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優政下 定期刊行物 所在: 國樂關係記事 (1)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東洋音樂硏究所-
dc.date.accessioned2014-01-08T07:09:57Z-
dc.date.available2014-01-08T07:09:57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citation민족음악학, Vol.7, pp. 79-11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86810-
dc.description.abstract• 이 글은 倭政下에서 刊行된 定期刊行物(신운 • 잡지)에 수록된 國樂關係記事의 轉載一回分이다.

• 轉載의 순서는 잡지 • 신문 순으로 하되, 이번 輯에서는 먼저 月刊誌 「東光」• [學燈」 • 「朝光」(前半)만을 대상으로 했다.

• 위의 잡지에서 국악관계기사를 1 차 選別하고, 지면관계상 다시 이를 2 차 選別하여 轉載했다. 1 차로 선별된 기사제목은 뒷날의 참고를 위해 본문 뒤에 연대순으로 정리해 두었다.

• 轉載에 있어 본래의 철자법과 띄어쓰기를 그대로 따랐다.

朝鮮의 民諸는 「朝蘇」이라는 鄭士릎 背景으로 한 劇解民衆의 歌諸이다. 저건너 갈미봉에 비가 들어서 나려 온다. 우장을 허리에 두루고 짐매려 갈거나(육자벅이一節) 이러케 우리 民諸는 아모 修節도 없고 아모 技巧도 없이 가장 平凡하고 單純한 말로 때로는 方

言까지 使用하여 直接 우리의 感情的 波動을 가장 蘇明하게 表現행하엿으니 그는 素朴한 山村의 處女가 田野의 農夫가 鄭土의 事像에 對하여 그들의 가슴에 넘처 흘으는 느낌의 물결소리를 그대로 옮겨 놓은 노래인 까닭이다.
-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dc.title優政下 定期刊行物 所在: 國樂關係記事 (1)-
dc.typeSNU Journal-
dc.citation.journaltitle민족음악학-
dc.citation.endpage110-
dc.citation.pages79-110-
dc.citation.startpage79-
dc.citation.volume7-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