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Relations Among Mothers Parenting Anxiety, Childrens Prior Learning, Ego Strength, and Test Anxiety : 어머니의 양육불안, 아동의 선행학습, 자아강도, 시험불안 간의 관계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연희

Advisor
최나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parenting anxietytest anxietyego strengthprior learningprivate educatio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3. 8. 최나야.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불안, 아동의 선행학습, 자아강도, 그리고 시험불안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아동의 시험불안에 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그 관계에서 선행학습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후에는 아동의 자아강도가 앞서 언급된 관계들을 조절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 중인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어머니들은 온라인으로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으나, 아동들은 모두 서면으로 설문조사에 응했다. 어머니와 아동 모두에게 기본 사회인구학적 질문이 주어졌고, 그 외에는 선행학습의 여부, 정도, 과목을 묻는 문항들이 주어졌다. 어머니들은 양육불안을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였고, 아동들은 시험불안과 자아강도를 측정하는 설문들에 응답하였다. 자료 수는 200쌍을 목표로 표집을 시작하였고, 표집 기간 종료 직후 245 쌍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나 중복 응답, 무성의 응답, 미완성 응답 등의 이유로 38개의 자료가 제외되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는 207개의 자료가 연구에 사용되었으며 수집한 자료는 IBM SPSS 2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PROCESS macro 분석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 분석 결과,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아동의 선행학습 두 요인 모두 아동의 시험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의 응답을 조합한 결과, 아동은 1) 어머니의 양육불안 수준이 높을 때, 2) 선행학습의 정도가 높을 때, 혹은 3) 둘 다일 때 높은 수준의 시험불안을 보고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는 아동의 시험 수행에 큰 걸림돌이 되는 주요 요인 중 하나인 시험불안이 학업과 관련된 요소, 그리고 관련되지 않은 요소 둘 다에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확인시킨다.
둘째, 아동의 선행학습은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아동의 시험불안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 분석 결과에서 알려진 사실은 많은 어머니들이 더 높은 수준의 양육불안을 느낄수록 자녀에게 선행학습을 더 많이 하도록 지시했으며, 결과적으로는 그런 행동이 아동의 시험불안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이 시험을 더 잘 보고 성적을 더 잘 받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시키는 선행학습 때문에 오히려 시험 점수가 더 낮아질 수도 있다는 결과이기 때문에, 선행학습을 둘러싼 역설적인 상황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셋째, 아동 자아강도 중 두 개의 하위요인이 아동의 시험불안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독립변수는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아동의 선행학습인데, 아동 자아강도 하위요인 중 사회성이 어머니의 양육불안-아동의 시험불안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고, 유능성이 아동의 선행학습-아동의 시험불안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본인을 생각했을 때, 유능하다고 느끼며 자신감 넘치는 아동일수록 선행학습 때문에 시험불안을 겪는 일이 적었고, 사회적 지지망이 잘 구축되어 있고 또래 관계가 잘 형성되어 있는 아동일수록 어머니의 양육불안 때문에 시험불안을 겪는 일이 적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시험불안이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아동의 선행학습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 아동의 선행학습이 어머니의 양육불안과 아동의 시험불안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점, 그리고 아동 자아강도 하위요인 중 사회성과 유능성이 각각 어머니의 양육불안-아동의 시험불안 간의 관계, 아동의 선행학습-아동의 시험불안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학습을 둘러싼 현재 한국 사회의 실태를 보여주는 것과 동시에 아동의 시험불안과 선행학습을 둘러싼 정책적, 교육적 함의를 담고 있다. 먼저 후속 연구로 아동의 시험불안을 조절할 수 있는 다른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고, 정책적으로는 한국 사회가 공교육에 더욱 집중하여 부모들이 아동의 교육과 관련하여 불안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고, 시/도 수준에서 관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설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는 근거를 제안하였다.
The primary goal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arenting anxiety, childrens prior learning, ego strength, and test anxiety. It aimed to demonstrate that mothers parenting anxiety affects childrens test anxiety, and that childrens prior learning acts as a mediating variable in between the two. In addition, it also attempted to establish that childrens ego strength can serve as a moderating agent between the relationships childrens test anxiety shares with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In order to do so, a survey study designed for 11-12 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was conduc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During that process, the mothers had the option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rough an online link, whereas the children all had to submit written survey response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s were basic demographic questions, for both the mothers and the children, and additionally there were items asking them about prior learning. Afterward, the mothers had to respond to a survey scale measuring their parenting anxiety. The children, on the other hand, were required to respond to survey scales measuring their test anxiety and ego strength. By the end of the data collection period, a total of 245 pairs were compiled. However, because some of the data were unusable due to them being incomplete and/or insincere, 38 of them were discarded. A final sum of 207 responses was evaluated for the current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via IBM SPSS 29.0, utilizing varied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PROCESS macro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mothers parenting anxiety and prior learning affect childrens test anxiety in a positive direction. Children reported higher levels of test anxiety when 1) their moth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parenting anxiety, 2) they were further ahead in their prior learning, or 3) both. Such results are indicative of the fact that childrens test anxiety, one of the prime suspects for poor test performance, can be affected by academic and non-academic factors.
Second, prior learning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nxiety and childrens test anxiety.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parenting anxiety a mother feels, the more inclined she is to have her child participate in higher amounts of prior learning, which then contributes to the childs test anxiety. The ironic revelation here is the fact that prior learning, an act intended to boost test performance and grades, can actually be of detriment to those factors.
Third, only some of the subscales under childrens ego strength showed to have moderation effects. Childrens ego strength as a whole does not moderate the relationships that childrens test anxiety shares with prior learning and mothers parenting anxiety. However, childrens socialit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anxiety and childrens test anxiety, whereas compete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learning and childrens test anxiety. The more competent and self-assured a child feels, he or she is less likely to suffer from test anxiety from prior learning; and when he or she has a good social support system and a reliable group of friends, he or she is less likely to experience high levels of test anxiety due to mothers parenting anxiety.
Lastly, the current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otential policies and programs that can develop from here.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01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77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