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Ⅲ급 부정교합의 수술-교정 치료시 상악 소구치 발치가 치열궁 폭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on transverse arch dimension in Class Ⅲ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신재-
dc.contributor.author홍성준-
dc.contributor.author김영호-
dc.contributor.author백승학-
dc.contributor.author서정훈-
dc.date.accessioned2010-02-01T09:59:10Z-
dc.date.available2010-02-01T09:59:10Z-
dc.date.issued2009-
dc.identifier.citation대한치과교정학회지 2009:35:23-34.en
dc.identifier.issn1225-561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479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에서는 Ⅲ급 수술-교정 치료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치열 상의 요소를 파악함으로써 술전 교정시 상악 소구치 발치와 비치의 판단에 필요한 임상적 정보를 얻고자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의 수술-교정 치료시 흔히 선택되는 상악 제1소구치 발치로 치료된 군과 비발치로 치료된 군 간의 치료전/후 상/하악 개별 치아 이동 양상과 치열궁 폭경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비발치로 Ⅲ급 수술-교정 치료를 마친 환자 (24명) 와 술전교정 치료시 상악 제1소구치가 발치된 환자 (31명) 의 치료 전/후 모형 상에서 개개 치아의 근원심/협설측 각도변화와 상/하 치열궁 폭경의 변화를 측정한 후, 두 군 사이의 교정적 치아 이동 양상을 비교 분석한 후 상/하 치열궁의 조화를 이루는데 필요한 치열궁 폭경의 변화와 이에 기여하는 치아 변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시행한 결과 발치 군은 비발치 군에 비하여 상악 치열궁 폭경의 감소가 컸으며, 이는 상악 구치의 inclination 감소에 크게 영향 받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하악 치열에서는 inclination의 증가와 폭경의 증가가 있었으나, 비발치/발치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결론적으로 Ⅲ급 수술-교정 치료시 술전 상악소구치 발치는 상악 구치부 치열궁 폭경의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상악 소구치 발치에 대한 판단은 상/하악 치열궁의 폭경 및 구치부 경사도 문제와 연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생각되었다.en
dc.language.isokoen
dc.publisher대한치과교정학회en
dc.titleⅢ급 부정교합의 수술-교정 치료시 상악 소구치 발치가 치열궁 폭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en
dc.title.alternativeEffect of maxillary premolar extraction on transverse arch dimension in Class Ⅲ surgical-orthodontic treatmenten
dc.typeArticlee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Lee, Shin-Jae-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ong, Sung-Jo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Young-Ho-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Baek, Seung-Hak-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Suhr, Cheong-Hoon-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