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전승교육과정의 실상과 문제점에 관한 일연구 -공예 •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roblems in the transmission train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the Traditional Artistic Craf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세건-
dc.date.accessioned2012-11-15T01:49:00Z-
dc.date.available2012-11-15T01:49:00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citation비교문화연구, Vol.8 No.2, pp. 195-234-
dc.identifier.issn1226-056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7929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문화정책의 대표적인 분야 중의 하나인 중요무형문화재 정책을 중심으로 지난 40년간 진행된 문화정책, 특히 공예 • 기술 분야의 전승교육과정의 실상과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시행된 무형 문화재 지정과 육성의 일차적 목적은 산업화 및 서구문화의 유입 속에서 급속하게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를 보존하고 영속시키는데 있다. 무형 문화를 어떻게 보호하고 전승 • 계승시킬 것인가는 무형문화재 보호정책에서 핵심적 위치를 점하고 있으며, 정책적 성패를 가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존의 문화재 정책에 대한 평가와 향후 올바른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무형문화재의 전승교육과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2001년 1월부터 2월까지 10회에 걸쳐 강남지역에 위치한 서울 중요무형문화제 전수회관(일명 강남전수관이라고 한다. 이하 강남전수관)에서 공방을 운영하시는 중요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및 관계자를 중심으로 인터뷰를 하였다. 본 글에서는 인터뷰 자료에 기반하여 전승교육의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특히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이 바라보는 문제점에 초점을 두었다.

한편으로 전승교육의 현장에서 생활하시는 보유자들의 의견에 중점을 두고 연구가 진행되어 문화재 정책의 다름 핵심 축인 정부, 정확히 말하면 문화재청과 일반 시민들의 입장이 균형있게 다뤄지지 못한 면이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tatus quo of transmission training and to improve the cultural policy through the point of view of the "human cultural property". They are expected to preserve and educate the traditional artistic craft that is a par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lthough the korean government has strived to designate and preserve many crafts and arts since 1962 when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law was promulgated, the major parts of traditional artistic crafts are at the point of disappearance because they do not successfully adjust in the new environment of commercialization.

The result of study is as such: first, the policy considers intangible culture as the property in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substantialism. This perspective disregards a proper sociocultural context. The policy has focused on the tangible cultural properties rather tha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herefore the policy has attached importance to the discovery, designation and preserv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n its transmission training and promotion enhancement. Second, human cultural properties have been considered as "a pensioner" and do not have played a more significant role to preserve, educate, promote and create traditional culture. Rather they are in the controls and oppressions of government which is an important subject of cultural policy. In this process, both subjects have been suspicious to each other. It is necessary for both to recuperate confident relations for a new environment to promote and creat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
dc.description.sponsorship상기 논문은 2000년도 한국 학술진흥재단의 지원에 의한 협동연구 특별정책과제로 연구되었다.(KRF - 2000-044-00000 (200-200010002))-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dc.subject무형문화재-
dc.subject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c.subject전통공예기술-
dc.subjectTraditional Artistic Craft-
dc.subject전승교육-
dc.subjectTransmission Training-
dc.title전승교육과정의 실상과 문제점에 관한 일연구 -공예 • 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Problems in the transmission train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the Traditional Artistic Crafts--
dc.typeSNU Journal-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Se-Gun-
dc.citation.journaltitle비교문화연구-
dc.citation.endpage234-
dc.citation.number2-
dc.citation.pages195-234-
dc.citation.startpage195-
dc.citation.volume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