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Case Study on Principal Leadership for Multicultural Education :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교장 리더십에 대한 사례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혜원

Advisor
엄문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ulticultural educationprincipal leadershipqualitative case studyculturally diverse school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협동과정 글로벌교육협력전공, 2023. 8. 엄문영.
Abstract
With the increasing cultural diversity in Korean schools, multicultural education (ME) has become a significant part of school education. Acknowledging the pivotal role of principals in school education including ME, this study aimed to fill the gap in research that examines how principal leadership can facilitate ME in Korean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understand principal leadership that effectively promotes ME in Korean schools by drawing on the case of a principal of a culturally diverse school in Seoul. To be specific, this study sought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What are the culturally diverse school principals conceptions of the direction of ME, including the goal and the method? What specific leadership behaviors of the principal have been effective in practicing ME in accordance with that direction?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were used to make sense of the principal leadership in ME in-depth and within its specific contexts. Data collection involved interviews with the principal and four teachers, documents, and participation in a conference where the principal presented the schools ME practices. The study utilized three major approaches to ME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which are conservative, liberal, and critical, to analyze the direction of ME that the principal advocated for, and instru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ories to examine the principals leadership behaviors in support of that direction.
As a result, six case themes were identified: 'The Goal of ME: Embracing Harmony in Diversity as Global Citizens,' 'The Method of ME: A Whole-School and Continuous Approach,' 'Communicating and Persuading the Vision of ME,' 'Developing Curriculum and Teachers Capability,' 'Leveraging Professional Network for ME,' and 'Disseminating ME Vision and Practice Beyond the School.'
The studys findings not only confirm the literatures assertion that principal leadership is crucial for establishing a broader and more sustainable ME initiative, but also provide ample qualitative evidence to support this argument, which was largely lacking in previous research. By provid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Sujis leadership, this study offers valuable practical insights for school administrators on specific ways to overcome common challenges of ME practices in Korean schools. Additionally,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the education community in giving ongoing professional support to principals to effectively promote ME. This study expands beyond the perception of principals as mere heroes and sheds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collaborative interplay between principals and other stakeholders for the advancement of ME practices in Korean schools.
한국 사회에 이주배경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학교 내에도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이 늘어나면서 다문화교육은 학교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학교교육 구성과 운영에 대한 학교장의 중추적인 역할을 고려할 때, 학교장이 학교 내 다문화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주배경학생이 밀집한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장 Suji의 사례를 통해 학교 내에서 다문화교육을 효과적으로 이끄는 학교장 리더십의 양상을 기술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로 설정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이주배경학생 밀집 학교의 교장 Suji가 설정한 학교 다문화교육의 방향성, 즉 교육목표와 방법은 무엇인가? 그 방향성에 따라 학교 다문화교육이 실행되도록 하는 데 있어 교장의 어떤 리더십 행동이 효과적이었는가?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학교A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장 Suji의 리더십을 구체적인 맥락 안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교장 Suji 및 학교A의 교사 4인을 포함한 연구 참여자와의 반구조화된 면담, 연구참여자 및 인터넷에서 획득한 문서, 교장 Suji가 학교A의 다문화교육 실천 사례를 발표한 컨퍼런스 참여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했다. 또한 보수적, 자유주의적, 비판적 등 세 가지 다문화교육 접근방식을 활용하여 교장이 주창한 다문화교육의 방향성을 분석하고, 교수 리더십 및 변혁적 리더십 이론을 활용하여 그 다문화교육 방향성을 실행에 옮기기 위한 교장의 리더십 행동을 분석했다.
자료수집 및 분석을 통해 도출한 교장 Suji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리더십을 설명하는 여섯 가지 주제는 '다문화교육 목표: 다양성 속 조화를 이루는 세계시민 양성', '다문화교육의 방법: 지속적인 전학교적 접근', '다문화교육 비전을 알리고 설득하기', '교육과정과 교사 역량 개발하기', '전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다문화교육 지원하기', '학교 밖에서 다문화교육 비전과 실천 공유하기'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장의 리더십이 보다 광범위하고 지속가능한 다문화교육 실천을 형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선행연구의 주장을 확증하였다. 더불어 이 연구는 해당 주장을 뒷받침하는 충분한 질적 증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교장 Suji의 다문화교육을 위한 리더십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이론적 분석을 제공하여 학교 관리자들이 그간 한국 학교에서 흔히 나타난 다문화교육 실천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통찰과 교훈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이 연구의 결과는 학교장이 다문화교육을 효과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전문적 지원을 제공하는 교육 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한다. 이는 학교장 개인만의 노력을 '영웅화'하는 관점을 넘어, 다문화교육 발전을 위한 학교장과 여타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92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27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