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프로코피예프의 《첼로 소나타, 작품번호 119》 : Socialist realism and Sonata for Cello, op. 119 by S. Prokofiev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정민

Advisor
김두민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프로코피예프첼로 소나타소련사회주의 리얼리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8. 김두민.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Sonata for Cello, op. 119》 completed in 1974 by Sergei Prokofiev(1891-1953), leading pianist and composer in 20th century Russia. The author of this thesis conducted research of Prokofievs life to gain more information about Sonata for Cello, op. 119.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offer detail interpretation to performers who play Sonata for Cello, op. 119.
Prokofiev demonstrated exceptional talent in composition and piano from an early age. At the age of 13, he entered St. Petersburg Conservatory, and expanded of his knowledge of music. He gained recognition in Europe and United States with remarkable skills. He performed actively in his homeland Russia, however frequent revolutions made him decide to move to United States. After exile in United State, he continued his music career actively. Enticed by Joseph Stalin(1879-1953), Prokofiev concluded 18 years sojourn in United States and returned to his homeland in 1936.
In 1936, Russia declared itself as the world's first socialist Soviet republic, commonly known as Soviet Union. Stalin initiated cultural revolution based on "Socialist Realism" to consolidate his power, which led to suppress artists in the party. Through Socialist Realism, Soviet Union suppressed artists to restrict their activities and gave threat to their livelihoods. Even artists family had arrested and got suppress. Consequently, the majority of artists who could not endure such circumstances chose exile and left their homeland.
Contrary to the prevailing circumstances, Prokofiev returned to his homeland and received a heroic welcome and lived a luxurious life. He composed operas and ballets based on Socialist Realism in voluntarily and gained honor and fame. However, in 1946, emergence of a new cultural policy based on Zdanovsina, Prokofiev got public criticism by the party. Public criticism disrupted Prokofievs music career and threatened his livelihood. In addition, Prokofiev got terrible concussion and moved to country for recuperation. During his recuperation, he continued composing his primary works such as operas and ballets. However obtaining partys approval became increasingly difficult because of Zdanovsina, Prokofiev shifted his attention to instrument music, which had relatively easier to get partys approval. He primarily composed non-political themed instrument music. Prokofievs enthusiasm for composition wore down because of continuous suppression by the party. He remained bedridden until he met young cellist Mstislav Rostropovich(1929-2007) in 1947. After watching Rostropovichs performance, Prokofiev regained his motivation and composed his only Sonata for Cello, op. 119.
Prokofiev composed 14 pieces for string instruments, with majority composed in his final years. Among these 14 pieces, four pieces are composed for cello and only one piece is sonata. Prokofiev has five compositional tendencies: classical, modern, toccata, lyrical, and grotesque. Sonata for Cello, op. 119 represent his classical, modern and lyrical tendencies. Op. 119 shows Prokofievs ability which classical and modern tendencies can appear in one piece.
In order to understand Prokofievs life, this thesis deals Russias socio-political backgroun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explores Socialist Realism and Zdanovsina that suppressed artists at that time. Studying background of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Sonata for Cello, op. 119》 is to offer the basis for interpretation necessary for actual performance to performers.
본 논문은 20세기 러시아의 대표적인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프로코피예프(Sergei Prokofiev, 1891-1953)가 1974년에 완성한《첼로 소나타 작품번호 119》에 관한 연구이다. 필자는 작곡가의 생애를 통해 이 곡의 작곡 배경을 보다 자세히 이해하기 위한 연구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것은 연주자들의 실제 연주에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한다.
어려서부터 작곡과 피아노에 대한 두각을 드러낸 프로코피예프는 13세에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입학하여 음악에 대한 견문을 넓혀 갔다. 뛰어난 실력으로 유럽과 미국에 이름을 알리며 활발히 활동하던 그는 조국 러시아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혁명으로 인한 혼란스러운 상황을 피하고자 미국으로 망명을 떠나게 되었다. 미국과 유럽을 오가며 활발한 연주, 작곡 활동을 펼치던 그는 스탈린(Joseph Stalin, 1879~1953)의 회유로 약 18년의 해외 생활을 정리하고 조국으로 귀향하였다.
당시 러시아는 세계 최초의 사회주의 소비에트 공화국, 일명 소련이 선포되고, 스탈린이 자신의 신격화를 위해 사회주의 리얼리즘(Socialist realism)을 기반으로 한 문화 혁명을 진행하며 당의 예술가들을 억압하기 시작하던 시기였다. 당의 억압은 예술가 당사자의 활동을 제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들의 주변인들을 체포, 탄압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를 견디지 못한 예술가들 대부분은 망명을 선택해 조국을 떠나는 길을 택하였다.
이러한 상황과 대조적으로 귀향한 프로코피예프는 영웅 대접을 받으며 호화로운 생활을 하였고, 자발적으로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부합한 오페라와 발레곡을 주로 작곡하였다. 작곡으로 명예와 유명세를 얻어 활발한 활동에 임하던 그는 1946년 즈다노프시나(Zdanovsina)의 대두로 예술 정책이 변화하며 갑작스러운 당의 공개적인 비판을 받게 된다. 당의 억압에 작곡 의뢰가 끊겨 생계를 위협받던 프로코피예프는 뇌진탕까지 얻으며 의사의 권유로 요양을 떠나게 되었다. 요양 중에도 자신이 주력으로 임하던 오페라와 발레곡 등을 작곡하였으나 번번이 당의 허가를 받지 못하여 연주가 금지되자 당의 허가를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는 기악음악으로 눈을 돌려 비정치적인 주제의 곡들을 주로 작곡하였다. 계속되는 당의 억압으로 작곡 열의를 잃고 병상에 누워지내던 그는 1947년 이십 대의 청년 첼리스트 로스트로포비치(Mstislav Rostropovich, 1929-2007)에게 영감을 받아 다시금 의욕을 내비치며 작곡가의 유일한 첼로 소나타인 작품번호 119번을 작곡한다.
프로코피예프는 총 14개의 현악기를 위한 곡을 작곡하였으며, 대부분은 그의 말년에 작곡되었다. 14개 곡 중 첼로를 위한 곡은 4개이며 소나타는 단 한 곡뿐이다. 《첼로 소나타 작품번호 119》는 프로코피예프의 다섯 가지 작곡 경향인 고전적, 현대적, 토카타적, 서정적, 괴기적 경향 중 고전적, 현대적, 그리고 서정적 경향이 나타나는 곡으로, 프로코피예프가 고전적 경향과 현대적 경향을 동시에 다룰 수 있는 작곡가임을 나타내는 곡이다.
본고에서는 프로코피예프의 생애를 심도있게 이해하기 위해 20세기 초 러시아의 사회정치적 배경을 다루고, 당시 예술가들을 억압한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즈다노프시나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통해 《첼로 소나타 작품번호 119》의 작곡 배경과 구조에 대해 연구하여 연주자들에게 실제 연주에 필요한 해석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07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7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