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Performative Strategien bei der Hamlet-Inszenierung Thomas Ostermeiers - aus der Perspektive der technischen Wirkmechanismen : 토마스 오스터다이어의 <햄릿> 공영에서의 수행전략 - 기술적 작동매커니즘의 관점에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Lee, Suk-Kyung

Issue Date
2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독일학연구소
Citation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1, pp. 357-380
Keywords
오스터마이어햄릿연극성매체성수행성전이성퍼포먼스OstermeierHamletTheatralitätMedialitätPerformativitätLiminalitätPerformance
Abstract
현재 독일어권 연극공연에서는 전자 매체 혹은 디지털 매체의 활용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독일(어권)을 대표하는 연출가인 토마스 오스터마이어의 공연을 비디오카메라, 영상 그리고 마이크와 같은 매체를 활용할 때 목도하게 되는 형식 및 기대효과에 주목하여 분석하였다. 오스터마이어의 공연은 2008년 9월 17일 베를린 샤우뷔네에서 초연된 이래 2012년에 개관 50주년을 맞는 샤우뷔네에서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아비뇽 공연예술축제에 초대되어 2008년 7월 19일 무대에 올랐고, 독일의 방송채널

인 아르떼에 의해 생중계되었던 공연을 분석대상으로 한다.

오스터마이어는 셰익스피어, 입센, 체홉과 같은 고전작가들의 작품이 자주 공연되는 독일어권 연극계에서 고전작품들을 가지고 다양한 연극실험을 하는 연출가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셰익스피어 작품 가운데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가장 많이 공연되는 작품 중의 하나인 을 적극적으로 해체하고 본인 특유의 방식으로 재구성한다. 이 공연 역시 그 중심에 배우가 위치하지만, 심리화하는 태도가 아닌, 구체적인 행위와 행동을 선보였다. 비평가들은 이 공연이 신체를 강조한 액션연극과 전통적인 언어극 사이를 오간다고 보았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시각에 기본적으로 동의하면서 매체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매체의 활용이 건축학적 공간뿐만 아니라, 수행 적 공간과는 어떤 영향관계에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했다.

비극과 퍼포먼스 사이를 오가는 공연에서 오스터마이어는 초반부터 장례식과 같은 제의적 현실을 연극에 도입하고, 관객이 애도의 과정에 감정을 싣도록 유도한다. 그러나 관객은 엄숙해야 할 장례식이 무성영화에서 볼 수 있는 슬랩스틱 코미디로 바뀌는 과정을 목도하면서 감정을 이입했던 대상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러한 들고남의 과정은 2시간 반동안 반복된다. 오스터마이어는 변장연극, 쥐덫 공연, 게르투르트의 침실 장면 등 셰익스피어 원작의 중요부분들을 에피소드 형태로 구현하면서 강조한다. 6명의 배우들은 20여 배역을 소화하면서 배우와 인물간의 통합을 지양하고, 관객이 모든 것을 가변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도록 유도한다.

오스터마이어는 무대 위 황금색 사슬커튼에 투사된 영상, 비디오카메라, 마이크 등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특히 무대 위 배우들의 연기와 함께 동시에 제시되는 삽입 장면과 오버랩된 영상은 탐식, 위선, 권력에의 욕망 등이 문제되는 사사의 확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컨대 스크린에 유령의 이미지를 동적이고 불명확하게 투사함은 관객으로 하여금 현실의 조작가능성과 정체성에 대해 상찰하도록 유도한다. 관객은 유령을 보며 죽은 선왕과 클라우디우스뿐만아니라, 햄릿과 폴로니우스 그리고 포틴브라스 등 정희회복 또는 복수를 앞세워 혹은 욕망 때문에 권력에 집착하는 여러 인간유형들을 떠올리게 된다. 오스터마이어는 매체의활용을 통해 생겨난 새로운 공간, 그리고 객석을 포함한 수행적 공간들을 기존의 건축적 공간과 연계함으로써 수동적으로 길들여져 있는 관객의 지각방식을 자극한다.

이미지와 기호들은 정체성의 변화 혹은 변형이 문제되는 지점에서 더욱 불분명해진다. 이미지는 줄거리 혹은 서사와 직접적인 여노간이 없기도 하다. 시각화가 역동적으로 구현되는 경우는 기본적으로 재현의 위기와 관련이 있고, 오스터마이어는 이러한 위기를 기술적 매체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극복하고자했다. 연극에서의 매체성 내지 매체의 수행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오스터마이어의 구현방식은 관객이 보는 것과 보이는 것 그리고 아주 명료한 것과 불투명한 것 사이의 불협화음 내지는 어긋난 관계에 대해 숙고하게 한다.

지극히 미니멀리즘적인 무대의 역동적인 구현, 스크린 위의 비현실성과 무대 위의 현실성 및 물질성을 매개하는 투명한 사슬커튼, 그리고 마찬가지로 공간들을 매개하며 관객과의 소통가능성 확대에 기여하는 마이크와 조명은 경계를 끊임없이 넘나들며 전이성을 강조하는 오스터마이어 공연의 핵심적인 요소들이다.
ISSN
1229-7135
Language
Germ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740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