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Dynamic Changes of Play in Autistic Children and Their Fathers Through Play-Based Developmental Intervention : 놀이 기반 발달적 중재를 통한 자폐 아동과 아버지 놀이의 역동적 변화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강향미

Advisor
박혜준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utistic children’s play""father’s physical play""DIRFloortime""tailored coaching""family-centered model"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3. 8. 박혜준.
Abstract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ASD)를 가진 아동들은 반복적인 놀이를 하거나 혼자놀이를 선호하기 때문에 사회적 의사소통의 발달이 어려운 경향이 있다. 이러한 자폐증 아동들의 놀이 특성을 이해하고 상호작용적인 놀이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것은 이들의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사례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아동들의 놀이 변화와 그 발달적 의미를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특히 아버지와의 신체 놀이를 통해 자폐증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발달 이론에 기반한 놀이와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DIRFloortime 접근 방법을 적용하였다. 더불어 연구자는 아버지들뿐만 아니라 자녀의 독특한 특성을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맞춤형 코칭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아버지 중재로 자폐 아동들의 놀이 변화를 이끌어내며 이러한 변화의 발달적 의의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아버지들이 자녀와의 신체적 놀이에 참여하는 경험을 탐색하고, 맞춤형 코칭의 중요성과 가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아동의 놀이는 어떻게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의 의의는 무엇인가?
2. 아버지들은 자녀와 놀이에 참여하며 어떤 경험을 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이 아버지-자녀 사이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3. 아버지들에게 맞춤형 코칭은 어떤 의의가 있으며, 가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 연구에서는 3세에서 7세 사이의 아동과 그들의 아버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아버지는 매일 1시간, 12주 동안 자녀와 놀이를 하였으며, 연구자는 매주 아버지에게 코칭을 제공하여 아버지가 자녀와 효과적으로 놀이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이 연구는 세 가지 주요한 결과를 밝혀냈다.
첫째, 아버지와의 신체놀이를 통해 연구 대상 아동들의 놀이 형태는 혼자놀이나 반복적인 놀이에서 상호작용적이고 함께하는 놀이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놀이 변화는 아동들의 사회적 의사소통 발달에 있어서 중요한 진전을 나타낸다. 아버지와의 함께 놀이가 증가함에 따라 아동들의 언어 사용의 정확도가 향상되었고, 눈 맞춤, 모방, 공동주의 시도, 그리고 지속적인 상호작용의 시도를 보였다. 또한, 아동들이 상징적인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면서 경직된 행동과 불안 수준이 감소하였으며, 아동의 흥미에 맞춘 상호작용적인 놀이 시간은 아동들의 반복적인 행동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이 연구는 아버지들이 자폐 스펙트럼 아동의 감각적 특성을 이해하고 아동의 흥미를 따라서 놀이에 참여함으로써 자녀들의 발달적 진전을 촉진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둘째, 자녀와 함께하는 놀이에 참여한 아버지들은 자녀의 발달을 목격하며 기쁨과 자부심을 느꼈고, 자녀와 더 굳건한 유대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들은 자녀의 감정, 참여 수준, 그리고 의사소통 능력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관찰하였다. 동시에 아버지들은 자녀의 발달에 대한 불안, 좌절감, 그리고 우려와 같은 감정도 경험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감정을 경험하며 아버지들은 자기 성찰과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보다 민감하고 반응성이 높은 부모로 성장하였다. 아버지들은 자녀의 흥미와 감각적 선호도에 맞게 놀이 스타일을 변경하는 방법을 배웠다. 또한 자신의 접근 방식을 수정하고 감정적인 (affective) 연결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통해 자녀에게 더욱 매력적인 놀이 환경을 조성하는 법도 익혔다. 이러한 배움의 시간을 거친 결과, 자녀들은 아버지와의 놀이를 기다리게 되었고 아버지는 함께 놀이하고 싶은 사람으로 바뀌었다. 이 연구는 아버지의 적극적인 놀이 참여와 맞춤 놀이는 자녀와의 긍정적인 정서적 관계를 강화시킴을 보여주었다.
