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개신교의 마귀 표상의 형성 과정 연구 : A Study of the Making of the Devil Representation in Korean Protestantism: Focusing on the Practice of Exorcism
축귀 의례의 실천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준혁

Advisor
최종성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 개신교마귀귀신축귀 의례성령정체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종교학과, 2023. 8. 최종성.
Abstract
This masters thesis examines how the understanding of the devil was shaped in the Korean Protestant tradition by focusing on the practice of the ritual of exorcism among Korean Protestants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rough the use of periodicals published by early Korean Protestant churches and missionary observations, this thesis identifies how Korean Protestants came to view the Devil as an object of direct interaction. As biblical Devil was translated into Korean as maguee(마귀), and biblical demon were seen as identical to Korean kwisin(귀신), the Devil could be understood not only as the cause of sin but also as a creator of suffering. Furthermore, the Devil became an experiential object for Korean Protestants through the process of exorcism in exorcism rituals.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how the representation of the devil influenced the identity of Korean Protestants.
In Chapter 2, I first examine the circumstances of the early Protestants' conversion. Middle-class Anglo-American Protestant missionaries with evangelical leanings demanded strict discipline from the Koreans. I then examine how the missionaries understood the Korean concept of the devil during their encounters with the Koreans. They generally understood Koreans as superstitious and fearful.
Chapter 3 examines how the interaction between Protestant missionaries and Korean Protestants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demonic representations in the early Protestant tradition. It begins by examining the terminology of early Korean translations of the Bible to show that devil and demon were translated as devil and ghost. Next, we use the concept of "demonization" to explain the process by which missionaries and Koreans connected Korean ghosts to the biblical devil. The missionaries saw the Korean ghosts on the mission field as identical to the biblical daemons, and thus the Korean ghosts became servants of the devil, just like in the Bible. This perception also influenced the Koreans, who came to see the devil as someone they could actually interact with. The result of this interaction is an overlap between the biblical Devil and the Korean spirit, which can have both meanings. We see that the devil came to mean both a tempter to sin and a representation of suffering.
Chapter 4 examined how early Korean Protestants made the devil an experiential object through the ritual of exorcism. It is not easy to determine how early Korean Protestants practiced exorcism. This thesis first examines how Korean Protestants practiced exorcism by utilizing articles from periodicals and observations from missionaries in Korea. The chapter then examines what early Korean Protestants understood as demonic possession. Demons still affected believers who converted to Christianity. However, the way they understood physical pain drew on both traditional and Christian etiology. Based on this etiology, they organized their exorcism rituals. The focus here is on the ways in which they utilized familiar gestures to embody new meanings.
Chapter 5 examines how the interest in the devil and the 'Holy Spirit' manifested in the practice of Chukguk rituals influenced the early Korean Protestant tradition. In particular, I examine how the act of confessing sins in revival meetings practiced at the time, and the Protestant rite of exorcism, share the idea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Finally, we will examine how these actions of the Holy Spirit were internalized by Protestants.
This thesis examines the early Korean Protestant ritual of exorcism, focusing on the context in which ritual practitioners sought to practice it. The early Korean Protestants' ritual of exorcism also needs to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other Protestant rituals. A limitation of this paper is that it does not comprehensively consider these points, but this can be left for future work. By looking at the early Korean Protestants' ritual of exorcism in the context of the practice of "correction for protection," this paper can be evaluated as a rethinking of the religious practices of Protestants at that time.
본 논문은 근대 초 한국 개신교인들의 축귀 의례의 실천에 주목하여, 한국 개신교 전통에서 마귀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검토하였다. 초기 한국 개신교 교단에서 발행한 정기간행물과 선교사들의 관찰 자료들을 활용해서, 본 논문은 어떻게 한국 개신교인들이 마귀를 직접적인 상호작용의 대상으로 여기게 되었는지를 확인했다. 이를 통해 한국 개신교인들의 정체성에 마귀라는 표상이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우선 초기 개신교인들의 개종 상황을 검토했다. 중산층 영미권 출신에 복음주의적 성향을 가졌던 내한 개신교 선교사들은 한국인들에게도 엄격한 규율을 요구했다. 이어서 선교사들이 한국인들과의 만남 과정에서 한국의 귀신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확인했다. 선교사들은 대체로 한국인들을 미신적 두려움에 사로잡힌 존재로 이해했다. 그러나 이 장에서는 민간에서 한국인들이 집을 중심으로 어떤 종교적 질서 속에서 살고 있는지를 검토했다. 한국인들은 집안의 여러 물질들을 매개로 한 신령과 관계를 맺고 살아왔음을 살펴보고자 했다.
3장에서는 초기 개신교 전통에서 마귀 표상의 번역 과정에서 개신교 선교사들과 한국 개신교인들의 상호작용이 마귀 표상의 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초기에 번역된 한국어 성경의 용어를 검토하여 데빌(devil)과 데몬(demon)이 마귀와 귀신으로 번역되었음을 확인했다. 이어서 선교사들과 한국인들이 한국의 귀신을 성경의 마귀와 연결하는 과정을 악마화라는 개념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선교사들은 선교지 한국의 귀신을 성경에 나오는 데몬과 동일한 것으로 여겼다. 그러면서 한국의 귀신은 성경에서 나오는 것처럼 마귀의 수하들이 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한국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는데, 이 과정에서 한국인들은 마귀를 실제로 상호작용하는 대상으로 여길 수 있게 되었다. 상호작용의 결과 마귀는 성경의 데빌(devil)과 한국의 귀신의 의미가 중첩된 결과로 양쪽의 의미를 모두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마귀는 죄를 짓도록 유혹하는 존재라는 의미와, 고통의 표상이라는 의미도 갖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초기 한국 개신교인들이 축귀 의례를 통해 어떻게 마귀를 경험가능한 대상으로 만들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초기 한국 개신교인들이 어떻게 축귀 의례를 실행했는지 확인하기는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정기간행물의 기사들과 내한 선교사들의 관찰기록 등을 활용하여 우선 한국 개신교인들이 어떻게 축귀 의례를 수행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이 장에서는 초기 한국 개신교인들이 무엇을 귀신들림으로 이해했는지 살펴보았다. 기독교로 개종한 신자들에게도 귀신은 여전히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이들이 신체의 고통을 이해하는 방식은 기존 전통과 기독교의 병인론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병인론을 바탕으로 이들은 축귀 의례를 구성했다. 여기서 주목한 것은 익숙한 몸짓을 활용해서 새로운 의미를 구현하는 방식들이다.
5장에서는 마귀에 대한 관심과 축귀 의례의 실천을 통해서 에서 나타나는 성령에 대한 관심이 초기 한국 개신교 전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본다. 특히, 당시의 수행되던 부흥회에서 죄 고백 행위와, 개신교 축귀 의례가 어떻게 성령의 작용이라는 개념을 공유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성령의 작용이 개신교인들에게 어떻게 내면화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본 논문이 다룬 한국 개신교의 축귀 의례를 전체 개신교 의례문화의 맥락에서 검토하지 못한 것은 본 논문의 한계로 지적될 수 있다. 이를 추후의 작업으로 남겨두면서, 본 논문은 초기 한국 개신교인들의 종교적 실천을 당시 문화적 맥락에서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5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