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나 마리아 마투테 작품의 유년기 재현과 역사적 기억 : Representaciones de la infancia y memoria histórica en las obras de Ana María Matut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곽은미

Advisor
임호준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아나 마리아 마투테유년기전쟁의 아이들아이 주체스페인 내전역사적 기억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서어서문학과, 2023. 8. 임호준.
Abstract
En la presente tesis se aborda la narrativa de la infancia, como rasgos comunes en las novelas de Ana María Matute (1925-2014), desde la perspectiva de las representaciones de los niños como marginados y reflexiones sobre la historia. Entre los escritores españoles de la generación de 1950 de la posguerra, también llamada como la generación de los niños de la guerra, hubo numerosos escritores que trataron los recuerdos de la infancia a través de los niños protagonistas pero no es exagerado decir que ningún escritor configuró con tanta subjetividad a los niños tanto como Ana María Matute. En la rígida sociedad española que caracterizó a la dictadura tras la guerra civil, los niños creados por Matute muestran diversos aspectos de la vida y están en el centro de la representación de la historia de la España del momento y de la crítica a la sociedad que lleva a cabo la autora.
Las narraciones que muestran el trauma vivido por los españoles durante el período de la Guerra Civil y la dictadura a través de la infancia son un fenómeno característico que ya se ha convertido en un género en las obras de arte españolas, pero los estudios que analizan académicamente este fenómeno son muy pocos. En cuanto al hecho de que la infancia funcione como núcleo de la narrativa en las novelas de Matute, debe analizarse dentro del discurso literario y filosófico, teniendo también en cuenta desde una interpretación empírica, que la escritora presenció el conflicto en su infancia.
Giorgio Agamben presta atención al período de la infancia, cuando el lenguaje está latente aunque no se pueda hablar, bajo la premisa de la confianza en el potencial subjetivo y la capacidad de los seres humanos. Según el filósofo italiano, aunque el ser humano no puede hablar en la infancia, no es posible negar la existencia de experiencias que preceden a la capacidad de hablar, ya que trata constantemente de verbalizar sus experiencias en forma de balbuceos. Este tipo de infancia no se vive solo cuando es un niño, sino que cualquiera puede vivirla si se encuentra en una situación política opresiva o bajo duras condiciones.
Matute, que era niña durante la Guerra Civil, proyecta como un ente alienado en la historia de España a los protagonistas infantiles o a los adultos que aún no pueden escapar de los recuerdos de su infancia, y utiliza las narraciones de la infancia para dar voz a los niños. Interpretada desde el punto de vista de Agamben, la infancia en las novelas de Matute puede ser un esfuerzo de la escritora por verbalizar la infancia de sujetos en constante alienación y como un tipo de estrategia narrativa.
Aunque los niños de esta época fueron víctimas de la ideología más allá del sujeto enajenado, no han sido objeto de discusión política en la historia de España. La escritura de Matute sobre la infancia evoca la existencia de los niños de aquel tiempo, reproduce la realidad no registrada en la historia oficial del franquismo, y permite reflexionar sobre los problemas que quedaron en la sociedad española.
A partir de esta estrategia narrativa, este estudio analiza las seis obras de Matute, que representan de diversas formas la infancia llena de recuerdos de la Guerra Civil y la dictadura. Fiesta al noroeste (1953) muestra un pueblo que recuerda a las pinturas de Francisco Goya, un símbolo de la estética grotesca, y representa el llanto de un sujeto patológico que sufrió una infancia desafortunada debido a la existencia de un padre dominante. En Luciérnagas (1993), la vida trágica de los niños que atraviesan la Guerra Civil en el contexto sociohistórico de Barcelona, aparece en conexión con referentes históricos. Cuando se analiza aplicando el concepto de infancia de Agamben sobre la vida de los niños que salieron a las calles en busca de medios de auto-salvación, se pone de manifiesto lo miserable de la vida de los jóvenes frente a una guerra que eclipsa el enfrentamiento ideológico.
Los niños tontos (1956) consiste en veintiún cuentos de niños que resisten duras condiciones o que no pueden vivir una niñez normal. En estos cuentos, la fantasía que ven los niños moribundos puede interpretarse políticamente a través del concepto de fantasía propuesto por Rosemary Jackson. En Primera memoria (1960) y Los soldados lloran de noche (1964), los niños de la guerra, que no tuvieron más remedio que guardar silencio en su infancia debido a la división de la sociedad española a causa de la Guerra Civil, tratan de superar los dolorosos recuerdos de su infancia. En este proceso, la novela muestra una reflexión sobre de qué manera se puede recordar/rememorar a los vencidos de la historia española y expresar duelo por ellos.
Por último, La trampa (1969) trata el problema de la solidaridad y la comunicación con la siguiente generación de los niños de la Guerra Civil, que solo crecieron físicamente como adultos porque no eran libres de los recuerdos compulsivos de la infancia. La retrospección a la infancia de los personajes convocan a seres del tipo homo sacer de la historia española y sugieren una posible dirección para unir a la dividida sociedad española.
