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기관 구성원의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f Members of Public Institution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
조직지원인식과 세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엄석진-
dc.contributor.author홍서율-
dc.date.accessioned2023-11-20T04:52:13Z-
dc.date.available2023-11-20T04:52:13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8202-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7385-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202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3. 8. 엄석진.-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조직지원 인식 및 세대가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일과 삶의 균형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는 일-삶의 균형(전반)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하위요소로는 일-가족균형 및 일-성장균형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일과 삶의 균형-조직몰입의 관계에서는 일-삶의 균형(전반)이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하위요소로는 일-여가 균형이 MZ세대에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일과 삶의 균형과 조직효과성에 대한 조직지원인식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위계적 회귀분석 2,3단계에서 독립변수로서 조직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MZ세대 여부는 일-삶의 균형(전반)과 일-여 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 일-삶의 균형 인식이 높아지면 K-공공기관의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증가하는 것은 주목할 만하며, 기성세대와는 다르게 MZ세대는 일-삶의 균형(전반)과 일-여가 균형이 높아지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조직몰입이 높아지는 세대간의 차이점을 실증하였다는 것에도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과 삶의 균형을 높이도록 조직적인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며, 세대 간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여, 기성세대와 MZ세대가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세대별 맟춤형 정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impact of work-life bala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o discuss whether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and generation have a moder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job satisfaction, work-life balance(in genera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work-family balance and work-growth bala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organizational commitment, work-life balance (in general)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leisure bala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MZ generati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for work-life bala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d not show a moderating effect, bu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tages 2 and 3. Whether or not the MZ generation was present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in general) and work-women bala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noteworthy tha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of K-public institutions increas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unlike the older generation, the MZ generation demonstrated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that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an organized approach is needed to increase the work-life balance, and a generation-specific match-type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to satisfy both the older generation and the MZ gener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분석 4
제1절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논의 4
1.일과 삶의 균형의 개념 4
2.일과 삶의 균형의 이론적 모형 6
3.일과 삶의 영역 7
제2절 조직효과성 및 조직지원인식에 관한 논의 12
1.조직효과성의 개념 및 구성요소 12
2.조직지원인식에 관한 논의 16
제3절 세대에 대한 논의 20
1.세대의 개념 및 구분 20
2.세대간 차이에 대한 연구 21
제4절 선행연구 검토와 연구 차별성 26
1.일과 삶의 균형 및 조직효과성 선행연구 26
2.조직지원 인식의 조절효과 선행연구 30
3.MZ세대의 특성 및 조절효과 선행연구 33
4.선행연구에 대한 종합 및 비판적 검토 35
제3장 연구설계 36
제1절 연구의 분석틀 36
제2절 연구의 가설 37
1.일과 삶의 균형과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 37
2.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38
3.MZ세대에 의한 조절효과 40
제3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42
1.일과 삶의 균형(독립변수) 42
2.조직효과성(종속변수) 43
3.조직지원인식 및 세대구분(조절 변수) 43
4.통제변수 44
제4절 자료 수집 및 분석 48
제4장 연구 결과 49
제1절 인구 통계학적 특성 및 기초통계량 분석 결과 49
제2절측정도구의 타당성(신뢰성) 상관관계분석 51
1.측정도구의 타당성(신뢰성) 51
2.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53
제3절 가설의검증 및 논의 55
1.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55
2.조직지원인식 조절 효과 59
3.MZ세대 조절효과 64
제4절 종합적 토의 70
1.기초 통계량의 시사점에 대한 추가 논의 70
2.가설검정 결과에 대한 추가 논의 73
제5장 결론 76
제1절 연구결과 요약 76
제2절 연구의 시사점 77
제3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79
참고문헌 81
부 록 91
Abstract 104
-
dc.format.extentⅶ,105-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일과 삶의 균형-
dc.subject조직효과성-
dc.subject세대-
dc.subject조직지원인식-
dc.subject.ddc352.266-
dc.title공공기관 구성원의 일과 삶의 균형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Work-Life Balance of Members of Public Institution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eoYul HONG-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3-08-
dc.title.subtitle조직지원인식과 세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820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50▲000000000058▲00000017820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