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술적 대표의 기능과 한계 : Functions and Limitations of Descriptive Representation: Focusing on Self-Recognition of Young Politicians
청년정치인의 자기인식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태현-
dc.contributor.author박철언-
dc.date.accessioned2023-11-20T04:54:18Z-
dc.date.available2023-11-20T04:54:18Z-
dc.date.issued2023-
dc.identifier.other00000017879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97450-
dc.identifier.uri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8791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2023. 8. 최태현.-
dc.description.abstract최근 청년 문제가 사회문제(social problem)에서 공중의제(public agenda)로 발전한 것은 청년 세대의 정치적 영향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한 결과이다. 또한 청년 세대의 정치적 지지는 청년 정치인들의 기술적 대표성 증가를 가져왔다. 이렇게 정치에 진출한 청년 정치인들은 어떠한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정책과정에 영향을 미쳤는가? 청년들의 기술적 대표성은 실질적 대표성으로 이어지는가?
Easton과 Almond&Powell이 제시한 정치체제 모형을 신제도주의의 관점에서 파악한다면, 제도인 정치체제는 행위자인 참여자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청년대상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청년정치인이 어떠한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체제에 참여하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10명의 전·현직 청년정치인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면접을 진행하였다. 이후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하였으며 코딩 결과 Strauss&Corbin 모형에 따른 6개 패러다임이 발견되었다.
개인적·사회적·정치적 차원의 이해관계 합치는 청년층의 정치진입 확대를 가져왔다(인과적 조건). 그러나 청년정치인들은 기존 제도의 한계, 경험과 정보 부족, 기득권과의 충돌 등 정책과정 참여의 제약요인을 마주한다(중심현상). 이는 주로 청년정치인의 정치적 자산인 청년 지지층의 이익 표출 및 결집 미흡에서 기인하며, 행정부와의 부정적 관계 또한 원인이다(맥락적 조건). 청년정치인들은 개인의 역량과 정책이슈의 중립성을 활용하여(작용·상호작용) 자신에게 유리한 정치적, 정책적 환경을 조성해 중심현상을 극복한다(결과).
청년정치인들은 자신의 자원(resource)을 활용해 중심현상을 극복하나, 장기적으로는 청년 세대의 정치참여가 활성화되어야 청년 세대의 지속적인 당사자정치 활성화가 견인될 수 있다(중재적 조건). 특히 정당 기능 정상화를 통한 후속세대 청년정치인 양성이 청년정치인의 기술적 대표성 한계 극복과 실질적 대표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청년정치인의 자기인식에 대한 선험적 문헌을 남기려 시도하였다. 둘째, 청년정치인의 활동에 대한 문헌이 부족한 상황에서 후속 연구 및 정책과정에 대한 이론적 함의를 제공하려 하였다. 셋째, 청년정치인의 대표성 확보 과정에서 나타나는 조건과 전략을 질적 분석으로써 규명하려 시도하였다. 넷째, 청년정치인의 당사자정치 실현 및 기술적 대표성의 한계 극복을 위하여 유년 세대에게 충분한 정치 교육 및 정치적 효능감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도하였다. 넷째, 청년정치인의 당사자정치 실현 및 기술적 대표성의 한계 극복을 위하여 유년 세대에게 충분한 정치 교육 및 정치적 효능감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
dc.description.abstractThe reason why the youth agenda has evolved from a social problem into a public agenda is that the younger generations political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n important question this study asks is: Based on what kind of self-awareness did younger persons who entered politics with the support of other young people, influence the policy process for youths? In other words, does the descriptive representation of young people lead to substantive representation?
If the political system model presented by Easton and Almond & Powell is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neo-institutionalism, then the political system which is an institution is determined by the participants, who are actors. However, previous studies on the self-awareness of young politicians participating in the youth policy process were insufficient.
Based on assessment of the existing academic literature, this study conduct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0 former and incumbent young politicians. Afterward,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using grounded theory. Next, as a result of coding, six paradigms according to the Strauss & Corbin model were identified.
