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무연고사와 공영장례 : The Unclaimed Dead and Public Funeral Services: A Case Study on the Public Funeral Services in Seoul
서울시 공영장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수지

Advisor
강정원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무연고사공영장례죽음 문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2023. 8. 강정원.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current status, context, and implications of public funerals for unclaimed bodies, or the unclaimed dea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 the city with the highest number of the unclaimed dead in the country, established the Ordinance on Public Funeral Support in 2018. For five years since then, the Seoul Public Funeral Services have been hosted at the Seoul Crematorium, serving as a potential model for other local governments, in terms of its system and procedures. The study incorporates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field studies at the Crematorium and on in-depth interviews with its stakeholders and visitors. The study also explores the cultural context of public funerals through literature reviews on death culture, which encompasses beliefs about and rituals for death. The study then identifies public funerals as a place that shows how individuals are connected in todays society, while pointing out a tension therein: between traditional kinship-oriented death rituals and institutions, and the call for new kinds of social relations and funeral culture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 belief that spirits of the deceased who have not undergone proper death rituals might pose a risk to the living, led people to perform separate rituals for the deceased who were believed to be unable to transform into ancestral spirits. Among such rituals were Yo-je(厲祭) and Dong-je(洞祭), which were held regularly and village-wide, respectively. Here the subject of fear, namely the dead who have not undergone proper rituals, has some relevance to this studys subject—the unclaimed dead who lacked the funeral ceremonies before the support of public funerals. Public funeral services today, however, are not founded on such a fear of spirits. Instead, they have been systematized and institutionalized as a result of non-governmental and public efforts led by a belief that everyones death ritual should be taken care of, regardless of the circumstances of the deceas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unclaimed dead had been discussed only in the context of the disposal of their bodies. Absence of death rituals and reliance on direct cremation had remained a common problem, which was publicly recognized only recently in the 2010s, when the number of unclaimed deaths surged.
What becomes significant at the Seoul Public Funeral Services is not whether the ritual is traditionally authentic, but the fact itself that the ritual is performed as an institutionally created one. Unlike conventional funerals, the Public Funeral takes around three hours, with a ceremony for the deceased followed by post-mortem religious rites, cremation, and scattering or enshrinement of cremains. This process often involves weekly volunteers and religious volunteers, leading to a blend of various religious characteristics at public funerals. As volunteers, who had no prior connection to the deceased, frequently take on the role of Sang-Ju(喪主) of the unclaimed, this also gives rise to uniqu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public funerals.
Public funeral services are aimed towards the unclaimed dead and low-income individuals. However, these services primarily commemorate the unclaimed dead. The category of unclaimed deaths arises from a concept of kinship that is centered on legally recognized relationships and blood relations. A deceased person is determined to be an unclaimed death after a process that verifies the existence and willingness of any relatives to claim the body, following administrative procedures. Consequently, the bodies of unclaimed deaths are typically kept in a morgue for at least 14 days after death, intensifying the liminality or threshold state of the deceased.
Even if there are legal or blood relatives as recognized by the Act on Funeral Services (also referred to as the Jangsa Act), the deceased can still be considered an unclaimed death if these relatives do not claim the body. People who are not recognized as relatives under the Act had to let the deceased be considered as unclaimed deaths, even if they wished to personally conduct the funeral. The normative expectation that a funeral should be conducted by the deceased ones family is strongly enforced, not just by legal and institutional means, but also by cultural norms, eve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funeral systems. These norms stem from the Korean kinship structure, which is based on a clan system that has ancestral worship at its core. These norms have persisted despite modern shifts in death culture and societal relationships, laying the foundation for concerns voiced about the expansion of public funerals. As public funerals are predicated on the need for anyone, whether they are family or not, to undergo rituals in the face of death, they embody a new value in death rituals and demonstrate the power of rituals within human interactions.
A non-profit organization in Seoul have been advocating for the right of everyone to mourn and to be mourned and have suggested concrete strategie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public funerals and funeral welfare, even before official regulations for public funerals were established. It has also initiated reviews and revisions to address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cept of kinship based on legal marriage and blood relations, as stipulated by the existing Jangsa Act. In this manner, public funerals have emerg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absence of death rituals for unclaimed deaths while simultaneously revealing and addressing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funeral law.
At public funerals, elements from which to discern the individuality of the deceased are often not apparent. It is rare for portrait photos to be placed in the mourning hall, and the personal histories of the deceased are usually not disclosed due to privacy concerns. Consequently, while the aim of public funerals is to commemorate unclaimed deaths as individuals, those not acquainted with the deceased before typically encounter the deceased as an embodiment of death or unclaimed death, prompting them to reflect on its concept and associated emotions. In cases where community members known to the deceased are present, public funerals can become spaces where solidarity and mutual aid among socially vulnerable people are made evident.
This way, public funerals serve as death rituals that create and manifest beliefs that can replace traditional clan ideologies. Changing social relations have necessitated new forms of funerals, ones that are possible not only by social relations that are institutionally recognized and accepted. As such, public funerals mark a shift in death culture, illuminating and propelling these changes.
본 연구는 공영장례로 무연고사가 기려지는 현황과 맥락 및 의미를 살피기 위한 것이다. 2018년 서울특별시 공영장례 조례가 생긴 후 5년째 서울시립승화원에 위치한 빈소에서 치러지는 서울시 공영장례는 전국에서 무연고사망자가 가장 많은 서울에서의 공영장례이며 형식과 체계 면에서 다른 지자체의 공영장례 모델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연구자는 서울시 공영장례 빈소에서의 현장연구와 관계자 및 빈소 방문자들과의 심층면담을 기반으로 질적연구를 수행했다. 또한 죽음관과 죽음 의례를 포괄하는 죽음 문화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공영장례의 문화적 맥락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공영장례 현장을, 오늘날 사람들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드러내는 공간이자 기존의 혈연 중심 죽음 의례 및 법제도와 새로운 사회관계 및 장례 문화에 대한 지향 간의 긴장이 드러나는 공간으로서 위치시킨다.
