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Importance of Intertextuality in East Asian Musics : 동아시아 음악에서 상호텍스트성의 중요성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Tokumaru, Yosihiko

Issue Date
2000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22, pp. 35-45
Abstract
Dear colleagues, you may be shocked by the title of my paper. Before explaining the word "intertextuality," let me explain "intertextuality." I am now among you, after a long journey from Tokyo to Seoul. This means that I, as a subject, am not isolated from my fellows. I am cast into relationships with other subjects. We can call this relationship "intertextuality." Now, let us take a short musical phrase: an interval of an ascending fifth (musical example 1). Experienced Japanese music listeners tend to understand this phrase as a melodic pattern representing the sound of a temple bell. It may also remind listeners of many other musical works

in which the same pattern is included. As in the case of relationships among human subjects, this phrase is cast into the relationships with other musical works. In order to minimise differences of size among phrases, melodic patterns, melodies, and pieces, I would like to use the word "texts" to any musical unit regardless of size. The English word "text" derives from the Latin word "texts," which means what is woven. If I apply this term to sounds that are woven, we can designate the relationships among musical texts as "intertextuality" (more detailed discussion: Tokumaru 1991).



제 글의 제목이 충격적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라는 말을 설명하기 전에,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을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도쿄에서 서울까지의 긴 여행 끝에 지금 여기 여러분과 함께 있습니다. 이것은 제가, 한 주체로서 여러분과 동떨어져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는 다른 주체들과의 관계 속에 내던져져 있습니다. 이 관계를 상호주관성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이제 짧은 악구 하나, 상행 5도 음정을 들어봅시다(보기 1). 경험 많은 일본음악 청자들은 이 악구를, 절간의 종소리를 나타내는 선율패턴으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똑같은 패턴을 쓰는 수많은 다른 음악작품을 떠올리게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인간 주체들 사이 관계의 경우처럼 이 악구는 다른 음악작품들과의 관계 속에 내던져져 있습니다. 악구, 선율패턴, 선율, 작품의 규모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저는 규모에 상관없이 어떤 음악 단위에도 텍스트 라는 단어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영어 텍스트 는 라틴어 텍스투스(textus)에서 나왔고, 텍스투스는 직조된 것을 의미합니다. 직조된 소리에 이 용어를 적용하면, 음악 텍스트들 사이의 관계를 상호텍스트성이라고 표시할 수 있습니다(상세는 Tokumaru 1991 참고).
ISSN
1975-0218
Language
English
URI
https://hdl.handle.net/10371/8783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