교 1학년 세계시민교육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및 평가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the 1st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 Based on Practical Problem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실과 연계 실천적 문제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솔

Advisor
진미정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세계시민교육세계시민의식교수⸱학습과정안실과통합교과가정교과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가정교육전공, 2023. 8. 진미정.
Abstract
Cooperation and solidarity between countries have become essential as they face global issues along with rapid globalization. The importanc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growing as an educ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tate-based citizenship and foster humanity as global citizen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develop, implement, and evaluat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by analyz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 elements centered on the home area of the 2022 practical arts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practical problem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was developed through analysis, design, development, execution, and evaluation stages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In the analysis sta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the 2022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as analyzed in context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and keywords presented by UNESCO(2015).
In the design stage,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extracted from the 2022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tage, and learning elements for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determined.
In the development stage, a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practical problem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was developed in four stages: setting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setting practical problems, evaluation planning, and learning activities by Heo Young-sun(2020). The developed program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a group of experts consisting of professors relat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incumb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Heo Young-sun(2020)s, the program feasibility evaluation tool was reorganized into 19 questions in four areas (program characteristics, program composition, practical problem validity by area, and learning goal validity by area). The sub-areas consisted of a total of 20 questions(universal value of human beings' (4 questions), respect for the value of diversity'(5 questions), interest and interest in global problems'(3 questions), sense of participation in world problem solving'(4 questions), and world-oriented attitude'(4 questions)).
In the implementation stage, a single experimental design was applied to 16 first-year students of the National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 experimental group, for the program two hours in every week over 4 weeks.
In the evaluation stage, quantitative evaluation using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on global citizenship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lass and qualitative evaluation based on the class reflection log and portfolio of the class execution teacher were conducte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were calculated in the global citizenship surve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using SPSS/WIN 22.0, and the teacher's class was criticized in five areas (intentional, structural, curriculum, and evaluation) based on the teacher's evaluation criteri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ing the relevance of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light of the goals of the curriculum and the image of humanity sought, it was found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and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more emphasized compared to the previous national curriculum.
Second, when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2022 practical arts curriculum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oals and core competenc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entire field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i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whole home area content elements of the 2022 practical arts curriculum were evenly related to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 and three areas(cognitive, social emotion, and behavioral areas).
Fourth, by combining the home area content elements of the 2022 practical arts with the integrated curriculum content system,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st grade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practical problem of the practical arts subject were developed. All three area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pics were organized into programs that encompassed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so that students could evenly cultivat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pabilities.
Fifth, as a resul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first-yea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the average of students' global citizenship was higher afterwards than before, and the average of four sub-factors of global citize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Overall, this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is designed to apply the home area of practical arts subjects closely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the field in connection with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and a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regular school classes for the lower grades has been developed. In addition, this program is meaningful in that it evenly reflects three aspec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capabilities(cognitive, social emotion, and behavioral areas) and led students to behavior their knowledge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ith practical problem solving.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a direction for systematic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and contribute to creating a better sustainable world as useful learning materials in the field.
급속도로 진행된 세계화와 함께 글로벌 이슈들에 직면하면서 국가 간 협력과 연대는 필수가 되었다. 국가에 기반한 시민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계시민으로서 인류애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으로 세계시민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가정 영역 중심으로 세계시민교육 내용 요소를 분석하고 초등 1학년 통합과 교육과정에 접목하여, 초등 1학년 세계시민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실행, 평가하여 학습자들이 실생활 속 실천적 문제를 통해 세계를 이해하고 보다 나은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시키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를 거쳐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초등 1학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분석 단계에서는 문헌 고찰을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유네스코(2015)에서 제시하고 있는 세계시민교육 주제 및 핵심어를 준거로 2022 개정 실과, 통합과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 학습요소를 내용분석법에 따라 맥락적으로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 단계의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통합과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교육 관련 학습 요소를 추출하고 초등 1학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학습 요소를 결정하여 프로그램의 수업과 평가 과정 전반에 대해 계획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허영선(2020)의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 따라 세계시민교육 주제 정하기, 실천적 문제 설정하기, 평가 계획하기, 학습 활동 계획하기의 4단계로 실과 실천적 문제 중심 초등 1학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설계한 프로그램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평가 도구와 수업 실행 후 수업 평가를 위한 평가 도구를 선정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가정교육 전공 관련 교수와 현직 초등교사로 이루어진 전문가 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통해 수정, 보완하였다. 프로그램 타당도 평가 도구는 허영선(2020)의 도구를 기초로 하여 네 가지 영역(프로그램 특징, 차시별 프로그램 구성, 영역별 실천적 문제 타당도, 영역별 학습 목표 타당도)의 총 19문항으로 재구성하였고, 세계시민의식 측정 도구는 이지현(2018)이 장주혜(2008)의 세계시민의식 검사도구를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 보완하고 재구성한 세계시민의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하위 영역은 인간의 보편가치(4문항), 다양성에 대한 가치 존중(5문항), 세계적 문제에 대한 흥미와 관심(3문항), 세계문제 해결에 대한 참여의식(4문항), 세계지향적인 태도(4문항)의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단일실험설계로 실험집단 서울특별시 소재의 국립 S초등학교 1학년 학생 16명을 대상으로 4주에 걸쳐 개발된 프로그램의 8차시 교수⸱학습과정안을 적용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수업 실행 후 개발된 프로그램이 세계시민의식을 함양시키는지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업 참여 학생의 세계시민의식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활용한 정량적 평가와 수업 실행 교사의 수업 성찰 일지와 포트폴리오 등을 토대로 정성적 평가를 병행하였다. 프로그램 전후 세계시민의식 설문은 SPSS/WIN 22.0을 활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 t-검정을 산출하였고, 실행 교사의 수업은 교사의 수업 성찰 일지를 김남은(2015)이 재구성한 수업 실행 교사의 평가를 위한 비평 영역과 분석 준거를 바탕으로 다섯 가지 영역(의도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교육과정 차원, 교육적 차원, 평가적 차원)에서 비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의 관련성을 교육과정의 목표, 추구하는 인간상에 비추어 비교했을 때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이전 국가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세계시민교육이 더욱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과 세계시민교육의 관련성을 세계시민교육 목표, 핵심역량 측면에서 살펴보았을 때 실과 교육과정의 전 영역이 세계시민교육 주제와 관련이 있어 세계시민교육을 하기에 적합한 과목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가정 분야 전 내용 요소가 세계시민교육 주제와 세 영역(인지, 사회⸱정서, 행동적 영역)에서 고르게 관련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2022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가정 분야 내용 요소를 통합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접목하여 8차시의 실천적 문제 중심 초등학교 1학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세계시민교육 주제의 인지, 사회⸱정서, 행동적 세 영역을 모두 아우른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이 세계시민교육역량을 고르게 함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초등학교 1학년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 실행 결과, 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의 평균이 사전보다 사후에 더 높았으며 세계지향적인 태도를 제외한 세계시민의식의 네 하위요소의 사후 검사 평균이 사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종합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세계시민교육과 밀접한 실과 교과의 가정 영역을 통합교과와 연계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게 구성되었다는 점, 저학년 대상으로 정규 교과 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본 프로그램은 세계시민교육 역량의 세 측면(인지, 사회⸱정서, 행동적 영역)이 고르게 반영되어 있고 가정과의 실천 비판적인 성격이 담겨 학생의 세계시민교육 지식 습득이 곧 실천으로 이어지게 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연구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체계적인 세계시민교육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현장에서 유용한 학습자료로서 보다 나은 지속가능한 세상을 만드는 데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9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76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