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성패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ccess or Failure Factors of the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전라남도 주민참여예산제도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세훈

Advisor
이수영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주민참여예산제도성패 요인전라남도근거이론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23. 8. 이수영.
Abstract
주민참여예산제도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는 지난 10년
간 꾸준히 진행되었으나, 연구에서 도출된 방향으로 개선하더라도,
문제가 지속되기도 한다. 따라서 단순한 제도의 추가, 보완이라는
제도적 측면에서 연구하기보다 제도를 운영하면서 나타나는 참여
자들의 환경, 맥락, 상호작용 등을 고려하여, 제도의 성패에 미치
는 요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 Strauss &
Corbin(1990)의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2년에 전라남도에서 운영되고 있는 주민참여예산
제도를 대상으로, 8명의 참여자(주민참여예산위원 4명/공무원 4명)
와 심층면접을 진행했다. 주민참여예산위원 대부분이 전라남도 주
민참여예산제도 운영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여, 인터뷰 대상자
들에게 실패 요인을 중점적으로 문의했고, 해결방안 및 성공 요인
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도민이 주민참여예산위원으로 참여하게 만든 인
과적 조건으로 공직경험에서는 공무원 근무경력, 시군 운영 위원
에 참여경력, 은퇴 후 봉사동기라는 요인이 발견되었고, 자발적으
로 참여한 이유로 관심있는 정책 추진이 제시되었다.
맥락적 속성의 경우, 정치적으로 중앙정부와 단체장의 관심이
높을수록 도 집행부의 지원이 증가할 것이라고 제시되었다. 사회
적으로는 고령화가 많이 진행된 전라남도에서 온라인 중심으로 제
도가 운영되면서 일반도민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어렵다고 제시되
었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도 사업제안서 작성의 어려움, 일방적 정
보전달의 홍보방식 때문에 일반도민이 활발하게 참여하기 어렵다
고 미친다고 분석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심현상인 주민참여예산위원의 참여가 형식적
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이에 더해 중재적 조건으로 주민참여예산
위원의 역량강화 노력도 부족하며, 주민참여예산제도 이외 다른
주민참여 제도나 민원/평가 제도와의 연계가 부족하여, 주민참여예
산위원의 참여에 대한 불만족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
민참여예산위원들은 추후 주민참여예산제도에 대한 재참여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본 연구는 표본의 수가 적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다만, 전체위원
장 및 분과위원회 위원장과 같은 대표성 있는 인원을 인터뷰 대상
자로 선정하였으며, 모두 이전 차수나 시군 주민참여예산위원회에
참여한 대상자이므로, 다양한 경험을 문의하여 연구에 반영할 수
있었다.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전체회의를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등 제도가 시대적 상황에 의해 축소 운영되어 나타난 주민들의 효
능감 저하라는 요인을 통제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전라남도 주
민참여예산제도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했기 때문에 시·도 전체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닌다.
Research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of the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has been conducted consistently over
the past 10 years. However, the problems still exi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system by considering the
pqarticipants' environments, contexts, and interactions, in addition to
the institutional aspect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participants, including four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 members and three government
officials. Since most of them negatively evaluated the operation of the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in Jeollanam-do, we focused on the
failure factors of the interviewees, and derived solutions and success
facto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a causal condition that made
ordinary citizens participate as participatory budgeting members,
factors such as 'public servant service experience', 'participation
experience as a member of the city and county steering committee',
and 'volunteer motivation after retirement' were found in public
service experience. 'Policy promotion of interest' was suggested as
the reason for participation.
In the case of contextual attributes, it was suggested that the
higher the political interest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heads
of local governments, the greater the support from the provincial
executives. Socially, it was suggest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attract participation from the general public as the system was
operated online-oriented in Jeollanam-do, where the population was
aging a lot. From the institutional aspect, it was analyzed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participate actively because of the
difficulties in writing project proposals and the publicity method of
one-sided information delivery.
In this situation, the participation of the participatory budgeting
member, which is the central phenomenon, is being formalized, and in
addition, effort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the member of the
participatory budgeting member are insufficient as an arbitration
condition, and other resident participatory systems or
complaint/evaluation systems other than the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The lack of connection with the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 led to dissatisfaction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of the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 In this situation,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 members decide whether to
re-participate in participatory budgeting in the future.
This study has the limitation of a small sample size. However, the
interviewees were representative individuals, including the chairperson
of the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 and the chairpersons of the
sub-committees, all of whom had participated in previous cycles or
municipal participatory budgeting committees, allowing for the
inclusion of diverse experiences in the research. Additionall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system operated in a reduced manner,
such as conducting remote meetings, which resulted in a decrease in
citizens' sense of efficacy, and this factor could not be controlled.
Lastly, the research was limited to the Jeollanam-do 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making it difficult to generalize the findings to the
entire provinc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47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90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