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의 댄디즘 연구 : A Study of Oscar Wilde and Lee Hyo-seok's Dandyism : The Politics of Aesthetic Self-Fashioning
미적 자기 창조의 정치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유경

Advisor
서영채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댄디심미주의패션공황신사제국주의사회주의저항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협동과정 비교문학전공, 2023. 8. 서영채.
Abstract
This dissertation studies how colonial dandies Oscar Fingal OFlahertie Wills Wilde(1854~1900) and Lee Hyo-seok(李孝石, 1907~1942) resist systems through aesthetic self-fashioning amidst the intensification of imperialism after a grave financial crisis. Oscar Wilde from colonial Ireland and Lee Hyo-seok from Joseon under Japanese occupation are not only themselves dandies, but also aestheticists who depicted beautiful dandies in their works. Building on the irony that, contrary to Marxs expectation that a revolution will develop after a financial crisis, the dandy emerged after an unprecedented economic depression, this dissertation tracks how the dandy appears in their works within a historical and specific context and examines the two dandies aestheticism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As both Wilde and Lee experienced an economic catastrophe, the Long Depression and the Great Depression respectively, the two writers showed interest in the proletarian revolution to overcome the challenge. However, without fully identifying with the socialist ideal of their times, they proposed the dandy as an alternative for the post-depression society. Wilde and Lee presented the dandy as the aesthetics of existence that fashions oneself as a piece of artwork, Wilde in order to oppose the British Empire, where the ethics of gentlemen prevailed, and Lee in order to challenge Japanese imperialism, which enforced the becoming of an imperial subject. Ironically, the dandy in the two writers works is portrayed as a failure after the loss of his absolute beauty. This dissertation is an attempt to discover in the aesthetic subject of the dandy created by Wilde and Lee a resistance to systems rather than a revolution as a subversion of systems.
Both Wilde and Lees dandies begin by criticizing and exposing the politics and economics of their times. In particular, as both the British and the Japanese Empire attempted to relieve the economic instability from the financial crisis through colonies or wars, the colonies Ireland and Joseon fell into great economic difficulty. By sharply pointing out the intimate collusion between the gold standard system and imperialism during the Long Depression that began in 1873, Oscar Wilde challenges the premise that the gentleman, who gained personal profits from the Long Depression that brought on a catastrophe to the colonies, is the ideal subject of the British society and questions the sincerity of the British society.
For Lee Hyo-seok, the Great Depression that started in 1929 first led to hopes of a revolution. Even in his early works, the proletarians and prostitutes organize strikes and even the bourgeoisie dedicate themselves to the proletarian revolution. However, as the Japanese Empire suppressed colonial Joseons socialism, the revolution receded and the economic instabilities of colonial Joseon intensified during the state of war. By repeatedly depicting the failures of Joseon bourgeois entrepreneurs who enter into the mining industry fantasizing about success, Lee criticizes the unreasonable and unequal economics of colonial Joseon.
In order to overcome the financial crisis, Wilde and Lee turn their attention to the proletarian revolution as an alternative. As the lives of proletarians worsened with the Long Depression sweeping Britain, Wilde argues that it is not the right to labor that the proletarians should seek but the aestheticization of labor. Lee calls attention to the Soviet Union, a northern country that stands out as the sole space of abundance impervious to the influence of the Great Depression, and discovers there the ideal of the beautiful female revolutionary. Socialism for Wilde was in all respects a requisite for realizing the individuals artistic life, and for Lee something inseparable from the individuals desire or beauty ab initio. Wilde believed that it was difficult for proletarians who did not know beautiful art to be reborn as a revolutionary subject, while in Lees works the proletariats lose their revolutionary spirit as even labor becomes redefined in terms of the nation with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Empire.
Hence, in lieu of the proletariats who are no longer revolutionary, Oscar Wilde and Lee Hyo-seok present the dandy as an alternative. The two writers converge at Wildes Salomé as their meeting point. Wilde depicts through Salomé the epitome of aestheticism, where she threatens even human life with her distinctive beauty. But in the case of Lee, the religious prophet Jokanaan that Salome desired is replaced by the men of colonial Joseon; thus he illustrates the beautiful male dandies that the women of colonial Joseon, named the Salomés, desired. If the dandy created by Wilde finds its force in his life-taking beauty, Lees dandy is powerful because his beauty draws out the desire of others.
Wilde and Lee thus fashion the aesthetic subject of the dandy in two ways. They establish themselves as dandies in real-life, while depicting dandies in their works as the representation of absolute beauty. In real-life, Wilde and Lee attempted to differentiate themselves through their showy attire. Whereas Wilde decorated his clothes with colorful flowers in opposition to the black suit of the British gentleman, Lee put on the attire of the British gentleman to challenge the Japanese Empires dress regulations during the state of war. Both Wilde and Lee propose the aesthetic subject as the representation of absolute beauty, Wilde in order to resist the hypocrisy of British society embodied by the gentleman, and Lee in order to break free from the uniformity of colonial Joseon enforced by the Japanization policy. In The Picture of Dorian Gray, Wilde brings to life Dorian Gray, who attempts to transcend class through absolute beauty; in Green Tower (綠の塔), Lee depicts Young-min who reaches absolute unity through outstanding talent and sublime beauty. Ironically, however, the two aesthetic subjects eventually lose their absolute beauty, the motivation for their resistance. Dorian Gray meets death as a mere object; Young-min marries the Japanese woman Yoko.