셋째, 맞춤형 코칭은 이 연구의 아버지들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아버지들이 자녀와의 신체 놀이를 선호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코칭을 구성하였다. 아버지들의 관심사와 일치하는 신체적인 놀이로 시작함으로써, 그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참여가 촉진되었다. 가정 방문은 맞춤형 관찰과 권고사항을 제공하여 개별적인 도전 요소를 식별하고 다른 가족 구성원을 참여시킬 수 있게 했다. 온라인 코칭은 아버지들의 선호도와 일정을 고려한 편리한 플랫폼이 되었다. 맞춤형 코칭은 아버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자녀와의 더 깊은 이해와 강한 유대 관계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이러한 맞춤 코칭은 아버지들 자체 뿐만 아니라 가족 전체에 확장되어 어머니의 부모 교육 열망 및 자녀의 사회적 기술 향상을 위한 지원적인 가족 환경 조성과 같은 아버지 중재의 가족의 확장성을 이끌어냈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는 개인의 전반적인 기능에 오래깊은 영향을 미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는 많은 시간과 가족 구성원들의 희생, 그리고 재정 투자를 필요로 하는 힘든 과정이다. 이러한 도전에 비추어 볼 때, 가족, 특히 아버지들의 역할은 점차적으로 중요해지고 있다. 이 연구는 그간 자폐 스펙트럼 장애치료에서 간과되었던 아버지들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한다. 아버지들과 자녀에게 맞춤형으로 제공된 코칭은 그들의 독특한 요구에 맞게 지원되어, 놀이와 상호작용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개선은 아동들의 발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면서도 아버지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했다. 이 연구는 신체놀이를 통한 아버지 중재가 자녀의 사회적 의사소통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것을 밝혀낸 것에 의의가 있다. 자녀의 발달 뿐만 아니라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 이러한 접근 방식은 공통의 목표를 향한 가족 전체의 참여를 촉진하게 되면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가족 확장의 한 모델을 보여주었다.
Autistic children often engage in repetitive or solitary play, which can hinder their social interactions and impede their social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Recogn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ir play and promoting the transition to interactive play becomes crucial for indicating their social communication progress. Therefore, this case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nges in play among autistic children and their developmental significance,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active involvement of fathers in facilitating playful interactions through physical play. This research embraced the DIRFloortime approach, founded on the significance of play and relationships within the developmental framework. The researcher provided tailored coaching to father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utistic children during play. By addressing a set of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seeks to comprehend the developmental implications of play, examine the experiences of fathers engaging in physical play with their children, and assess the significance and impact of tailored coaching.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1. How does the childrens play change, and what is the implication of the change?
2. What are the fathers' experiences engaging in play with their children, and how does this interaction impact the father-child dyad?
3. What is the significance of providing tailored coaching for fathers, and how does it affect their families?

The research included children aged three to seven and their father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interactive play sessions. The researchers weekly coaching supported these sessions, which occurred daily for one hour. The researcher provided guidance and instruction to the fathers, helping them effectively engage in play with their children.
This research revealed three major findings.
Firstly, with the support of their fathers' physical play, the children in the study transitioned from solitary or repetitive play to engaging in reciprocal and interactive play. These changes in their play indicated significant advancements in their social and communication development. Consequently, the children displayed increased levels of engagement, took more initiative during interactions, and demonstrated improved accuracy in language use. Additionally,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symbolic play. Such participation indicated a reduction in their rigid behavior and anxiety levels. Moreover, fun and interactive playtimes considerably reduced the childrens repetitive behaviors.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fathers who understood their autistic children's sensory needs and adapted their play interactions were able to promote significant developmental progress in their childrens social and communication
Secondly, fathers engaging in play with their autistic children reported experiencing joy, pride and strengthened bonds. They observed positive changes in their children's emotions, engagement levels, and communication abilities. However, fathers also encountered feelings of anxiety, frustration, and concerns regarding their children's development. Through experiencing these various emotions, fathers have become more sensitive and responsive parents by self-reflection and active engagement. They have discovered a deep connection with their children. Fathers adapted their play styles to match their children's interests and sensory preferences. They learned to create a more enjoyable and engaging play environment by modifying their approaches and focusing on emotional connection. Each father faced unique challenges and made adjustments accordingly. Thi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athers' active involvement and adaptability in fostering positive relationships through play.
Thirdly, tailored coaching played a crucial role in supporting the fathers. The coaching was implemented by taking into account fathers' preference for engaging in physical play with their children. The incorporation of physical play was aimed to address the fathers' initial concerns, stemming from a lack of familiarity with effective ways to participate in play with their children. Commencing with physical play, which aligned with fathers' interests from the start, fostered their active engagement and involvement. Home visits by the researcher provided personalized observations and recommendations. This allowed for the identification of individual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to involve other family members. Online coaching offered a convenient platform for discussions that accommodated fathers' preferences and schedules.
The tailored coaching provided to fathers resulted in their active participation, fostering stronger bonds and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and other family members. This involvement extended beyond the fathers themselves, encompassing the entire family unit in activities such as parental education. Furthermore, it created a supportive social environment to enhance the child's practice of social skills.
Autism spectrum disorder has a profound and long-lasting effect on an individual's overall functioning. The intervention process is demanding, requiring substantial time, sacrifice from family members, and financial investment. In light of these challenges, the role of fathers becomes increasingly vital. This research underscores the vital role of fathers who have often been overlooked in ASD interventions. With coaching specifically tailored to the unique needs of both fathers and their children, they were able to enhance their play and interactional capacity. This improvement significantly impacted the children's development while also creating a positive experience for the fathers. The study sheds light on the importance of intervention facilitated by fathers. With the father at its center, such an approach fostered family-wide participation towards a common goal, thereby showcasing a family-centered model in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tervention.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01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6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