La fantasía y el lirismo, que muchos han mencionado como características de las obras de Matute, se han considerado elementos lúdicos más que interpretaciones políticas implícitas en sus novelas. Sin embargo, estas características están relacionadas con la mirada, las palabras y las acciones de los niños protagonistas y corresponden a una forma de expresarlas de manera oblicua para evitar comentarios directos o crítica de la política bajo la censura del franquismo. La fantasía, el esperpento y el lirismo son aspectos contrastantes de las novelas de los años 50 que se clasifican claramente como tendencias del realismo social, pero que en última instancia, se vinculan con la crítica a la sociedad.
Los niños que claman ante la dura realidad en la que se encuentran, los que se solidarizan con otros niños marginados que sufren la misma situación, los que llevan sus deseos al límite mientras ven fantasías y eventualmente se enfrentan a la muerte, los que rompen el silencio para superar una infancia traumática, los que han crecido físicamente como adultos pero que siguen detenidos en la infancia, cada uno de los niños creados por Matute representa al pueblo español que ha pasado por la Guerra Civil y la dictadura franquista. Además, el pensamiento, la palabra y la acción de los niños que resistieron el poder y plantearon la cuestión sobre el ideario español impuesto por Franco, sirven como base decisiva para inferir la realidad de la sociedad española del momento.
Al fin, teniendo en cuenta la especificidad histórica de España, las obras en las que los niños protagonistas se convierten en el núcleo del relato o rememoran la infancia, son los modelos más apropiados para las narrativas traumáticas de los españoles. La narrativa de la infancia de las novelas de Matute va más allá de la reflexión empírica y se ajusta al plan político y ético de rememorar y reproducir las memorias de la historia microscópica de los marginados que no quedan registradas en la historia oficial. Esta estrategia narrativa sitúa a los niños víctimas, que vivieron penosamente a su manera para sobrevivir durante la guerra, en el rango de sujetos con importancia en el centro de discurso oficial.
Los niños creados por Matute no solo son personajes que resisten la ideología patriarcal de la Guerra Civil española y la dictadura, sino que también rompen la ideología literaria española centrada en el hombre adulto. De esta manera, la novela de Matute renace como un espacio alternativo que permite contar la historia de los niños, uno de los temas que han sido relegados en los registros históricos.
본 논문은 아나 마리아 마투테(Ana María Matute) 소설에서 공통적으로 그려지는 유년기 서사를 아이 주체 재현과 역사적 기억의 관점에서 논의한다. 스페인 전후 50년대 작가들 가운데 아이 주인공을 중심으로 유년기의 기억을 다룬 많은 작가들이 있었지만, 아나 마리아 마투테만큼 아이 주인공에게 주체성을 부여한 작가는 찾아보기 어렵다. 내전 이후 독재로 이어진 경직된 스페인 사회에서, 다양한 삶의 양상을 보여주는 마투테 작품의 아이들은 당시 스페인의 역사를 재현하고, 사회를 비판하는 중심에 위치한다.
그동안 마투테 작품 세계의 특징으로 언급되곤 했던 환상성, 서정성은 정치적 메시지나 사회 비판적 내용을 함의하고 있음에도 단순히 유희적 요소로만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이 특징들은 아이 주인공의 시선이나 말, 행동들과 결부되어 정치적으로 직접적인 언급이나 지시를 피하기 위한 에둘러 표현하기의 한 방식에 해당한다. 환상성, 그로테스크성, 서정성은 분명히 사회적 리얼리즘 경향으로 분류되는 50년대 소설의 특징과는 대조적인 양상이지만, 마투테 작품에서는 궁극적으로 사회에 대한 비판과 연결된다.
자신이 처한 가혹한 현실 앞에 절규하는 아이들, 같은 처지의 소외된 인물들과 연대하는 아이들, 환상을 보며 욕망을 한계까지 밀어붙이고 결국 죽음을 맞이하는 아이들, 트라우마가 된 유년기의 기억을 극복하기 위해 침묵을 깨고 행동하는 아이들, 신체적으로는 성장하였지만 내면은 여전히 유년기에 감금된 아이들 등 마투테가 그리는 아이들의 모습은 저마다 내전과 프랑코 독재시기를 지나온 스페인 사람들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준다. 나아가 프랑코가 설정한 스페인의 이데올로기에 저항하고 균열을 가하는 아이들의 생각, 말, 행동은 당시 스페인 사회의 실상을 유추하는 데 결정적 근거로 작용한다.
유년기를 통해 내전과 독재 시기 스페인 사람들이 겪은 트라우마를 보여주는 서사는 스페인 예술작품에서 이미 하나의 장르를 이룰 정도로 특징적인 현상이지만, 이를 학문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마투테의 소설에서 유년기가 서사의 핵심으로 기능하는 점에 대하여 작가가 유년 시절 내전을 목격했다는 경험적 해석을 넘어, 문학적, 철학적 담론 내에서도 분석해보아야 한다.
