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공조직 정보기술(IT) 자원 투자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Evidence from Korean Public Organizations
조직역량의 매개효과 실증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병조-
dc.contributor.author주상원-
dc.date.accessioned2023-11-20T04:54:12Z-
dc.date.available2023-11-20T04:54:12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898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7446-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988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23. 8. 김병조.-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T resource investment and outcome-level performance in public organizations. Based on strategic public management theories,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T on public-sector organizations using multi-year panel data.
Several prior studies on IT resources in the public sector adopted the BVIT (Business value in IT) perspective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 distinctive context of public organizations (Bozeman & Bretschneider, 1994; Boyne, 2002; Chun, 2009). Moreover, measuring IS (information system) performance with a single indicator, as is frequently done in the private sector, is inappropriate because multiple stakeholders and performance criteria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collectively (MacLean & Titah, 2022; Lee & Perry, 2002; Garicano & Heaton, 2010; Pang, Tahti, & Kristin, 2014). Previous research frequently used cross-sectional analysis, which could introduce bias into regression coefficients due to the unaddressed temporal variation and possibility of endogeneity (Wooldridge, 2012). Consequently, it remains challenging to ascertain whether an investment in IT resources in public organizations results in impro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t the outcome level.
In order to address these gaps, this study constructed a model that examines IT investmen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operational capabilities of public institutions as the mediato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s the dependent variable. Panel data of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N = 482, OID = 122, and T = 4) subjected to performance evaluation were collected from ALIO(All Public Information in-One) and SWIT(Software Industry Information Total System).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IT resources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was examined using random-effect regression on panel data spanning four years. The results indicat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vestment in IT resources and operational capabilities of the organization.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capacity-building infrastructure invest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mere software (SW) investment along with hardware (HW) investment. Second, using the public sector BVIT, the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operational capabilities on the mechanism for enhanc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Pang, Lee, & DeLone, 2014; Goh & Arena, 2020). It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T resource inves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t the level of total effect, with this correlation being mediated by indirect effects through operational capabilities.
This study has several theoretical implications. First, it provides a comprehensive explanation, based on public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theory, of how investment in IT resources improves the outcome-level performance of an organization. Second, it empirically reaffirms the significance of strategic management theories, such as resource-based theory, dynamic capacity theory, and public value creation theory, for understanding the effectiveness of IT resource investment in the public sector.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appropriate IT investment in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public organizations. Furthermore,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ontext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recognizing that such investments do not automatically guarantee improv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advocates for strategic investments in IT resources.
However, the studies admits some shortcomings and offers further research agendas. First, there is ambiguity in measuring IT-enabled dynamic capabilities, which demands further improvements. Second,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 constructed panel data and methodology, future studies should try to use quasi-experimental techniques to establish extended panel data and identify clearer causal linkages. Third, the analysis's focused on technical resources among multiple IT resources suggests the necessity to include a broader range of resources, including human IT resources.
To summariz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existing body of knowledge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T resource investment and outcome-level performance in public organizations by examining the mechanisms that lead to performance enhancements.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연구질문은 공공조직에서 IT자원에 대한 투자가 증가될수록 결과(outcome)수준의 성과가 개선되는지, 또 성과개선의 메커니즘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전략적 관리에서 논의되고 있는 자원기반이론과 공공가치 창출론의 관점을 적용하여 공공기관의 IT자원이 공공가치 창출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다년도의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실증하고, 생산함수적 접근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정보시스템 가치연구의 과정관점을 활용하여 중간수준의 변수인 조직역량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였다.