The convergence of interests at the personal, social, and political levels expanded young people's political entry(the causal condition). However, young politicians also face constraints on their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such as the existing systems limitations, their own lack of experience or information or both, and conflict with vested interests(the central phenomenon). This is due mainly to low interest expression and unity among of the young supporters, who are young politicianss political assets. Another factor i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administration as a cause(the contextual condition). Young politicians overcome the central phenomenon by creating a favorable political and policy environment for their main source of support by utilizing their personal capabilities and their neutrality regarding policy issues(action-interactions).
Young politicians use their own resources to overcome the central phenomenon. However, the long run, the younger generation's political participation must be activated so that their revitalization of party politics can be continuously driven(the intervening condition). In particular, one analysis outcome was that fostering young politicians of the next generation through normalizing of party functions can help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echnical representation of young politicians and securing practical representation.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an attempt was made to depart from a priori literature on the self-awareness of young politicians participating in the policy process. Second, in the absence of literature on young politicianss activities,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ollow-up studies and policy processes. Third,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conditions and strategies appearing in the process of securing young politicians representation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Finally, it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suggesting that sufficient political education and a sense of political efficacy should be imparted to the younger gener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articipation in party politics of young politicians and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echnical represent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제 1 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제 2 절 연구의 대상과 방법 3
1. 연구의 범위와 대상 3
2. 연구의 방법 5
제 2 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의 검토 8
제 1 절 이론적 배경 8
1. 정치체제 모형 8
2. Pitkin의 대표성 분류 18
3. 행위자의 권력관계와 제도 변화: 신제도주의의 관점에서 18
제 2 절 선행연구의 검토 21
1. 청년의 정치적 대표성 일반에 대한 연구 21
2. 청년의 정치적 대표성 제고방안 관련 연구 23
3.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24
제 3 장 연구의 설계 27
제 1 절 연구 준비 단계 27
1. 조사범위의 선정 27
2. 자료의 수집 28
제 2 절 연구의 분석틀 32
1. 연구의 가설 32
2. 연구의 분석틀 34
제 4 장 분석 결과 36
제 1 절 범주의 발견 36
제 2 절 인과적 조건 38
1. 개인적 차원 39
2. 사회적 요구 41
3. 정치적 지지 44
제 3 절 중심현상 47
1. 기존 제도의 부실성 48
2. 세대 간 인식 격차 49
3. 지역구 대표성과의 충돌 51
4. 청년정치인 개인의 역량 부족 52
제 4 절 맥락적 조건 54
1. 청년세대의 정치적 자원 부족 55
2. 청년세대의 부정적 특성 58
3. 청년대표성 개념의 모호성 62
4. 행정부와의 관계 65
제 5 절 작용상호작용: 행동전략 69
1. 개인적 자원의 동원 69
2. 사회적 자원의 동원 73
제 6 절 결과 77
1. 정치적 측면 77
2. 정책적 측면 80
제 7 절 중재적 조건 83
1. 개인적 차원: 청년층의 역량 개발 84
2. 제도적 차원: 후속세대 청년정치인 양성 87
제 5 장 선택코딩 및 연구결과 92
제 6 장 결론 95
제 1 절 연구의 요약 95
제 2 절 이론적 함의 98
제 3 절 실천적 함의 99
제 4 절 연구의 한계 100
참고문헌 102
Abstract 108
-
dc.format.extentvi, 110-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청년정치인-
dc.subject청년정책-
dc.subject대표성-
dc.subject청년당사자정치-
dc.subject근거이론-
dc.subject.ddc350.0001-
dc.title기술적 대표의 기능과 한계-
dc.title.alternativeFunctions and Limitations of Descriptive Representation: Focusing on Self-Recognition of Young Politician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Cheol Un-
dc.contributor.department행정대학원 행정학과(정책학전공)-
dc.description.degree석사-
dc.date.awarded2023-08-
dc.title.subtitle청년정치인의 자기인식을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78791-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50▲000000000058▲000000178791▲-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