조르주 아감벤은 인간의 주체적 가능성과 능력에 대한 신뢰를 전제로, 말을 할 수 없지만 언어가 잠재되어 있는 유아기 시기에 주목한다. 아감벤에 따르면, 유아기의 인간은 비록 말을 할 수 없지만 말할 수 있는 능력에 선행하는 경험의 존재를 부정할 수 없고, 끊임없이 옹알이와 같은 형태로 자신의 경험을 언어화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이다. 이런 유아기는 다만 아이였을 때만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억압적 정치상황이나 가혹한 삶의 조건에 처한 주체라면 누구나 경험할 수 있다.
내전 시기 어린아이였던 마투테는 유년기 주인공 또는 성인이 되었지만 여전히 유년 시절의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소설의 인물들에게 스페인 역사에서 소외된 존재였던 자신을 투영하고, 유년기 서사를 활용하여 아이들에게 목소리를 부여한다. 아감벤의 관점에서 해석해 보면, 마투테 소설에서 다뤄지는 유년기는 작가로서 끊임없이 소외된 주체들의 유아기를 언어화하기 위한 노력이자 일종의 서사전략인 것이다.
마투테의 유년기에 관한 글쓰기는 이처럼 아이들로 대표되는 스페인 역사 속 약자들의 존재를 환기시키고 프랑코 정권 시기 공식 역사에는 기록되지 않은 이면의 현실을 재현하며, 스페인 사회에 남겨진 문제점이나 나아갈 방향을 성찰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서사전략을 바탕으로 내전과 독재 시기의 기억으로 점철된 유년기를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하는 마투테의 소설 여섯 편을 분석한다.
󰡔북서쪽에서의 축제 Fiesta al noroeste󰡕(1953)는 가부장적인 아버지 존재로 인해 불우한 유년기를 겪은 인물의 절규를 그로테스크 미학의 표상인 프란시스코 고야의 그림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폭력으로 점철된 유년기의 기억을 고해성사하는 주인공의 서사를 통해 프랑코가 은폐하고 싶었던 스페인 사회의 비정상적인 면모와 병리적 주체의 모습이 드러난다.
󰡔반딧불이 Luciérnagas󰡕(1993)에서는 바르셀로나를 배경으로 내전을 겪는 아이들의 비극적인 삶이 실제 역사적 지표들과 결부되어 나타난다. 생존을 위해 자구책을 찾아 거리로 나온 아이들의 삶을 아감벤의 유아기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해볼 때,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무색하게 만드는 전쟁 앞에 놓인 어린 존재들의 생(生)의 초라함과 적극적 저항주체로서의 내전의 아이들이 부각된다.
󰡔바보 아이들 Los niños tontos󰡕(1956)에는 자신이 처한 가혹한 상황에 죽음으로 저항하거나, 정상적인 유년기를 거치지 못하는 아이들의 이야기가 스물 한 편의 단편 속에 담겨있다. 죽음을 맞이하는 아이들이 공통적으로 보게 되는 환상을 엔트로피적 열망으로 명명하고, 정치적 맥락에서 환상을 분석하는 로즈메리 잭슨의 이론을 적용할 때, 프랑코의 이데올로기로 정립된 사회로의 편입을 거부하는 아이 주체들을 확인할 수 있다.
󰡔최초의 기억 Primera memoria󰡕(1960)과 󰡔병사들은 밤에 운다 Los soldados lloran de noche󰡕(1964)에는 내전으로 분열된 스페인 사회에서 침묵할 수밖에 없었던 고통스러운 유년기의 기억을 가진 몸만 자란 아이들의 이야기가 내적독백의 형태로 그려진다. 이데올로기 구분 상, 승자와 패자 진영에 각각 속한 두 작품의 인물들은 트라우마가된 유년기를 극복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스페인 역사의 패자들을 기억하고 애도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역사를 구성함에 있어 사적기억의 중요성과 객관적인 역사를 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성찰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덫 La trampa󰡕(1969)은 끊임없이 출몰하는 유년기의 기억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여 몸만 성인으로 자란 내전의 아이들이 서로 연대하고 내전을 겪지 않은 다음 세대와 소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인물들의 유년기 회상은 스페인 역사의 호모 사케르(Homo Sacer)적 존재들을 소환하고 분열된 스페인 사회를 통합하기 위해 나아갈 방향을 조심스럽게 제시한다.
결국 스페인의 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할 때, 아동 주인공이 서사의 핵심이 되거나 유년기를 회상하는 형식의 작품은 스페인 사람들의 트라우마 서사를 그리기 위한 가장 적합한 모델이다. 마투테의 소설의 유년기 서사는 경험적 반영의 층위를 넘어 공식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소외된 이들의 미시적 역사에 관한 기억을 소환하여 재현하기 위한 정치적, 윤리적 기획에 부합한다. 이러한 서사전략은 스페인 역사의 피해자임과 동시에 자신만의 방식으로 치열하게 시대를 살았던 아이 주체들을 역사적 중요성을 가진 주체의 반열에 올려놓는다. 마투테가 창조한 아이들은 스페인 내전과 독재 시기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저항하는 인물들일 뿐만 아니라, 성인 남성중심의 스페인 문학 이데올로기에도 균열을 가한다. 이처럼 마투테의 소설은 그동안 역사 기록에서 소외된 주체 중 하나인 아이들의 이야기가 허용된 대안적 공간으로 거듭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2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79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