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衛星映像資料를 이용한 서울시 都市綠地의 分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朴鍾和

Issue Date
1992
Publisher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Citation
환경논총, Vol.30, pp. 210-230
Abstract
都市綠地는 도시의 골격 형성, 도시경관의 주요 구성요소, 도시민의 일상적 옥외여가활동공간, 식물의 광합성에 의한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제거 및 산소의 공급, 대기오염물질의 정화, 수원함양, 야생동물의 서식지 제공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도시녹지는 도시의 성장에 따른 조거, 상업, 공공시설용지 등의 신규토지수요를 공금하기 위한 개발로 인하여 그 면적이 급격히 감소되고 있다. 극심한 대기오염 및 행락객의 이용압력은 녹지의 활력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도시녹지의 보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근래에 서울의 都市綠地에 관한 昭究가 다수 수행되었지만 도시성장에 따른 정성적 정량적 변화의 정도 및 공간적 분포에 대한 의문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도시녹지의 훼손상태에 관한 연구(양병이 등 1991(는 주로 녹지의 훼손면적 및 용도변화와 관련된 통계자료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녹지분포의 공간적 변화를 설명하는 데 미흡하다. 토지개발공사가 수행한 대규모 토지개발사업에 따른 도시녹지의 감소에 관한 연구(박종화 1991a)도 유사한 한계를 갖고 있다. 행락객의 이용압력( 이경재 외 1987)혹은 대기오염에 의한 녹지피해에 관한 연구 (김준호 1991)등은 주로 특정지역 혹은 대상에 대한 국지적인 조사 내용을 무리하게 일반화시키고 있다. 도시녹지의 공간적 분포 및 시간경과에 따른 공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는 우리나라와 같이 고밀도 국가인 日本에서 다수 수행된 바 있다. 즉 田畑貞壽(1979)는 일본 도시권에서의 시계열적 도시녹지의 분포 및 질의 변화를 항공사진 및 현장조사방법을 이용하여 연구하였고, 金振仙(1991)은 일본과 우리나라의 고밀도 시가지에서의 綠被地의 分布特性을 비교연구 한 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朴鍾和(1991b)가 주거단지내 녹지를 현장조사에 의해서 공간적 분포를 조사한 바가 있고, 서동조(1990)는 안산시의 도시녹지를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도시녹지체계의 구성계획안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원격탐사를 이용한 서울과 같은 대도시 녹지의 공간적 변화를 연구하지 못했다.
ISSN
2288-4459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905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Studies (환경대학원)Journal of Environmental Studies (환경논총)환경논총 Volume 30 (1992)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