공공부문 IT자원에 대한 연구는 상당부분이 경영정보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고 일부 선행연구들은 공공조직 특유의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비즈니스 가치 연구(BVIT)의 접근을 기계적으로 적용하여 기존 공공과 민간조직의 근본적 차이(Bozeman & Bretschneider, 1994; Boyne, 2002; 전영한, 2009)가 깊이 있게 고려되고 있지 못하는(Bretschneider, 1990; Goh & Arenas, 2020)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정보시스템 성과를 민간부문에서처럼 단일 지표만으로 측정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여러 성과 기준들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므로(MacLean & Titah, 2022), Lee & Perry (2002), Garicano & Heaton (2010), Pang, Tafti, & Krishnan, (2014)와 같은 극히 적은 논문들 만이 IT가치의 경험적 증거를 제공하고 있다(Pang, Lee, & DeLone, 2014: 1080). 방법론적으로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종단 변화를 고려하지 못하며 잠재적 내생성으로 인해 회귀계수가 편향될 수 있는 횡단면 분석을 사용하고 있고(Wooldridge, 2012), 조직 결과수준의 성과변수를 경성자료로 측정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점에서 공공조직에서 IT자원에 대한 투자가 결과 수준의 조직성과의 개선으로 이어지는지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질문을 해결하고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독립변수는 IT자원에 대한 투자액, 매개변수는 공공기관의 운영역량, 종속변수는 결과수준의 조직성과로 이루어지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경영실적평가를 받는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들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알리오(ALIO)와 SW산업정보종합시스템(SWIT)에 공개된 자료들을 기반으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4개년 패널데이터(N = 482, OID = 122, T = 4)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두가지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4년간의 공공기관 패널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IT자원과 전략적 관리에서 강조되는 운영역량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IT자원에 대한 투자와 조직의 운영역량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SW와 HW에 대한 비용지출과 역량강화를 위한 SW인프라 구축 투자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IT자원과 결과 수준의 조직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해 공공부문 정보시스템 가치 모형(Pang, Lee, & DeLone, 2014; Goh & Arenas, 2020)에 따라 조직역량의 매개효과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조직성과가 개선되는 매커니즘을 확인하였다. 총효과 수준에서 IT자원에 대한 투자는 조직성과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이 나타났고, 운영역량과의 간접효과로 매개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공공조직에서 IT자원에 대한 투자가 결과 수준의 조직성과를 개선하는 메커니즘을 행정 및 조직이론적 차원에서 설명하였다. 둘째, 공공부문에서 IT자원투자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있어 전략적 관리이론인 자원기반이론, 동적역량 이론과 공공가치 창출론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경험적으로 재확인하였다. 셋째, 방법론적으로는 공공부문의 정보기술 투자에 대한 효과를 다년간의 경성자료로 실증함으로써 공공부문 조직성과에 IT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경험적 증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IT의 적절한 투자는 공공조직의 조직성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므로 IT로 인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흡수역량(absoprtive capacity)를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이러한 논의의 연장선상에서 IT 자원에 대한 투자가 반드시 개선된 조직성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인지하고 환경적 맥락과 조직 특유의 속성을 고려하여 전략적 관점에서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연구 한계와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IT에 의한 동적역량의 측정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측정의 모호성이 존재하므로 측정방법의 개선이 요구된다. 둘째 구축된 패널데이터와 분석 모형의 한계가 존재하므로, 연장된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준실험기법으로 보다 명확한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IT자원들 중 기술적 자원을 위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한계가 있어 인적자원과 같은 보다 다양한 자원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넷째, 운영역량 변수와 조직성과 변수가 분석 대상이 되는 기관들의 평균 대비 상대적 위치로 측정되어 절대적인 비교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 해석의 유의가 필요하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 론 01
제 1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0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01
2. 연구의 목적 04
제 2 절 연구의 내용 06
1. 연구의 대상 및 범위 06
2. 연구의 방법 07
제 2 장 이론적 고찰 08
제 1 절 IT 생산성 이론에 대한 논의 08
1. IT 생산성 역설 08
2. 자원기반이론, 동적역량, & IT 가치연구 10
1) 생산함수 접근과 자원기반 접근 10
2) IT 가치연구(Business Value in IT) 16
3. IT 가치 창출의 3가지 관점: 상보, 과정, 구성 20
제 2 절 공공가치론에 대한 논의 22
1. 공공가치론 22
1) 신공공관리론의 대안으로서 공공가치 접근 22
2) 공공가치론의 개념화에서 자원기반접근의 함의 27
3) 전략적 삼각형과 공공가치 사슬 30
2. 공공가치 접근에서의 공공기관 조직성과 측정 36
1) 한국 공공기관의 설립목적과 현황 36
2) 공공기관 경영실적평가제도 39
3) 가치창출 주체로서의 공공기관 44
제 3 절 공공가치 창출 수단으로서 IT에 대한 논의 48
1. 공공부문 IT투자의 조직성과에 대한 영향 48
2. 공공가치창출 과정관점에서 IT자원의 역할 49
제 3 장 연구 모형 및 설계 51
제 1 절 연구의 가설과 분석틀 51
1. 연구의 가설 51
1) IT자원과 조직역량 51
2) 조직역량 매개효과 53
2. 연구의 분석틀 54
제 2 절 분석자료 및 조작적 정의 55
1. 분석의 대상과 자료수집 55
2. 분석방법 59
제 4 장 분석결과 60
제 1 절 기술통계 분석 60
1. 연구변수 기초통계 (N = 482, OID = 122, T = 4) 60
제 2 절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공선성 검토 63
제 3 절 IT자원과 조직의 운영역량 회귀분석 66
1. 패널자료 안정성, 분석 유효성 및 Hausman 검정 66
2. 무선효과 패널회귀분석과 순서형 로지스틱 패널회귀 70
제 4 절 IT가치창출 과정관점 매개분석 75
1. 매개효과 유효성 확인 75
1) 분석 유효성의 확인 75
2) Baron & Kenny (1986) 절차 & Sobel 검정 76
2. 매개효과 분석결과 79
1) 분석결과 79
2) Bootstrap과 다층매개모형 82
제 5 절 분석결과의 요약 86
제 5 장 결 론 89
제 1 절 이론적 함의 89
제 2 절 실천적 함의 93
제 3 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95
제 4 절 결론 98
참고문헌 102
Abstract 123
-
dc.format.extentviii, 126-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공공부문의 전략적 관리-
dc.subjectIT 자원-
dc.subject조직성과-
dc.subject공공가치창출론-
dc.subject자원기반관점-
dc.subject전자정부-
dc.subject.ddc350.0001-
dc.title공공조직 정보기술(IT) 자원 투자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Evidence from Korean Public Organization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Ju, Sangwon-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3-08-
dc.title.subtitle조직역량의 매개효과 실증분석-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8988-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50▲000000000058▲00000017898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