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회학습이론의 조직행동연구 적용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朴吾銖-
dc.date.accessioned2010-02-11T04:58:16Z-
dc.date.available2010-02-11T04:58:16Z-
dc.date.issued1998-12-
dc.identifier.citation경영논집, Vol.32 No.4, pp. 146-193-
dc.identifier.issn1229-0491-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54659-
dc.description1998-12-
dc.description.abstract사회학습이론 이전에도 조직행동분야에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으나, 분석단위로서 행동을 제대로 설명해 내지 못하여 인간행위 자체에 대한 설명을 하지 못하는 제한성을 가지고 있었다. 지금까지 나타난 행동에 대한 세 가지 주된 접근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첫째로 B=f(P), 즉 행동은 사람의 함수라는 접근법이다. 이러한 견해는 모티베이션, 지각, 태도, 기대, 인성 등과 같은 행동주체인 사람에 관련된 변수들이 어떤 행동을 설명해 준다는 것으로, 왜 이 사람이 지금처럼 행동하는가를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대부분의 모티베이션 이론이 이 입장에 기초한다. 둘째로 B=f(E), 즉 행동은 환경의 함수라는 접근법이다의 견해는 Skinner의 작동적 조건화와 가장 관련이 있는 것으로써, 행동을 유지하고 변화시키는데 강화 상황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한다. 작동적 조건화, 조직행동에 대한 일반 학습 접근법, 조직행동 수정, 행동 관리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셋째로 B=f(P,E), 즉 행동은 사람과 환경의 함수라는 접근법이다. 이는 조직행동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것으로 앞의 두 견해를 절충한 관점이다. 이런 견해는 내적 구조로서 사람과 외적 구조로서 환경이 행동을 설명한다는 것으로, 환경과 사람 양자의 중요성을 모두 강조하였다.-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연구소-
dc.subject146-193-
dc.title사회학습이론의 조직행동연구 적용-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박오수-
dc.citation.journaltitle경영논집-
dc.citation.endpage193-
dc.citation.number4-
dc.citation.pages146-193-
dc.citation.startpage146-
dc.citation.volume32-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