The dandies fashioned by Oscar Wilde and Lee Hyo-seok problematize the very mode of their being and thus question the world they belong to. While sharply observing the catastrophe of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structural inequality engendered by imperialism, Wilde and Lee propose art for arts sake that remains uncontaminated by reality and absolute beauty that transcends reality to escape the economic structure where humans are also exchanged as commodities. Resisting the political discourse, economic structure, and ethics of their times, Wilde and Lee build on their self-criticism to re-fashion themselves so as to be liberated from the identities expected by society. The dandy relates to freedom in the sense that he determines for himself both his identity and his mode of being, and the two writers dandyism inevitably demands the reorganization of power and the inversion of values. Hence, the dandy reveals politics through ethics in the sense that he demands change and renewal of the world that he belongs to. Wilde and Lees self-fashioning as dandies is not the revolution led by proletarians, but aesthetic ethics and politics that aim for the individuals resistance in daily life.
However, Oscar Wilde and Lee Hyo-seok, who are dandies and artists at the same time, of their own will also depict the failure of the dandies. As the dandies lose absolute beauty as their motivation, their resistance also fades away. This dissertation hence records the struggle and the failure of the dandy, who attempted not revolution as subversion but resistance through the weapons of beauty and art, eventually dissolving and degenerating within the system.
본고는 대공황 이후 제국주의의 심화 속에서 식민지 댄디, 오스카 와일드(Oscar Fingal O'Flahertie Wills Wilde, 1854~1900)와 이효석(李孝石, 1907~1942)의 미적 자기 창조를 통한 체제에의 저항을 고찰했다. 식민지 아일랜드의 오스카 와일드와 일제강점기 조선의 이효석은 그 자신이 댄디(dandy)이자, 작품에서 아름다운 댄디를 형상화한 심미주의자이다. 공황이 지나간 자리에 혁명이 발발할 것이라는 마르크스의 기대와 달리, 유례없는 대공황 이후에 아이러니하게도 댄디가 출현했다는 점에 착안, 역사적이고 특수한 맥락 속에서 두 작가의 댄디가 출현하는 과정을 추적하고, 두 댄디의 심미주의를 정치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두 작가는 각각 대불황과 세계 대공황이라는 경제적 파국을 겪으면서, 이 난관을 헤쳐 나가기 위해서 프롤레타리아트 혁명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러나 두 작가는 당대 사회주의적 이상(理想)에 완전히 공감하지 못한 채, 오히려 포스트-공황 사회의 대안으로 댄디를 선보인다.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은 각각 부르주아 신사의 윤리가 지배하는 대영제국과 황국의 신민이 되기를 강요하는 일본 제국주의에 대항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창조하는 실존의 미학으로서 댄디를 내세운다. 아이러니하게도 두 작가의 작품에서 댄디는 절대적 아름다움을 상실하면서 실패로 그려진다. 본 연구는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이 창조한 댄디라는 심미적 주체를 통해 체제의 전복으로서 혁명이 아니라 체제에 대한 저항을 발견하려는 시도이다.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의 댄디는 당대 정치와 경제에 대한 비판과 폭로로부터 출발한다. 특히 영국과 일본이라는 제국이 공황으로 파생된 경제적 불안을 식민지로 해소하거나 전쟁을 통해 잠재우려고 하면서 식민지였던 아일랜드와 조선은 경제적 어려움에 빠지게 된다. 1873년에 시작된 대불황하에서 금본위제, 제국주의의 긴밀한 공모를 날카롭게 지적하면서, 오스카 와일드는 식민지에 파국을 가져왔던 대불황을 통해 개인적 이익을 취득한 신사가 영국 사회의 이상적 주체라는 사실에 반발하며, 영국 사회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효석에게 1929년에 시작된 세계 대공황은 혁명에의 기대로 이어졌다. 초기작부터 노동자와 창기는 동맹파업을 일으키고 부르주아마저도 프롤레타리아트 혁명에 투신한다. 그러나 일제가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를 탄압하면서 혁명은 멀어지고 전시 체제 아래 식민지 조선 경제의 불확실성은 심화한다. 이효석은 성공을 환상하며 광업에 진출한 조선인 부르주아 기업가들의 실패를 반복적으로 그리면서, 불합리하고 불평등한 식민지 조선 경제를 비판한다.
