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제이크 헤기(Jake Heggie)의 <카미유 클로델: 인투 더 파이어> (Camille Claudel: Into the Fire, 2012)에 대한 연주자적 고찰: 작품에 내재된 클로델의 자아표현에 관하여 : A Performers Perspective on Jake Heggies Camille Claudel: Into the Fire (2012) - with a focus on Claudels Self-Express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승윤

Advisor
서정은; 박미혜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제이크 헤기카미유 클로델로댕미국가곡Camille Claudel: Into the Fire (2012)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음악대학 음악과, 2023. 8. 서정은
박미혜.
Abstract
본고는 19세기 말 프랑스의 여성 조각가인 카미유 클로델의 삶과 사랑, 작품을 다룬 제이크 헤기의 연가곡 Camille Claudel: Into the Fire (2012)를 연주자적 관점에서 고찰한 논문이다. 이 연가곡은 메조소프라노와 현악사중주 편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품의 화자이자 주인공인 카미유 클로델의 자아와 내면세계가 나타나는 모노드라마의 성격을 보인다.
클로델의 조각 작품을 토대로 진 쉬어의 텍스트가 음악으로 표현 된이 작품에서는 음악, 텍스트, 화자의 내면 세 가지 측면을 살펴볼 수 있다. 음악과 언어 텍스트는 연가곡이라는 장르적 틀 속에서 서로 결합되고, 이 결합의 중심에 놓인 것이 바로 화자인 클로델의 내면이다. 여기에는 클로델의 삶과 로댕과의 관계, 사랑·슬픔·후회·분노 등 다양한 감정이 포함된다. 음악은 가사의 의미와 흐름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해 직접적이거나 은유적으로, 묘사적이거나 함축적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작품의 해석자이자 전달자인 연주자가 텍스트와 음악, 화자의 내면이라는 세 가지 영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연주 실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작곡가 제이크 헤기의 생애와 작품 경향을 가곡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어지는 III, IV, V장은 각각 텍스트 분석-음악 분석-연주 해석으로 전개되며 상호연관을 이룬다. 우선 III장에서는 헤기와 대본가 진 쉬어가 협업한 과정을 살펴본 후 작품의 소재가 되는 클로델의 여섯 개의 조각 작품과 전 곡의 텍스트를 분석한다. 이때 진 쉬어의
텍스트에 나타나는 클로델의 삶과 사랑, 내면과 감정은 이후 IV장과 V장에서 다루어지는 음악 분석과 연주자적 해석의 핵심적 근거가 된다. IV장에서는 8개 곡의 전반적 특징과 선율, 화성, 리듬, 박절, 음색 등 다양한 음악 요소들을 중심으로, 클로델의 내면을 반영한 작곡기법적 측면을 상세히 분석한다. 마지막 V장에 이르러서는 III, IV장에 걸쳐 분석하고 연결시킨 텍스트와 음악 요소에 대한 연주자적 해석을 제안한다. 여기서는 초연자인 조이스 디도나토와 알렉산더 콰르텟의 음원을 대표 사례로 선택해, 기보된 음악 요소, 텍스트 속 주요 시어와 시의 흐름, 클로델의 감정과 자아 표현을 성악가가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 파악한다. 템포와 다이내믹의 선택, 프레이즈의 호흡, 가사의 딕션 등 구체적인 차원에서 디도나토의 해석을 분석하고 필자의 연주 해석을 제안한다.
본고에서는 작품의 기법적 측면을 분석하고 이를 텍스트 해석에 적용하는 데에서 한 걸음 나아가 화자의 내면과 자아 표현 등 심리적 차원으로 작품 연구의 범주를 넓히고자 하였다. 이 작품은 성악가가 텍스트 속 화자의 독백을 노래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성악가에게 음악의 1차원적 표현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해석가로서 음악으로 구현된 화자의 내면을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연주에 적용할 것을 요구한다. 이러한 연주자적 해석을 고찰한 V장은 이 논문의 가장 중요한 핵심적인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음악과 텍스트, 그리고 화자의 내면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작품에 대한 연주자적 해석 방향을 정립하는 초석이 되기를 희망한다. 더하여 본 연구에서 밝힌 내용을 기반으로 추후 제이크 헤기의 가곡이 국내에서 활발하게 다루어지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08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7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