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어 폐쇄음의 음성 실현에 대한 세대별·연령별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onetic Realizations of Korean stops by Generation and Ag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한중

Advisor
김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폐쇄음변이VOT(성대진동시작시간)폐쇄구간의 길이후행모음의 f0(기본 주파수)세대연령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8. 김현.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 폐쇄음의 음성 실현 양상이 세대 혹은 연령이 다른 집단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비교함으로써 폐쇄음의 음성 실현 양상이 어떤 요인에 의해 달리 나타나는지 논의하는 것이다. 그간의 논의는 폐쇄음의 음변이가 세대차나 연령차에 의한 것임을 주장하였는데, 이때 세대, 연령, 성별이라는 요인이 함께 고려되지는 않았다. 이에 본고는 20여 년 전에 구축된 음성 말뭉치를 이용하면서도, 말뭉치 화자와 현재 비슷한 연령인 사람들에게 산출 실험을 시행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 그간의 관련 연구가 어두 폐쇄음에만 한정되어 이루어졌기 때문에 출현 환경을 모음 간으로 달리 했을 때의 음성 실현 양상도 함께 다루었다.
본고에서는 어두 폐쇄음의 발성 유형 변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VOT와 후행 모음의 f0를, 상대적 수치인 r_VOT와 f0(A), f0(A-B)로 변환하여 절대적 수치와 함께 살펴보았다. 어두 폐쇄음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평음과 격음에서였다.
세대별 비교 결과, 음향 단서로 VOT를 이용했을 때에는 음변이가 계속해서 진행 중인 것으로, r_VOT를 이용했을 때에는 음변이가 완료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f0(A)는 모든 집단에서 격음이 평음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f0(A-B)는 발성 유형에 따른 양상이 r_VOT와 평행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어두 폐쇄음의 음향 단서로서 f0(A-B) 또한 중요하게 기능할 수 있다는 것과, 길이 요소의 감소와 f0의 기능 강화는 동시에 일어나는 것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연령별 비교 결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어두 폐쇄음의 r_VOT과 f0(A)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f0(A-B)는 발성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연령별 비교 결과가 노화에 의한 것이기보다는, 어두 평음과 격음에서의 음변이 세력이 우위를 차지함으로써 언어 변화가 완료되어 가는 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것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한편 모음 간 폐쇄음의 발성 유형 변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것은 폐쇄 구간의 길이와 후행 모음의 f0이다. 어두 폐쇄음과 마찬가지로, 본고에서는 이 음향 단서들을 상대적 수치로 변환한 r_c, f0(A), f0(A-C), f0(A-B) 등과 함께 다루었다.
세대별 비교 결과, 폐쇄 구간 길이의 절대적, 상대적 수치는 모두 다음 세대에서와 여성에서 큰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음과 격음의 변별에 있어서는 절대적 수치로는 유의한 평균차를 보이지 못하고, 상대적 수치인 r_c로는 유의한 평균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f0(A)는 어두 폐쇄음과는 달리 평음과 긴장음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지니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f0(A-C)는 남성이 여성보다 큰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모음 간 폐쇄음의 음향 단서로서 폐쇄 구간의 길이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령별 비교 결과, 폐쇄 구간의 길이 요소는 중장년층과 여성에서 큰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f0(A), f0(A-C), f0(A-B) 등은 성별, 연령, 발성 유형에 따른 일관된 양상을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폐쇄음은 연령차에 의한 노화가 아니라 세대차에 의해 달리 실현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령과 세대의 차이를 아우르는 자료를 이용하여 음변이와 변화에 대해 논의하였다는 점, 기존의 음향적 단서와 함께 이들을 상대적 수치로 변환하여 이것들이 폐쇄음 연구에서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19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8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