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鰥夢寡記」 연구 : A study on Hwanmonggwagi: about popularity of short stories in classical Chinese in 19th century
19세기 한문단편소설의 통속성 문제에 관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은채

Advisor
정길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환몽과기」통속성19세기홀아비과부개가욕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2023. 8. 정길수.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s desire and the author's narrative consciousness by reading Hwanmonggwagi(鰥夢寡記), and to discuss the popularity confirmed in short stories in classical Chinese in the 19th century. Hwanmonggwagi tells the story of a widower who met a widow in a dream. The radical development and vain ending in the work suggest that this work was created based on playful and interest rather than based on a serious theme. In the 19th century, short stories in classical Chinese tend to show popularity. Therefore, this paper summarizes what characteristics can be evaluated as popularity.
First of all, this paper checks the previous study about the author. The author of Hwanmonggwagi has been known as the eight generations of Choi Geukseong(崔克成) who was Imjin Gongsin(壬辰功臣)." This is because in Gimongheonjip(寄夢軒集), which is supposed to be a personal collection by the author of Hwanmonggwagi, the author referred to "descendant of Imjin Gongsin Geukseong". Also, the author of Gimongheonjip referred to himself as "Mr. Choi". However, Imjin Gongsin mentioned in Gimongheonjip should be corrected by Oh Geukseong. The person mentioned as a descendant of Oh Geukseong(吳克成) is supposed to be an acquaintance of the author, and the author is supposed to be Mr. Choi as Seorim-Chobu(西林樵夫).
Chapter 2 analyzes the desires of the widower and widow and triesto find out the author's sense of description. A widower is a person who calls himself a drunkard[醉創], and is economically and socially isolated. His sexual desire is strongly expressed to the widow who is in a more vulnerable position than him. A widow is a person who lost her parents and husband, so she do not belong to a social network and is not protected. When the widower demanded a remarriage, she showed a realistic attitude and desire about stability by confirming his economic ability. The desires of the two characters are inconsistent and conflicted.
The author criticized the widower's sexual desire and rough behavior by language of other characters: the old man and the tiger.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rrative, the old man promotes the widower's behavior, and the tiger acts a role in making the widower wake up from his dream. This indicates that the author did not have a serious problem of consciousness with the widower's behavior. The author just criticized it on the surface and made a narrative function of moral rationalization about extreme sexual desires in the story. It means he was aware of the reprehensibility. The editorial of the owner of Gimongheon also plays a role in blurring the focus of the problem. The owner of Gimongheon argues long-windedly that "everything is a dream." Similar words were arranged long to wrap the ending of the work as if it were instructive.
Chapter 3 discusses the popularity of short stories in classical Chinese in the 19th century, including Hwanmonggwagi. In terms of style, colloquial Chinese, native expressions and listed discourse were used. The long-windedly listed discourse strengthened the character's argument, developing the case or causing fun with wordplays. As the style became lighter and more verbose, the seriousness of contents tended to decrease.
The popularity of the theme consciousness shows a change in the character and narrative. Humble and ordinary charaters, blatant sexual descriptions, extreme developments, and vain endings are appeared. As the interest shifted to trivial and stimulating direction, serious reflection about desires was not considered, thus the ending of the story tended to be vain and the theme consciousness became lighter.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achievement, short stories in classical Chinese in the 19th century appeared qualitative debasement. However, they formed a new feature in the history of stories by expressing straightforward desires and reflecting candid reality.
본고의 목적은 19세기 한문단편소설인 「鰥夢寡記」를 독해하여 작중 인물의 욕망과 작자의 서술의식을 분석하고, 19세기 한문단편소설에서 확인되는 통속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환몽과기」는 한 홀아비가 꿈에서 과부를 만나 겪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작중에서 나타나는 극단적 전개와 허망한 결말은 이 작품이 진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쓰였기보다는 유희적이고 통속적인 흥미를 바탕으로 창작되었음을 시사한다. 19세기를 기점으로 한문단편소설이 통속화되는 경향이 나타나는데, 이때 어떤 특징을 통속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을지 본고에서 정리하고자 한다.
