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사회 삶의 만족도의 연령-기간-코호트 효과 분석: 2006년-2021년의 변화를 중심으로 :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from 2006 to 2021: The Age, Period, Cohort Effec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정민; 박호준

Issue Date
2023-05
Publisher
한국사회복지학회
Citation
한국사회복지학, Vol.75 No.2, pp.193-216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사회 삶의 만족도의 변화 추세를 파악하고, 나아가 연령, 기간, 코호트에 따른 변화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 한국복지패널 1차-16차(2006년-2021년), 총 16년 동안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분석에 사용한 표본은 20세 이상 성인 총 178,235 사례를 포함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연령-기간-코호트(age-period-cohort, APC) 모형을 사용하였고, 일반화 가법 회귀모형(generalized additive regression model)을 적용하여 연령, 기간, 코호트 효과를 추정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삶의 만족도는 2006년 3.26점(5점 만점)에서 2021년 3.48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기간의 한계효과 역시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연령, 기간, 코호트만을 변수로 투입한 기본모형에서 연령의 한계효과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삶의 질 특성을 반영한 통제모형에서는 연령의 한계효과가 중년층에서 가장 낮아지는 U자형 변화를 보였다. 셋째, '기본모형'에서 코호트의 한계효과는 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통제모형'에서는 1940년대부터 1960년대 출생 코호트까지 코호트의 한계효과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그 이후부터 다시 증가하는 U자형 변화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사회 삶의 만족도의 변화 추세에서 나타나는 연령-기간-코호트 효과를 제시하고, 동일한 연령대, 시기, 코호트 내에서도 삶의 질의 특성에 따른 이질성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연령과 코호트에 따른 이질성과 동일 세대 내의 삶의 질 특성의 차이를 고려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ISSN
1229-5132
URI
https://hdl.handle.net/10371/199836
DOI
https://doi.org/10.20970/kasw.2023.75.2.00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