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조건문의 전제 투사 연구 : A study on the presupposition projection in Korean conditiona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문서영

Advisor
전영철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제전제 투사 문제한국어 조건문가정성조건문 분류 체계조건문 유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8. 전영철.
Abstract
본고는 한국어 조건문의 전제 투사 문제를 설명할 수 있는 전제 투사 조건을 새롭게 정리하는 데 목적을 두며 전제의 특징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조건문 분류 체계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조건문이 표상하는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조건성과 가정성을 구분해야 한다. 어떤 명제가 기술하는 사건이 현실 세계에 비추어 참이라는 화자의 강한 믿음이 있을 때는 가정성의 의미가 표상되지 못하지만, 사건이 거짓이라고 믿거나 진리치를 판단하기가 불확실하다는 태도가 존재할 경우에는 비가정성의 의미가 전달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성 및 비가정성의 성격은 두 사건 사이의 인과적인 연결 관계를 드러내는 조건성과 분명히 분별되어야 한다.
3장에서는 본고의 전제 투사 조건을 보이고 이 조건이 조건문들에서 관찰되는 전제 투사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점을 확인한다. 조건문의 전제 투사를 이해하려는 논의는 반드시 명제에 대해 담화 참여자들이 가지는 믿음의 성격을, 달리 말해 가정성이 표상되는지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후건의 전제가 투사 문제의 대상이 되면, 가정적인 후건 전제는 투사되지 못하지만 비가정적인 전제는 투사된다. 전건에서 유발된 전제는 전제 자체가 가정적이든 비가정적이든 상관없이 항상 전체 문장으로 투사되는데, 이는 전건의 전제가 조건의 영향권 안에 속하기 때문이다. 조건이 되는 명제는 담화 참여자들이 이미 알고 있었던 정보로 인식되므로 전건 전제는 비가정성을 획득하고, 비가정적인 전제는 투사가 허가된다.
4장에서는 조건문 분류 체계를 제시한 기존의 연구들이 가지는 한계를 지적한다. 이들은 전건의 기능에 치중하여 조건문 분류 체계를 제시했고 전제 및 전제와 관련된 언어 현상들을 고찰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제 투사 문제와 관련해서 정돈된 설명을 제공하지 못한다. 그리고 가정적인 조건문과 비가정적인 조건문을 형식적으로 정밀하게 구분하지 않는 영어의 조건문들을 위주로 하여 조건문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했기 때문에, 전건 내용의 실현성에 대하여 화자가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조건 연결어미와 같은 언어 표지들로 명시화하는 한국어 같은 언어의 특징이 배제되었다. 따라서 조건문에 대한 후속 연구들에서는 조건과 매우 밀접한 전제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조건문 분류 체계를 세울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종합한 뒤 앞으로 남은 연구 과제를 밝히며 논의를 갈무리한다.
This study aims to organize a new set of presupposition projection conditions that can explain the problem of presupposition projection in Korean conditionals and argues for a classification scheme for conditionals that actively reflects the features of presupposition.
In order to clearly understand the meaning of conditional sentence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conditionality and hypotheticality. Hypothetical meaning is not conveyed when there is a speaker's strong belief that the event described by a proposition is true in light of the real world, but non-hypothetical meaning is conveyed when there is a belief that the event is false or an attitude of uncertainty about its truth. The nature of these hypotheticality and non-hypotheticality must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conditionality, which reveals a causal connection between two events.
Chapter 3 presents presuppositional projection conditions and show that they help u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presuppositional projection observed in conditionals. Any discussion of understanding presupposition projection in conditional sentences must take into account the nature of the beliefs that discourse participants have about the propositions, in other words, whether hypotheticality is expressed. When a consequents presupposition is subject to a projection problem, the consequents hypothetical presupposition is not projected, but the non-hypothetical presupposition is projected. A presupposition triggered by an antecedent is always projected to a full sentence, regardless of whether the presupposition itself is hypothetical or non-hypothetical, because the presupposition of the consequent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ondition. Since the proposition being conditioned is recognized as information that the discourse participants already knew, the presupposition of the consequent acquires non-hypotheticality, and then the non-hypothetical presupposition projects.
Chapter 4 points out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that have proposed a classification scheme for conditionals. They focus on the function of the antecedent and do not examine the linguistic phenomena related to the presupposition and the presupposition itself, so they cannot provide a neat explanation about the presupposition projection problem. Furthermore, they focus on the conditional sentences of English. English do not make an apparent distinction between hypothetical and non-hypothetical conditionals, so previous discussions excluded the features of languages such as Korean, which use linguistic markers like conditional connectives to express how the speaker evaluates the realization of the presuppositions content.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scheme for conditional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the features of presuppositions, which is very conceptually related to conditions.
Chapter 5 summarizes the above discussions and concludes by identifying future research issu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0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10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