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New Look on Sequential Reading of Tasi in Korean : 한국어 부사 '다시'의 연속적 해석에 대한 새로운 시각: 구조적 접근을 통해
a structural approac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수빈

Advisor
고희정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ambiguity of tasi""Sequential reading of tasi""repetition of causation template""repetition of event type""Corrective implication of tasi"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언어학과, 2023. 8. 고희정.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어 부사 다시의 중의성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부사 다시는 전체 사건을 반복하는 반복적 해석과 결과 상태만을 반복하는 복원적 해석 사이에서 중의성을 가진다고 그동안 여겨져 왔다. 해당 연구는 이 부사가 반복적 해석과 복원적 해석 이외에 연속적 해석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동안 해당 부사의 중의성에 대해 크게 어휘주의적 접근과 구조적 접근을 통한 분석이 진행되었다. 어휘주의적 접근은 부사의 중의성은 그 단어의 다의어적 특징에 의한 것이며, 즉 두 가지의 의미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반면에, 구조적 접근은 해당 어휘가 반복적 해석만을 가지되 구조적으로 어느 부분을 수식하는지에 따라 중의성이 야기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Little vP에 붙어 전체 사건을 수식하는 경우에는 반복적 해석을 가지지만, 결과 상태를 나타내는 결과절에 붙게 되면 복원적 해석을 가진다는 것이 주요 주장이다. 두 접근의 상대적 우위성은 Word Order Fact에 의해 확실히 드러난다. 이는 독일어를 비롯한 영어와 한국어에서 특정한 구조적 환경에서 해당 부사의 중의성이 사라지는 현상을 가리킨다. 어휘주의적 접근은 이러한 구조적 차이에 의한 중의성에 대해 설명이 불가능하지만, 구조적 접근은 이에 대한 정확하고 합리적인 설명을 내세운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해당 연구에서 역시 구조적 접근을 통해 다시의 중의성과 연속적 해석에 대해 분석을 한다.
다시의 연속적 해석이란, 다시가 상호 독립적으로 보이는 두 사건이 연속적으로 일어난 것을 묘사하는 경우를 말한다. 하지만 두 사건은 완전히 독립적이지 못하고 일정한 규칙과 원칙 내에서 서로 공유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해 보인다. 이는 해당 연구에서 진행한 설문 조사에 따라 구체화되었으며, 이를 통해 내릴 수 있는 연속적 해석을 위한 필수 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추후 (1)번 조건은 부분적으로 구체화된다.)

(1) 두 사건은 반드시 동일한 목적어를 공유하고 있어야만 한다.
(2) 두 사건은 반드시 같은 상위어를 공유하는 동등 하위어 관계에 있어야만 한다.

해당 연구에서는 두 조건을 설명하기 위해 구조적 인과 관계의 반복과 사건 유형의 반복을 주장하였다. 인과 관계의 반복은 부사 다시가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little v를 수식하여 목적어를 포함한 인과 관계 템플릿을 반복할 때 가능해진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해당 구조 속에서 사건의 방식을 나타내는 루트는 부사의 수식 범위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연속적 해석에서 두 사건 속 구체적 술어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타당하게 설명했다는 점이다. 이 부분은 Harley and Folli (2020)과 Beaver and Koontz-Garboden (2022)의 주요 주장을 참고해 주요 주장을 펼친다. 사건 유형의 반복은 사건의 핵심적 의미 루트가 포함된 little v를 부사가 수식하고 있기 때문에 두 사건의 핵심적 특징은 반복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건의 핵심 특징은 공유하되 구체적인 방식은 달라졌기 때문에 두 사건은 하나의 상위 사건을 공유하는 동등 하위 사건이라고 볼 수 있다.
해당 연구에서의 한계점은 소비/창조 동사와 다시 부사의 결합에서 등장한다. 해당 동사 부류는 결과절을 내포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반복적 해석과 연속적 해석을 가진다. 하지만, 두 동사 부류의 강한 의미적 함의성에 의해, 다시와 결합되었을 때 이전 사건의 오류와 불만족성을 수정하기 위해 새로운 사건이 일어난 듯한 해석이 가능해 보인다. 이 부분에 대해 다시가 해당 부류의 동사와 결합할 때 수정적 함의성을 가진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적 해석과 그리고 연속적 해석에서 모두 수정적 함의성이 나타나는 것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두 동사 부류가 다시와 결합될 때 목적어가 달라질 수 있으며, 달라져야만 하는 특징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Lebeaux (1988, 1991) 연구의 Late Merger 개념을 참고해, 목적어의 이동이 일어난 이후에 부가어인 부사 다시와 사건의 방식을 나타내는 루트가 little v로 도입되었다고 주장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한다. 이러한 주장을 함으로써, 이동한 목적어보다 하위 위치에 도입된 부사 다시의 수식 범위에는 목적어가 없기 때문에 목적어가 달라질 수 있는 점을 설명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여전히 의문인 점은 왜 해당 동사 부류에서만 강하게 Late Merger를 일으키냐는 점이고 이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추가적 연구가 더욱 필요해 보인다. 이 점을 통해 앞서 주장한 연속적 해석의 필수 조건 (1)번이 다음과 같이 수정될 수 있다.

(1) 소비/창조 동사의 경우에는 Late Merger에 의해 목적어가 반드시 달라져야만 한다.

해당 연구는 기존에 활발히 논의되지 못했던 한국어 부사 다시의 연속적 해석에 대한 구조적 분석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해당 해석이 가능하기 위해 통사적으로 그리고 의미적으로 필요한 조건을 구체적으로 제안하며, 이는 기존에 진행된 어휘주의적 접근보다 더욱 심도 있고 정확하게 연속적 해석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언어학에서 부사의 수식 범위는 주로 절 전체나 부가어 아래 부분이었던 반면 해당 연구에서는 little v head라는 새로운 수식 범위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This thesis explores a new reading of the adverb tasi (again) in Korean. Traditionally, tasi has been understood to be ambiguous, with repetitive and restitutive readings involving the repetition of entire events or result states, respectively. However, a previously unobserved reading of tasi has emerged in Korean, referred to as the Sequential Reading. This novel interpretation describes two events in a sequential manner.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this sequential reading from a structural perspective. Previous analyses have primarily adopted a lexicalist approach, which offers a straightforward explanation for the semantic ambiguity of tasi. The lexicalist approach, however, fails to address Word Order Facts and fails to predict a suitable structural condition for the sequential reading.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research introduces two essential conditions for the sequential reading: a syntactic condition and a semantic condition, both of which are crucial for comprehending this phenomenon. Furthermore, the paper discuss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ading of tasi and different verb types, adding further insights into the diverse uses of tasi in Korean.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2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16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