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피터르 브뤼헐의 로테르담 <바벨탑>(1568): 네덜란드에 대한 스페인 지배의 알레고리 : Pieter Bruegels The Tower of Babel (1568) in Rotterdam: The Allegory of the Spanish Tyranny over the Netherland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승우

Advisor
신준형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피터르 브뤼헐바벨탑네덜란드스페인성상파괴운동앙투안 페레노 드 그랑벨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23. 8. 신준형.
Abstract
The 16th-century Dutch painter Pieter Bruegel the Elder painted two versions of The Tower of Babel paintings, once in 1563 and again in 1568. This thesis argues that the allegory of the painting The Tower of Babel (c. 1568) which now is in possession of Boijmans van Beunigen Museum in Rotterdam, portrays that the tyranny of the Spanish empire became more severe after Beeldenstorm, the iconoclastic movement in the Netherlands. In addition, it attempts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The Tower of Babel in Rotterdam by claiming that there are conflicting nuances and meanings that coexist on one canvas, using support by discovering the purpose of the patron who commissioned Pieter Brugel the Elder to paint it.
Bruegel depicted Spanish tyranny and Dutch society in his paintings. However, he did not represent the contemporary Netherlands itself. Instead, he metaphorically described the Netherlands under Spanish oppression by painting various allegories in religious and landscape paintings. Bruegels The Tower of Babel paintings are great examples of this strategy. In his paintings, the Tower of Babel symbolizes the Spanish Empire, which oppressed the protestants in the Netherlands to purge Corpus Christianum from heretical infections. While The Tower of Babel (1563) in Vienna shows the process in which Spanish governance over the Netherlands was being formed, the Rotterdam painting shows that Spain's governance structure is becoming more solid and nearing its completion.
The Tower of Babel in Rotterdam shows similar scenes to the Vienna painting but has differences in detail. Considering the chaotic situation that the Netherlands had suffered, it is assumed that Bruegel sought to connect the narrative through this difference in detail. He allegorically depicted the ruling structure of the Spanish Empire, which became severer after Beeldenstorm.
It is noteworthy that in The Tower of Babel in Rotterdam, there are no conspicuous objects except for the Tower of Babel. This is presumably because Bruegel wanted to express his message more indirectly. There are two reasons why he expressed the tyranny of Spain more indirectly in the Rotterdam painting. The first is the fear caused by the regency of the Duke of Alba. Bruegel continued to criticize the Spanish Empire through his paintings until the end of his life while ordering his wife to burn some of his works. This is because he was worried that his family would be executed because of them.
Second, it is most probable that the patron of the Rotterdam painting was Antoine Perrenot de Granvelle. Although Granvelle was from a non-noble family, he was the de facto most powerful person in the Netherlands and led religious and political tyranny before the regent for the Duke of Alba. On the other hand, he actively collected works of art to justify his political position in the Dutch aristocracy. It was for this reason that he sought after Bruegels paintings.
It seems that Bruegel's message and Gravelle's understanding of The Tower of Babel in Rotterdam were different. In Catholicism at the time, the Tower of Babel was associated with Babylon and symbolized the Earthly City, a city full of sins. Gravelle is assumed to have commissioned Bruegel to paint the Rotterdam painting to use the Tower of Babel as a metaphor for the Netherlands after Beeldenstorm. The equivocal depiction of the allegories in the Rotterdam painting implies that Bruegel intended the coexistence of these irreconcilable understandings between the painter and the patron.