들어가기에 앞서 작자 고증을 검토했다. 그간 선행연구는 「환몽과기」의 작자가 임진공신 崔克成의 팔세손이라는 고증을 받아들여 왔다. 이는 「환몽과기」 작자의 개인문집으로 추정되는 󰡔寄夢軒集󰡕에 등장하는 임진공신 극성의 팔세손이라는 언급과 자신을 崔某라고 지칭하는 대목 때문이었다. 그러나 임진공신이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최극성이라는 이는 확인할 수 없었고, 󰡔기몽헌집󰡕에서 언급된 임진공신은 吳克成으로 정정되어야 함이 확인되었다. 오극성의 팔세손이라고 언급된 인물은 작자의 지인이며, 작자는 西林樵夫 崔某라고 추정된다.
2장에서는 주요 인물인 홀아비와 과부의 욕망을 분석한 뒤에 작자의 서술의식을 알아보고자 했다. 홀아비는 자신을 醉傖이라고 부르는 한량이자, 경제적‧사회적으로 소외된 인물이다. 그의 성적 욕망은 자신보다 취약한 처지에 있는 과부에게로 강하게 표출됐다. 과부는 부모와 남편을 잃어 사회적 관계망에 속하지 못하고 보호받지 못하는 존재이다. 과부는 홀아비가 재혼을 요구하자 그의 경제적 능력을 확인하는 현실적인 태도와 안정에 대한 욕망을 보였다. 「환몽과기」에서는 이와 같이 두 인물의 욕망이 불일치하고 충돌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작자는 주변 인물인 노인과 호랑이의 입을 빌려 홀아비의 성적 욕망과 거친 행동을 비판했다. 그러나 서사적 측면에서 바라보면 노인은 홀아비의 행동을 촉진시켰고, 호랑이는 홀아비가 꿈에서 깨어나게 하는 역할을 했다. 이는 작자가 홀아비의 행동에 진지한 문제의식을 지니지 않았고, 그저 표면적으로만 비판했음을 나타낸다. 파격적인 성적 욕망을 작중의 소재로 들여온 것에 대해 문제가 될 소지를 의식하여 도덕적으로 합리화한 장치로 여겨진다. 홀아비의 각몽 이후 이어지는 기몽헌 주인의 논설 역시 문제의 초점을 흐리는 역할을 했다. 기몽헌 주인은 만사가 모두 꿈이라는 주장을 장황하게 늘어놓으며 의론을 펼쳤다. 비슷한 말을 길게 나열하여 작품의 결말을 교훈적인 것처럼 포장하고자 했다.
3장에서는 「환몽과기」를 비롯해 19세기 한문단편소설의 통속화 양상을 논했다. 19세기 한문단편소설은 문체상으로 구어적인 백화체나 토속적 표현을 사용했으며, 나열식 담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는 특징이 있다. 나열식 담화는 인물의 주장을 강화하여 사건을 전개시키거나 말장난으로 재미를 유발했다. 문체가 가벼워지고 장황해짐에 따라 내용의 진지함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주제의식의 통속화는 인물과 전개 방식의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보잘것없고 평범한 인물이 전면적으로 등장했으며, 노골적인 성 묘사와 극단적인 전개 및 허망한 결말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관심사가 쇄말적이고 자극적인 방향으로 옮겨가면서 욕망이 가진 문제의식에 비해 진지한 성찰은 이루어지지 않아, 이야기의 끝맺음이 허망해지고 주제의식이 가벼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문학적 성취라는 관점에서 19세기의 한문단편소설은 아쉬운 측면이 있으나 솔직한 욕망의 표출과 미화되지 않은 인정세태의 반영이 이루어지며 소설사의 새로운 지형을 형성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1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795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