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영산회상 선율의 구조와 특징 연구 :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Yeongsanhoesang : Focus on Seryeongsan, Garakdeori, and Sanghyeondodeuri
- 세령산, 가락덜이, 상현도드리를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재원

Advisor
이지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영산회상세령산가락덜이상현도드리골격음비골격음골격선율선율구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8. 이지영.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악영산회상 중 세령산ㆍ가락덜이ㆍ상현도드리 선율을 분석하여 각 악곡의 골격선율과 선율구조를 밝혔다. 이를 통해 악기별ㆍ악곡별 선율 특징을 확인하고, 영산회상이라는 모음곡 안에서 선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방법은 골격음 분석 방법으로 정간 대표음 및 합주 대표음 판정, 골격음 추출, 골격선율 및 상이선율을 통한 선율구조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줄풍류 편성에서 대표적인 다섯 악기인 가야금ㆍ거문고ㆍ대금ㆍ피리ㆍ해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령산ㆍ가락덜이ㆍ상현도드리의 악곡별 골격음 비율, 선율구조, 골격선율과의 일치율을 살펴보았다. 악곡별 골격음 비율을 분석한 결과 세령산은 총 56개의 골격음 중 僙이 6개, 㑖이 21개, 㑣이 17개, 㒇가 8개, 黃이 4개이다. 가락덜이는 총 40개의 골격음 중 僙이 4개, 㑖이 16개, 㑣이 10개, 㒇가 5개, 黃이 5개이다. 상현도드리는 총 72개의 골격음 중 僙이 4개, 㑖이 20개, 㑣이 19개, 㒇가 6개, 黃이 22개, 太이 1개이다. 선율구조를 분석한 결과 세령산ㆍ가락덜이는 가야금ㆍ거문고 위주로 각 장의 종지구에서 상이선율이 나타났으며, 상현도드리는 상이선율이 모든 악기에서 나타났다. 악기별 골격선율과의 평균 일치율은 세령산이 93.9%, 가락덜이가 99%, 상현도드리가 90.3%로 가락덜이가 가장 높다.
둘째, 세령산ㆍ가락덜이ㆍ상현도드리는 㑖, 㑣이 주요한 골격음인 가운데 상현도드리는 黃의 비율 또한 높으며, 세 악곡 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골격선율임에도 다양한 선율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선 분석을 토대로 비교해본 결과 세령산ㆍ가락덜이ㆍ상현도드리는 㑖, 㑣이 주요한 골격음으로 구성되어있으며 㑀는 골격음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영산회상이라는 모음곡에 속한 악곡으로서 공통점으로 보여진다. 다만 상현도드리에서만 골격음 黃의 비중이 높아 전반적으로 음역의 상승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세령산ㆍ가락덜이ㆍ상현도드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㑣-㑖-㑖 / 㒇-㑖-㑣 / 㑣-黃-㑣 세 골격선율을 비교 분석하여 세부적인 선율 차이에 의해 다양한 음악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령산은 주로 골격선율보다 아래 음역을 활용하며, 가락덜이는 골격선율과 대부분 일치하고, 상현도드리의 경우 현악기와 관악기의 특징이 구분되었으며 골격선율 위ㆍ아래 음역을 활용하여 다채롭게 선율을 형성한다.
셋째, 악기별 비골격음을 분석한 결과 현악기와 관악기로 나뉘어 나타나는 특징, 특정 악기만 사용하는 비골격음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악기적 특성으로 볼 수 있는 비골격음으로 거문고는 문현인 㣴이 있고, 가야금은 한 옥타브 아래 음인 㣡ㆍ㣩 등이 있다.
넷째, 악곡별 비골격음을 분석하여 가락덜이는 세령산에 비해 현악기 선율이 단순화되었으나 관악기는 단순화되지 않았고, 세령산과 상현도드리 두 악곡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골격선율에서 비골격음의 양상으로 인해 다른 선율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세령산에서 가락을 덜어 만들어졌다는 가락덜이의 형성 배경이 현악기 선율 측면에서는 일치하나 관악기 측면에서는 일부 일치하지 않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앞서 같은 골격선율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선율이 비골격음 양상에 따른 것임이 설명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lodies of Seryeongsan, Garakdeori, and Sanghyeondodeuri in the Yeongsanhoesang collection and revealed each song's skeletal melody and melody structure.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lody by instrument and music were confirmed, a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melody were examined in the Yeongsanhoesang.
This research method consists of determining the representative tones of Jeonggan and the ensemble, extracting the representative tones, and checking the melody structure through the skeletal melody and different melodies as a skeletal tone analysi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Gayageum, Geomungo, Daegeum, Piri, and Haegeu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similarity rate with the skeletal tones, melody structure, and skeletal melody of each of the three song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tio of the skeletal tones by music, Seryeongsan has a total of 56 skeletal tones, with six 僙, twenty-one 㑖, seventeen 㑣, eight 㒇, and four 黃. Garakdeori has a total of forty skeletal tones, with four 僙, sixteen 㑖, ten 㒇, five 㑣, and five 黃. Sanghyeondodeuri has a total of seventy-two skeletal tones, with four 僙, twenty 㑖, nineteen 㑣, six 㒇, twenty-two 黃, and one 太,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lody structure, the different melodies were observed mainly on string instruments in Seryeongsan and Garakdeori, and in Sanghyeondodeuri, all instruments showed different melodies. The average similarity rate with the skeletal melody rate according to the instrument is 93.9% in Seryeongsan, 99% in Garakdeori, and 90.3% in Sanghyeondodeuri.
Secon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㑖 and 㑣 are the main skeletal tones of Seryeongsan, Garakdeori, and Sanghyeondodeuri. In addition, 黃 also appears at a high rate in Sanghyeondodeuri, which shows a rise in the tone range. Furthermore, the same skeletal melody was found in the three songs through analysis. However, their detailed melodies were differe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uxiliary tones of each instrument,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divided into string and wind instruments and the auxiliary tones using only specific instruments were found. As auxiliary tones that can be seen as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Geomungo has 㣴, and Gayageum has 㣩 and 㣡.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song's auxiliary tones, the melody of string instruments was simplified for Garakdeori, compared to Seryeongsan, but the wind instruments were no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different melody through the aspect of the auxiliary tones in the same skeletal tones as Seryeongsan and Sanghyeondodeuri. The previous contents discovered that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Garakdeori, which was made by removing the melody from Seryeongsan, coincides in terms of string instruments but not in part with wind instruments, and it explains that auxiliary tones influenced the various melodies in the same skeleton melod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08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3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