16세기 네덜란드 화가인 피터르 브뤼헐(Pieter Bruegel the Elder, 1525-1569)은 1563년과 1568년에 각각 안트베르펜과 브뤼셀에서 동명의 회화를 제작했다. 본 논문은 그중 로테르담 보이만스판뵈닝언미술관(Boijmans van Beuningen Museum) 소장 (이하 로테르담 )에서 성상파괴운동(Beeldenstorm) 이후 더욱 공고해진 스페인 제국의 압제와 이에 대한 브뤼헐의 비관적 정서가 바벨탑이라는 알레고리를 통해 간접적으로 표현되었다고 주장하는 글이다. 더 나아가 필자는 브뤼헐에게 로테르담 을 주문한 후원자의 목적을 추적하여 두 가지 대립적인 의도가 한 화면에 공존하고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로테르담 의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브뤼헐의 두 에는 당시 네덜란드를 압제하던 스페인 제국의 지배 구조가 세부 묘사를 통해 상징적으로 그려졌다. 당시 스페인의 왕이었던 펠리페 2세(Philip II, 1527-1598)는 네덜란드를 종교적, 정치적으로 압제했으며 1566년에 일어난 성상파괴운동을 스페인에 대한 정치적 반란으로 받아들였다. 그는 곧바로 알바 공작(Duke of Alba) 페르난도 알바레즈 데 톨레도(Fernando Álvarez de Toledo, 1507-1582, 이하 알바 공작)을 네덜란드로 파견하여 섭정을 맡겼다. 네덜란드에 도착한 알바 공작은 특별종교재판(Council of Troubles)을 통해 수천 명의 네덜란드인들을 잡아들이거나 처형했으며, 강력한 공포 정치로 네덜란드를 탄압했다.
브뤼헐은 다양한 회화 작품을 통해 당시 네덜란드의 사회상을 묘사했다. 다만 그는 동시대 네덜란드의 모습을 직접적으로 화면에 그리지 않았으며, 종교화, 풍경화 등 다른 주제를 묘사한 풍경에서 다양한 알레고리를 그려 넣는 방식으로 표현했다. 두 은 이러한 전략이 가장 잘 드러난 사례이다. 두 작품 속 바벨탑은 네덜란드를 단일한 가톨릭 공동체로 만들기 위해 압제했던 스페인 제국을 상징한다. 빈 이 네덜란드에 대한 스페인의 지배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 준다면, 로테르담 은 스페인의 지배 구조가 더욱 공고해져 완성에 가까워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두 의 시각적 유사성은 두 작품을 하나의 연결된 내러티브로 이해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러나 세부 묘사의 측면에서 두 작품은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시간에 흐름에 따른 내러티브의 변화를 함의할 공산이 크다. 브뤼헐은 로테르담 에서 탑의 진전된 건축 상황과 배경 속 네덜란드식 도시의 소멸 및 스페인식 선박의 증가 등을 통해 성상파괴운동 이후 더욱 공고해진 스페인 제국의 지배 구조를 상징적으로 묘사했다.
특기할 점은 로테르담 에서 바벨탑을 제외하면 눈에 띄는 묘사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브뤼헐이 자신의 메시지를 더욱 우회적으로 표현하고자 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그가 로테르담 에서 스페인의 압제와 자신의 비관적 정서를 더욱 간접적으로 표현한 이유는 두 가지로 추려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알바 공작의 섭정으로 인한 두려움이다. 브뤼헐은 말년까지 그림을 통해 스페인 제국에 대한 비판 의식을 드러내는 한편 아내에게 자신의 작품 중 일부를 불태워 없애라고 지시했다. 이는 그가 그 작품들로 인해 가족이 처형당할까 걱정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이 작품의 주문자가 앙투안 페레노 드 그랑벨(Antoine Perrenot de Granvelle, 1517-1586, 이하 그랑벨)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그랑벨은 평민 출신임에도 네덜란드의 실질적인 권력자로서 알바 공작의 섭정 전까지 네덜란드에 대한 종교적, 정치적 억압을 주도했던 인물이었다. 동시에 그는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대외적으로 정당화시키기 위해 미술 작품을 적극적으로 수집했는데, 브뤼헐이 브뤼셀에 거주하던 시절 그의 주요 후원자이기도 했다.
로테르담 에 대한 브뤼헐의 제작 의도와 그랑벨의 주문 의도는 상이했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 가톨릭 세력에서 바벨탑은 바빌론과 연관되어 죄악으로 가득한 인간의 도성을 상징했다. 그랑벨은 성상파괴운동 이후 죄악으로 가득 찬 네덜란드의 모습을 바벨탑에 비유하고자 로테르담 을 주문했을 것이다. 이렇듯 빈 과 비교할 때 로테르담 의 상징적 의미가 더 모호하게 표현된 점은 그림에 대한 브뤼헐과 그랑벨의 서로 다른 이해가 의도적으로 연출된 것임을 암시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18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72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