의례를 거치지 않아 사후세계에 안착하지 못 한 자의 영혼이 산 자를 해칠 수 있다는 관념은, 조상신으로 승화하지 못했다고 여겨진 고인들을 위한 별도의 죽음 의례로 이어졌다. 조선시대에 정기제로 설행된 여제(厲祭)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때 두려움의 대상은 의례의 대상이 되지 못한 사자(死者)로, 오늘날 공영장례가 지원되기 이전의 무연고사망자와 유사한 지점이 있다. 그러나 공영장례 존립의 근거는 원혼에 대한 두려움이 아니다. 죽은 자의 여건과 상관없이 누구에 의해서든 죽은 자에 대한 인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기조로 민간의 실천이 이루어졌고, 이 실천이 제도에 의해 수용되며 공영장례는 체계화될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 이래, 무연고사는 시신 처리에 관한 법적 문제에 국한하여 다루어졌다. 공영장례 조례가 제정되기 이전까지, 무연고사망자에 대한 죽음 의례의 부재와 직장(直葬) 관행은 인식조차 되지 않았으며, 2010년대부터 무연고사가 증가하면서 비로소 문제시되었다.
서울시 공영장례 현장에서는 상장례의 전통성보다도 의례의 수행 그 자체가 중요해지며 창안된 의례라는 점이 두드러진다. 일반적인 장례식과 달리 서울시 공영장례는 3시간가량 소요되며, 고인 예식과 운구 후 종교 예식, 화장 및 산골 혹은 봉안의 과정이 합동장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공영장례에는 관계자 외에도 자원봉사자와 요일별 종교봉사자들이 함께하곤 한다. 이로 인해 공영장례 현장에는 여러 종교적 특성이 혼재하기도 하며, 고인과 생전 인연이 없던 자원봉사자가 상주를 맡게 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공영장례 고유의 특성들이 생긴다.
공영장례는 무연고사망자와 저소득층을 위한 것이지만 주로 무연고사망자를 기리게 된다. 무연고사망자라는 범주는 법률혼과 혈연관계 중심의 연고자 개념에 의해 파생된다. 무연고사는 시신을 인수할 친족 여부 및 이들의 시신 인수 의향을 행정 절차에 따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 후 확정된다. 이 때문에 무연고사망자의 시신은 사망 후 최소 14일가량의 시간 동안 장례식장에서 안치되며, 무연고사망자의 시신의 경계성(liminality)은 증폭된다. 장사법 상의 연고자가 존재하더라도 연고자가 시신을 인수하는 경우 무연고사망자가 되며, 장사법 상의 연고자가 아닌 이들은 직접 장례를 치르고 싶더라도 고인을 무연고사망자로 보내야 했다. 장례를 가족이 치러야 한다는 당위는 법과 제도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문화적 규범으로 공영장례의 제도화 이후에도 강고하게 작동하고 있다. 이러한 규범은, 한국의 친족 구조인 종족조직이 조상 숭배를 목적으로 하는 제사 집단이라는 점에서부터 유래하며, 근대 이후 죽음 문화의 변동과 사회관계의 변화 속에서도 계승되어 공영장례의 확대를 우려하는 입장의 기저가 된다. 공영장례는, 가족에 의해서건 아니건 그 누구라도 죽음의 국면에서 의례를 거쳐야 한다는 필요성에 의해 성립된 만큼 죽음 의례의 새로운 가치를 체현하며 사람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의례가 지닌 힘을 증명해 낸다.
서울시에서 공영장례 조례가 생기기 이전부터, 누구나 애도할 권리 애도 받을 권리가 있음을 논하며 공영장례의 제도화와 장례복지의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온 비영리 단체의 지향은 구체적으로 빈소의 운영 방식에 반영되어 왔다. 기존 장사법이 규정하는 법률혼과 혈연 중심의 연고자 개념이 발생시키는 문제에 대한 검토와 개정 역시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공영장례는 무연고사망자를 위한 죽음 의례의 부재라는 문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나온 제도인 동시에, 장사법의 한계와 문제점을 노정하면서도, 이의 시정과 변화를 확인시키는 역동적인 현장이다.
공영장례 현장에는 공영장례로 기려지는 이들의 개별성을 드러내는 요소들이 드러나지 않는다. 영정사진이 빈소에 놓이는 경우는 드물고 고인의 생전 내력 역시 정보 보호 차원에서 공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공영장례의 지향은 무연고사망자들을 개별자로서 추모하는 것임에도 고인과 생전 인연이 없는 이들은 개체로서 고인을 마주하기보다 죽음 혹은 무연고사를 인지하고 이에 대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고인이 속한 공동체 사람들이 참석하는 경우 공영장례 현장은 사회적으로 취약한 이들 간의 연대 의식과 상호부조가 드러나는 곳이 되기도 한다.
이렇게 공영장례는 종족 이념을 대체하는 새로운 이념을 주조하고 이를 드러내는 죽음 의례로 정리할 수 있다. 사회관계의 변화는 체계가 승인하는 관계망에 의해서만 성립 가능한 장례가 아닌 새로운 형태의 장례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공영장례는 죽음 문화의 변화를 드러내고 추동하는 현장으로서 자리매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697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17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