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emographic Change and Korean Unification : 인구구조 변화와 통일의 효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남재

Advisor
김영식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인구구조경제통합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2023. 8. 김영식.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conomic impact of population integ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he model takes demographic changes into account and focuses on how considering the dynamics can generate differences in the result. An overlapping-generation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 with two counties are constructed, and a pay-as-you-go (PAYG) pension system is added. The The model considers four different integration regimes, which are distinguishable by level and speed of the integration: No integration (R1, baseline), Partial Integration (R2), Rapid unification (R3), and Gradual unification (R4). The result indicated that South Koreas working population, once a victim of unification when demographic issues are not considered, becomes the beneficiary when these dynamics are factored in. Furthermore, the life-time utility analysis by cohort from 1970 to 2040 revealed that while other integration regimes may generate intergenerational disagreements, under the gradual unification regime (R4), all generations prefer unification over division in South Korea. Meanwhile, when a demographic shock occurs, In North Korea after unification, the benefit of unification might be mitigated. from a South Korean perspective. If skill differences in the labor market are taken Taken into account, unification could be even more advantageous to South Korea.
이 논문은 남북 간 인구 통합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모형은 인구구조의 변화를 고려하고, 인구의 동학에 대한 고려가 모형 결과에
서 가져오는 차이점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중첩세대 동태적 일반균형 2국가
모형을 도입하고, 세대 간 부양문제를 고려하기 위해 부과식
(Pay-As-You-Go) 연금제도를 모형에 추가하였다. 경제 통합은 통합의 수준
과 속도에 따라 네 가지 통합 레짐으로 구분한다: 분단유지 (R1, 기준레짐),
부분 통합 (R2), 급진 통일 (R3), 그리고 점진 통일 (R4). 분석결과는 인구변
동이 고려되지 않은 모형에서 남한의 근로자는 통일의 피해자였으나, 인구변
동이 고려된 모형에서는 수혜자가 되었다. 이에 더하여, 1970년생부터 2040년
생까지의 세대별 생애할인기대효용을 이용해 대등소비를 계산한 결과 여타의
통합레짐에서는 통일에 대한 세대 간 의견이 불일치하지만, 점진통일 레짐 하
에서는 남한의 모든 세대가 분단유지보다 통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통일로 인해 북한 내 인구충격이 발생한다면 통일의 효용은 기존 결과
에 비해 감소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노동자의 숙련도를
고려한 확장 모형을 통해 남한에 숙련 노동자의 비율이 높을수록 통일의 효용
은 기존 모형의 결과보다 더 높아질 수 있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93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0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