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기관의 정책수단 브랜딩이 스타트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olicy instruments branding of public institutions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tartup:- Focusing on the case of the Korea Credit Guarantee Fund's startup support policy measures -
- 신용보증기금의 스타트업 지원 정책수단 사례를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광훈

Advisor
이수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책수단브랜딩스타트업신용보증경영성과policy instrumentbrandingstartupcredit guaranteemanagement performance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3. 8. 이수영.
Abstract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는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 및 글로벌 밸류 체인(GVC) 재편이 야기한 높은 인플레이션과 세계 경제 성장률 둔화로 인해 장기간 경기침체가 예상되는 어려운 경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정부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기존의 대기업 및 제조업 중심의 전통적 산업구조 탈피를 위한 체질 개선 활동을 다방면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같은 맥락에서 한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기술기반의 혁신스타트업에서 찾는 것은 일면 타당해 보인다.
정부와 전문가들은 창업지원의 질적성장을 위해 기술기반 우수 스타트업을 선별·집중 지원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세부 정책 추진을 통해 제도적 미비점을 개선해왔다. 이와 같은 정책 목적의 효율적 달성을 위해서는 기업 선별뿐 아니라, 한정된 재원하에서 어떠한 정책수단이 더 우수한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용보증기금의 브랜딩된 정책수단과 그렇지 않은 정책수단 간 비교를 통해 각 정책수단이 스타트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브랜딩된 정책수단(퍼스트펭귄기업보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신용보증기금으로부터 신용보증을 지원 받은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보증지원 이후 t+1기, t+2기의 재무성과와 고용성과를 분석하였다. 신용보증지원금액과 퍼스트펭귄기업 선정 여부로 상호작용항을 구성하여 스타트업의 경영성과에 대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표본의 선택편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회귀모형 설명력을 강화하기 위해 PSM(성향점수매칭) 수행 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t+1기에는 총자산증가율과 자기자본, 고용인원에서 일반스타트업에 비해 퍼스트펭귄기업에 대한 신용보증 지원금액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t+2기에는 매출액증가율과 총자산순이익률, 자기자본, 고용인원에서 일반스타트업에 비해 퍼스트펭귄기업에 대한 신용보증 지원금액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후속투자유치 등 재무지표 이외의 정책수단 브랜딩 효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투입한 종속변수(자기자본)의 경우 t+1기와 t+2기 모두 퍼스트펭귄기업에 대한 신용보증 지원금액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본 연구는 정책수단 간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여러 정책수단 중에서 브랜딩된 정책수단을 통한 신용보증 지원의 타당성에 대해 검증했다고 볼 수 있다. 정책행위자들이 한정된 재원으로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경우, 다양한 정책수단 선택지 중에서 브랜딩된 정책수단을 선택하는 것이 지원의 직·간접적인 효과 측면에서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정책행위자들의 정책지원에 대한 관점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기존에 해 오던 방식대로 정책공급자 입장에서 대상기업의 선별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지원 이외의 부가가치 창출 등 정책수요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정책수단을 설계 및 선택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를 통해 궁극적으로 스타트업 생태계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점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수집의 제약과 파악하기 어려운 외부 자금조달로 인한 분석의 한정성 등을 한계로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연구에서는 거의 없었던 정책수단 브랜딩 개념을 연구에 적용하여 정책수단 간 비교·분석을 통해 인증(선정)효과로 대표되는 비재무적 성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한 점과 정책행위자들이 스타트업 지원과 관련된 새로운 제도를 기획하거나 기존 제도를 개선할 때, 정책수단 브랜딩 효과를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 South Korean economy, which has a high degree of foreign dependent, is facing a challenging economic situation due to recent events such as the Ukraine war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global value chain(GVC). This has resulted in high inflation and a slowdown in global economic growth, leading to an anticipated prolonged period of economic downturn. The government is expanding its efforts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industrial sector, which has been centered around large corporations and manufacturing, as a solution to this situation. In the same context, it seems reasonable to seek new growth drivers for South Korea in technology-based innovative startups.
The government has been fostering a consensus on the need to select and provide concentrated support to technology-based promising startups for qualitative growth in startup support. Through detailed policy implementation, they have addressed institutional shortcoming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se policies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ich policy instruments among the limited resources can generate superior outcomes, not only in terms of startup sele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mpact and differences of each policy instrumen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tartups through a comparison between branded policy instruments and non-branded policy instruments of the Korea Credit Guarantee Fund.
This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a branded policy instrument, specifically the First Penguin Enterprise Guarantee, by examining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employment outcomes of startups that received credit guarantees from the Korea Credit Guarantee Fund from 2015 to 2019, during the periods of t+1 and t+2 following the guarantee support. By constructing an interaction term using the guarantee amount and the selection of startups as First Penguin Enterprises, the study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 on startup performance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inimizing sample selection bias and strengthen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regression model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in the t+1 period, the relative influence of credit guarantee support for First Penguin Enterprises is greater than that of general startups in terms of total asset growth rate, equity capital, and employment. In the t+2 period, the relative influence of credit guarantee support for First Penguin Enterprises is greater than that of general startups in terms of revenue growth rate, net return on total assets, equity capital, and employment. Additionally, when examining the dependent variable of equity capital, which includes branding effects beyond financial indicators, the relative influence of credit guarantee support for First Penguin Enterprises is greater in both the t+1 and t+2 periods.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validates the feasibility of credit guarantee support through well-branded policy instruments. When policymakers provide support to startups with limited resources, selecting policy instruments with strong branding effects can lead to efficient decision-making in terms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upport. To achieve this, a shift in perspective is required, moving away from a focus solely on policy supply to a design and selection of policy instruments that meet the needs of policy demand, including value creation beyond direct support. This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activation of the startup ecosystem.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cluding constraints in data collection and the limited analysis due to the difficulty in capturing external funding. However, by applying the concept of policy instrument branding, which was absent in previous studies, and empirically validating non-financial performance, such as certification(selection) effects,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policy instruments,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policymakers to consider the branding effects of policy instruments when planning new institutions or improving existing ones related to startup suppor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392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0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