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창작국악: 전통과 변환 : Changjak Gugak: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진아

Issue Date
2011
Publisher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동양음악연구소
Citation
동양음악, Vol.33, pp. 219-231
Abstract
As the undertone and polysemy of the word, Changjak Gugak, or composed contemporary korean music, indicates, the word has inevitably been confused and undergone conflicts between the disparate paradigms of "the old" and "the new" in korea as well as between 'Western" and "Korean". The cause of these phenomena may he attributed to the contradictory structure of Korean society since the modern era. To put it differently, Changjak Gugak is a product of these societal contradiction. It is in the interests of Koreans themselves to overcome such conflicts now that they have noticed them, which will eventually lead to the overcoming of the contradictions underlying the Korean music community and by extension the entire Korean society. Then maybe Changjak Gugak can be considered in a fresh context.



1939년에 쓰인 김기수의 을 창작국악의 효시로 본다면 그 역사는 이제 70여년이 넘었다. 이제까지 발표된 글 대부분은 창작국악사를 작곡가와 작품 위주로 서술하고 있는데, 그 평가에 있어 서술의 포커스를 어떤 측면(정치/사회 또는 예술/문화)에 더 맞추느냐에 따라 크게 보아 두 편으로 대립되는 양상이다.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적 관점에서 이데올로기와 결부된 것에 대한 혹독한 비판을 내리거나, 아니면 음악사 내부의 발전에 시각을 맞추어 그 가치를 높이 산다. 이와 같은 양분화 현상은 창작국악 연구뿐만이 아니라 한국 근대사 연구의 전반적인 특징이다. 본 논문은 창작국악의 발생과 변환을 복합적인 사회구조와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분석해보는 시도이다. 첫째, 창작국악 용어에 내포되어있는 이중성과 다의(多意)성을 분석해보고, 둘째, 창작국악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음악적 현상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 어떠한 형태로 변환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셋째, 그 원인과 이유는 어디에 있는지 라는 질문에 접근해본다. 마지막은 우리가 변환에 대해 어떠한 시각을 가진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ISSN
1975-021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879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