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밭 공간분포와 개별·집단관정 이용을 고려한 밭용수 공급 경제성 분석 : Economic Analysis of Upland Crop Irrigation Between Individual and Collective Well Water Suppl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장성주; 박진석; 신형진; 김형준; 홍록기; 송인홍

Issue Date
2020-09
Publisher
한국지리정보학회
Citation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3 No.3, pp.192-207
Abstract
밭은 논에 비해 수익성이 높고 경작면적도 증가 추세에 있어 적절한 용수공급의 중요성이 커지는데도, 밭 용수기반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밭 재배지의 공간분포에 따른 개별관정과 집단관정에 의한 밭 용수공급의 경제성을 비교 평가하는데 있다. 노지 밭작물 중 고추, 배추, 사과, 콩 네 작물에 대해 충청권역에서 각 작물의 주요 생산지역인 청양군, 당진시, 예산군, 괴산군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경제성 분석 결과, 고추, 배추, 사과 콩의 B/C ratio는 개별관정 시나리오에서 1.49, 1.36, 1.90, 0.71, 집단관정 시나리오에서 1.45, 1.20, 1.91, 0.65로 산정되어 콩을 제외한 고추, 배추, 사과는 밭 용수공급시설의 개발이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작물의 가치가 큰 사과와 고추재배의 경우 밭용수 공급의 효과가 커서 작물가치가 관정개발의 중요한 인자로 나타났다. 작물 총수입에 대하여 민감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작물의 총수입이 낮은 작물일수록 가격변동이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관정 개발을 위한 필지 수에 따라 경제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고추와 배추의 경우 밭의 공간분포가 밀집되지 않아 집단관정 개발 시 규모의 경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과와 콩의 경우 20개 이상의 필지를 집단화한 경우 규모의 경제의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관정을 이용한 용수개발은 작물가치가 큰 사과나 고추 작물에 유리하고, 집단관정의 효과는 실제 작물 재배의 공간분포자료를 바탕으로 추가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Profitability of upland crops is better than paddy crops and proportion of upland is increasing. However, there is a lack of infrastructures for upland irrig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water supply scenarios using individual and collective agricultural wells to evaluate economic feasibility to consider geographical analysis of upland farms and water supply facilities. Cheongyang, Dangjin, Yesan, and Goesan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where four different crops of red pepper, chinese cabbage, apple, and bean, respectively, were mainly produced in Chungcheong province. As a result, B/C ratio was estimated as 1.49, 1.36, 1.90, and 0.71 in using individual wells scenario, and 1.45, 1.20, 1.91, and 0.65 in using collective wells scenario for red pepper, chinese cabbage, apple, and bean. It turned out that change of price effected on economic feasibility a lot for crops with low production income. As a result of evaluating economic feasibility by number of plots for developing collective well, there was no effect of economy of scale for red pepper and chinese cabbage. In case of collectivizating more than 20 upland plots, effect of economy of scale appeared for apple and bean. In conclusion, development of water using high value crops including red pepper and apple, and effect of collective well requires additory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of farms.
ISSN
1226-9719
URI
https://hdl.handle.net/10371/197995
DOI
https://doi.org/10.11108/kagis.2020.23.3.192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