공황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은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관심을 기울인다. 영국을 덮친 대불황으로 인해 노동자의 삶이 더욱 열악해진 가운데, 오스카 와일드는 노동자들이 노동할 권리를 외칠 것이 아니라 노동의 예술화를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효석은 유일하게 세계 대공황의 영향에서 벗어난 풍요의 공간으로서 북국, 즉 소련에 주목하며, 소련에서 아름다운 여성 혁명가라는 이상을 발견한다. 오스카 와일드에게 사회주의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예술적인 삶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조건이었으며, 이효석에게 사회주의란 애초부터 개인의 욕망이나 아름다움과 분리될 수 없는 것이었다. 오스카 와일드는 아름다운 예술을 알지 못하는 노동자들이 혁명의 주체로 거듭나기 어렵다고 보았으며, 일제의 사상 탄압 속에서 노동마저도 국가를 위한 것으로 재정의되면서 이효석의 작품에서 프롤레타리아트는 혁명성을 상실하게 된다.
그리하여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은 혁명성을 잃어버린 프롤레타리아트의 자리에 댄디를 내세운다. 두 작가는 오스카 와일드의 작품 「살로메(Salomé)」를 접점으로 조우한다. 오스카 와일드는 살로메를 통해 특유의 아름다움으로 사람의 목숨까지 위협하는 탐미주의의 전형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효석의 경우 살로메가 욕망했던 종교적 선지자 요카난의 자리에 식민지 조선의 남성들을 배치하며, 살로메라고 불리는 식민지 조선의 여성들이 욕망하는 아름다운 남성 댄디를 그려낸다. 목숨을 앗아갈 정도의 아름다움이 오스카 와일드가 창조한 댄디의 위력이라면, 타인의 욕망을 끌어내는 아름다움이 이효석이 그린 댄디의 힘이라고 할 수 있다.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은 두 가지 방식으로 댄디라는 미적 주체를 창조한다. 현실에서 자기 자신을 댄디로 구축하는 동시에 작품에서도 절대적 아름다움의 표상으로서 댄디를 형상화한다. 현실에서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은 화려한 의상을 통해서 차별화를 시도한다. 오스카 와일드가 검은 정장 일색인 영국 신사에 맞서 의복을 꽃으로 화려하게 꾸몄다면, 이효석은 전시 체제하에 일제의 의복 통제에 맞서기 위하여 영국 신사의 차림을 보여준다. 오스카 와일드는 신사로 대표되는 영국 사회의 위선에 저항하기 위해, 이효석은 황민화 정책으로 물든 일제강점기 조선의 획일화에서 벗어나기 위해, 절대적 아름다움의 표상으로서 미적 주체를 내세운다. 오스카 와일드는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The Picture of Dorian Gray)』에서 절대적 아름다움을 통해 계급을 초월하려는 도리언 그레이를 창조하고, 이효석은 『푸른 탑(綠の塔)』에서 탁월한 능력과 지고의 미(美 )로 절대적 하나를 구축하는 영민을 그린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두 미적 주체는 저항의 원동력으로서 절대적 아름다움을 상실한다. 도리언 그레이는 사물로서 죽음을 맞이하고, 영민은 일본 여성 요코와 결혼한다.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이 창조한 댄디는 자기 자신의 존재 양식을 문제화함으로써 결국 그 자신이 속한 세계에 대해 질문을 던지게 만든다. 공황이라는 경제적 파국과 제국주의로 인한 구조적 불평등을 날카롭게 주시하면서,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은 현실에 오염되지 않은 예술을 위한 예술과 현실을 초월한 절대적 아름다움을 내세워 인간도 상품처럼 교환되는 경제 구조에서 벗어나려고 한다. 당대 정치 담론과 경제적 구조, 윤리에 저항하며, 자기 자신에 대한 비판의식을 바탕으로, 사회가 요구하는 정체성으로부터 해방되기 위해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은 자기 자신을 재창조한다. 자신의 정체성과 존재 방식을 스스로가 결정하고 구축한다는 점에서 댄디는 자유와 연관되며, 두 작가의 댄디즘은 권력의 재배치와 가치의 전도를 필연적으로 요구하게 된다. 그리하여 결국 자신이 속한 세계의 변화와 갱신을 요청하게 된다는 점에서 댄디는 윤리를 통한 정치를 보여준다.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의 댄디로서 자기 구축의 과정은 프롤레타리아가 이끄는 혁명이 아니라 일상 속 개인의저항을 목표로 하는 미학적 윤리이자 정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댄디이자 예술가인 오스카 와일드와 이효석은 자신의 손으로 직접 댄디의 실패를 그려낸다. 절대적 아름다움이라는 동력을 잃어버리면서 댄디의 저항도 퇴색되고 만다. 본 연구는 전복으로서 혁명이 아니라 아름다움과 예술을 무기로 저항을 시도하였던 댄디가 결국 체제 속에 용해되어 전락하는 과정을 담은 투쟁과 실패의 기록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25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42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