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대중국어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정보구조 연구 : 前置无定名词短语的信息结构研究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혜진

Advisor
박정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문두 비한정명사구비한정한정지시비지시부정관사문법화주제초점구조문두 비한정명사구 구문有-구문존현구문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중어중문학과, 2023. 8. 박정구.
Abstract
본 연구는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정보구조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 사용 측면에서 문두 비한정명사구가 출현하는 다양한 문맥의 분석을 통해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정보적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한정성(definiteness)이라는 개념과 언어 표지의 불일치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분석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언어 유형론적 관점에서 비한정 표지의 문법화를 통해 현대중국어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의미적 영역을 구분하였다. 의미⋅화용적 기능과 특징을 토대로 지시 의미영역, 비지시 의미영역, 수량 의미영역을 구분할 수 있었다.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세 가지 의미영역은 부정관사의 문법화 측면에서 점진적인 경향이 있다. 그러나 공시적으로 의미⋅화용적 기능과 특징에 의해 세 가지 의미영역이 뚜렷하게 발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현대중국어의 문두 비한정명사구에서 각 의미영역이 구분될 수 있는 언어 환경을 분석하였다. 언어 환경이 교차하는 구간에서는 각 의미영역의 중의적 해석을 발견할 수 있었다. 중의적 해석을 통해 지시, 비지시, 수량의 세 의미 영역은 의미⋅화용적으로 뚜렷하게 구분될 수 있지만, 점진적인 문법화 과정에서 분화(divergence)되고 있는 의미 영역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세 의미영역 중 화용적 제약이 가장 많은 지시 의미영역에서 문두 비한정명사구가 실현될 수 있는 조건을 통해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정보적 제약을 고찰하였다.
셋째,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정보적 지위와 주제성을 고찰하여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차등적인 한정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고에서 설정한 분석틀에 의하면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지시 의미영역은 문맥적 해석에 의해 다양한 정보적 지위를 갖는다. 또한 비지시적 의미영역과 수량 의미영역도 담화 층위에서 정보적 지위를 설정할 수 있었다. 나아가 화용적 주제성과 함께 통사적 주제 구조의 관찰을 통해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주제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구문적 관점에서 명제적 의미가 동일한 有-구문과의 비교를 통해 문두 비한정명사구 구문의 고유한 화용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크게 세 가지 관점을 통해 분석하였다. 첫째, 담화에 나타나는 정보적 지위를 통해 담화지시체의 층위를 구분하고 각 층위에서 두 구문의 호환 관계를 관측하였다. 둘째, 정보구조적 측면에서 각 구문에서 실현되는 초점 구조를 통해 두 구문의 변이문(allosentence) 관계를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한정성 효과(DEs)가 두 구문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담화지시체의 한정성 정도에 따른 화자의 선택경향성을 관측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 사용 측면에서 문두 비한정명사구가 출현하는 다양한 문맥의 분석을 통해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정보적 특징을 정의하는 것이다. 비한정성에 대한 정의, 정보적 한정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현대중국어에 사용되는 문두 비한정명사구의 다양한 정보적 지위를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문두 비한정명사구가 지닌 한정성의 정도성으로도 볼 수 있다. 이상의 논의와 분석을 통해 현대중국어에서 비한정명사구가 한정성과 문두성의 특징을 지닌 주제의 화용적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낼 수 있었다.
本研究是关于汉语前置无定名词短语的信息结构的研究。本研究的目的是通过分析前置无定名词短语在不同语境中的出现情况,探讨其信息特征。本研究的最终目的在于阐明有定性(definiteness)概念和语言标志不一致的问题。具体的分析内容和研究结果总结如下:
首先,本文从语言类型学的角度,通过无定冠词(indefinite article)的语法化,区分了现代汉语前置无定名词短语的语义领域。根据其语义-语用功能和特点,可以将其划分为有指意义域、无指意义域和数量意义域。前置无定名词短语的这三个意义域在无定冠词的语法化方面呈现渐进趋势。然而,通过明确的语义-语用功能和特点,可以确认这三个意义域在表达上是明显分化的。
其次,本文分析了现代汉语前置无定名词短语中可以区分各意义域的语言环境。在语言环境交叉的区域,可以发现各意义域的歧义(ambiguity)。通过多义性解释,可以明确有指、无指和数量三个意义域在语义-语用上是明显区分的,但在渐进的语法化过程中,这些意义域仍然呈现分化。此外,通过对最具有语用限制的有指义域进行分析,研究了前置无定名词短语实现的条件,并以此为基础探讨其信息约束。
第三,本文通过考察前置无定名词短语的信息地位和主题性,衡量了其不同有定程度的差异。根据设定的分析框架,有指义域的前置无定名词短语在语境解释下具有多样的信息地位。同时,无指意义域和数量意义域也可以在话语层面设定信息地位。此外,通过考察语用主题性和句法主题结构,可以评估前置无定名词短语的主题性。
最后,本文从句法的角度,通过与具有相同陈述意义的有-构式的对比,研究了前置无定名词短语构式的独特语用特征。主要从三个角度进行了分析:首先,通过信息地位在话语中的表现,区分了话语指示体的层次,并观察了两个结构的协调关系。其次,从信息结构的角度,通过各结构实现的焦点结构,预测了两个构式的变体句(allosentence)关系。最后,通过观察有定效应对两个构式产生的影响,观察了话语指示体的有定程度对话者选择的趋势。
本研究的目的是通过分析前置无定名词短语在不同语境中的出现情况,定义前置无定名词短语的信息特征。通过对无定性(indefiniteness)的定义和信息有定性的考察,可以观察到现代汉语前置无定名词短语在不同信息地位上的多样性。这也说明了前置无定名词短语具有有定程度的特点。通过以上的讨论和分析,可以明确现代汉语前置无定名词短语在有定性和主题性语用功能上均能够充分发挥其特点。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4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5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