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부득이한 사유로 인한 조합해산청구 - 해산청구의 보충성을 중심으로 - : A Claim for the Dissolution of a Partnership due to Inevitable Reasons – Focusing on the Supplementary Nature of the Claim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권영준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비교사법학회
Citation
비교사법, Vol.29 No.4, pp.191-216
Abstract
민법 제720조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때에는 각 조합원은 조합의 해산을 청구할 수 있다라고 규정한다. 이는 민법상 조합의 해산사유에 관한 유일한 민법 조항이다. 그런데 부득이한 사유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 민법은 더 이상의 지침을 제시하지 않는다. 이에 관하여는 판례가 있으나 그 판례를 체계화하여 일반 법리를 도출한 연구물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부득이한 사유, 특히 조합원 간의 불화‧대립으로 인한 신뢰관계 파괴로 인한 부득이한 사유에 대해 다루었다. 이러한 불화‧대립이 어느 정도에 이르러야 조합의 해산청구사유가 될 수 있는지, 또한 이러한 유형의 부득이한 사유를 판단함에 있어서 어떤 사정을 고려하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일본, 독일, 미국의 예를 참고하여 살펴보았다. 일본은 부득이한 사유, 독일은 중대한 사유, 미국은 조합 운영을 합리적으로 기대하기 어렵게 된 경우에 조합원의 일방적인 의사표시로 조합을 해산할 길을 열어놓고 있다. 해산청구를 하는 자에게 귀책사유가 없을 것을 요하지 않으나, 실제로는 귀책사유의 유무나 정도가 조합의 해지 또는 해산청구를 얼마나 엄격하게 또는 너그럽게 인정할 것인가에 고려되고 있다는 공통점도 발견된다.
이 글에서는 특히 해산청구의 보충성에 주목하였다. 해산청구의 보충성은 조합원 간의 불화·대립으로 인한 신뢰관계 파괴가 곧바로 해산청구 사유가 되는 것은 아니고, 특정 조합원의 탈퇴나 제명으로도 조합업무의 원활한 운영을 기대할 수 없게 된 상황에 이를 때 비로소 해산청구가 인정된다는 속성을 말한다. 해산청구의 보충성은 우리 판례와 학설에서 인정되고 있다. 외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본은 해석론으로서 해산청구의 보충성을 정면으로 승인하고 있고, 독일은 최후 수단으로서의 해산(Auflösung als ultima ratio)이라는 이념을 토대로 해산사유 판단을 행하고 있다. 미국 역시 조합원 사이의 불화 또는 대립만으로는 부족하고 조합 운영이 합리적으로 기대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러야 해산청구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새긴다. 해산청구의 보충성 원리는 조합의 단체성에 기초한 조합 존속 보장의 필요성 및 탈퇴 또는 제명에 관한 조합 법리와의 상관관계에 비추어 볼 때도 정당화된다.
ISSN
1229-5205
URI
https://hdl.handle.net/10371/198893
DOI
https://doi.org/10.22922/jcpl.29.4.202211.191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